송나영 앵커>
정부가 쌀 수급 안정을 위한 대책을 마련했습니다.
수확기 쌀 45만 톤을 매입해 시장에서 격리하는데요.
임하경 기자입니다.
임하경 기자>
올해 쌀 작황은 평년보다 좋고 풍년이었던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쌀 소비가 줄어드는 추세를 고려하면 수급 과잉이 전망됩니다.
이로 인해 쌀 가격이 폭락할 가능성도 큰 상황입니다.
실제로 산지 쌀값은 지난해 10월부터 떨어지기 시작해, 지난달 15일에는 1년 전보다 24.9% 하락했습니다.
이에 정부가 쌀값 안정을 위한 대책을 마련했습니다.
먼저 올해 수확기 쌀 45만 톤을 매입해 시장에서 격리합니다.
과잉 생산으로 시장에서 팔리지 못하고 쌓여 있는 쌀을 국가가 의무적으로 사들이는 겁니다.
이와 함께 수확기 중 공공비축미 45만 톤도 매입합니다.
시장격리 물량과 합치면 모두 90만 톤을 매입하게 되는 셈입니다.
녹취> 김인중 / 농림축산식품부 차관
"올해 격리되는 90만 톤은 2022년 예상생산량의 23.3%에 달하며, 쌀 생산량 중 수확기에 시장에서 격리되는 비율이 과거 8.3~18.1%였던 점을 감안하면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정부는 산지유통업체에 벼 매입자금 3조 3천억 원도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농가의 수확기 출하 물량을 안정적으로 매입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태풍 등에 따른 농업인 피해를 최소화하고, 시중 쌀 품위 저하를 막기 위해 농가 피해 벼 희망 물량도 모두 매입합니다.
수확기 쌀 유통 질서 확립에도 나섭니다.
11월에서 12월 동안 국산-수입산 쌀 혼합과 생산연도 혼합 등 양곡표시제도 특별단속을 추진합니다.
농식품부는 앞으로 쌀값과 쌀 유통시장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수급 상황에 맞는 대책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김명현 / 영상편집: 김종석)
KTV 임하경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1168회) 클립영상
- 30조 원 규모 소상공인 채무조정 '새출발기금' 공식 출범 00:32
- 버팀목 대출 한도 확대···청년 2억·신혼부부 3억까지 지원 02:19
- 합참 "北, 동쪽으로 중거리 탄도미사일 발사···4천500km 비행" 00:34
- "北 무모한 핵도발, 국제사회 결연한 대응 직면할 것" 00:26
- 개천절 경축식···한 총리 "연대·상생으로 다시 도약" 02:08
- 제576돌 한글날 맞아 유공자 13명에 포상···한글주간 행사 00:54
- 쌀 수급안정···"수확기 쌀 45만 톤 시장격리" 02:02
- 전국 독감주의보 발령! 독감 백신 예방접종 시작 [클릭K+] 04:26
- 국정동력 확보·경제 살리기···정부 조직 개편안 곧 발표 전망 16:02
- 가계부채 천869조 원···건전성 개선이 우선 [S&News] 04:23
- 현대차도 테슬라도 로봇 개발···불붙는 휴머노이드 격전 [굿모닝 해외토픽] 04:00
- 1기 신도시 재정비···추진 로드맵은? 09:35
- 실시간 소득파악 1년···복지 사각지대 해소 [집중인터뷰] 04:52
- 요양병원 접촉면회 허용된다는데···유지되는 방역 조치는? [정책 바로보기] 04:50
- 고리원전에 ‘임시 방폐장’ 짓는다? [정책 바로보기] 05: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