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환 앵커>
1981년에 제정된 노인복지법 연령기준에 따라 우리는 65세 이후를 노인이라고 구분합니다.
그러나 '100세 시대' 즉 '젊은 노인의 시대'가 현실화되면서, 60대는 더 이상 은퇴 후 노후 생활을 즐기는 나이가 아니게 되었습니다.
'노년부양비'는 노인 인구에 대한 한 사회의 부양 비용 정도를 나타냅니다.
2022년 기준 약 25명이었던 한국의 노년부양비는 2070년에는 100명을 넘게 되면서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른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기대수명이 늘고, 출산율이 줄면서 한국의 노인 부양률이 세계 최고 수준에 이를 것 이라는 걸 감안해, 노인 연령 기준의 상향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는데요.
노인연령을 높이는 데 따른 기대효과와 정책적 보완사항은 무엇인지 전문가와 함께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스튜디오에 나와 있는 KDI 이태석 인구구조대응연구팀장과 자세히 짚어봅니다.
(출연: 이태석 / KDI 인구구조대응연구팀장)
최대환 앵커>
현재 우리나라 노인연령 기준은 65세입니다.
이 노인연령 기준이 언제 정해졌는지, 다른 나라와 비교했을 때 어느 정도 수준인 건지 궁금합니다.
최대환 앵커>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여러 노인복지사업이 시행되고 있는데요.
우리나라 노인복지사업 연령 기준의 현황은 어떻습니까?
최대환 앵커>
현재의 노인연령 기준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들이 있다면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최대환 앵커>
앞서 설명해주신 이유들을 토대로 노인연령 기준을 상향 조정해야 된다는 목소리가 계속해서 나오고 있는데요.
박사님께서는 노인연령의 기준을 높여야 하는 이유, 뭐라고 보십니까?
최대환 앵커>
노인연령 기준을 상향했을 때 어떤 변화와 기대효과들이 있을 거라고 전망하십니까?
최대환 앵커>
해외 주요 국가들의 경우 노인연령 기준으로 발생되는 문제들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궁금한데요.
참고할 만한 사례들이 있을까요?
최대환 앵커>
여기서 여쭤보고 싶은 게 노인연령 기준을 바로 조정하는 게 가능한 건지 아니라면 노인연령 기준 조정을 위해서는 어떤 부분들을 검토해야 하나요?
최대환 앵커>
시간상 마지막 질문을 드려야 할 것 같습니다.
노인연령 조정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피해들에 대해서는 어떤 지원 대책이 필요하다고 보시는지 마무리 말씀으로 부탁드립니다.
최대환 앵커>
지금까지 KDI 이태석 인구구조대응연구팀장이었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1171회) 클립영상
- 윤 대통령, 기시다 총리와 통화···"北 미사일 강력 규탄" 01:27
- 국방부 "주한미군, 성주 사드기지에 성능개선 장비 반입" 00:41
- 윤 대통령, 오늘 비상경제민생회의 주재···"리스크 점검" 00:32
- 쌀 45만 톤 시장격리곡 매입 추진 00:28
- 중대본 "소아·10대 감염예방···방역인력 6만명 배치" 00:30
- 정부조직 개편안 확정···여가부 폐지·보훈부 격상 02:18
- "리스크 대응 체계 강화···마약범죄 특단의 조치 필요" 02:20
- 정부조직 개편방안 설명회 06:52
- 제11회 제대군인주간···제대군인 정책 현주소와 과제는? 20:30
- 전국 독감주의보 발령! 독감 백신 예방접종 시작 [클릭K+] 04:22
- 노인연령 상향 조정···가능성과 기대효과는? 13:03
- 코로나 확진 경험 있을수록 '이것' 원한다? [S&News] 05:06
-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 (22. 10. 07. 11시) 09:37
- 독감백신, 수입이 국산보다 좋나요? [정책 바로보기] 04:47
- ‘모바일 운전면허증’ 발급···유심만 바꾸면 도용 가능? [정책 바로보기] 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