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나영 앵커>
쌀은 물에 불려서 빻고, 가루를 내야 빵을 만들 수 있는데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한 '가루쌀'이 내년부터 본격 생산될 예정입니다.
쌀 수급 균형과 식량주권 확보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김민아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김민아 기자>
물에 불리지 않고 밀처럼 바로 빻아 가루로 만들 수 있는 '가루쌀'.
기존 쌀과 달리 쉽게 빵을 만들 수 있고, 이모작도 가능해서 밀을 대체할 수 있는 작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가루쌀 생산 현장 방문
(장소: 전북 익산시)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익산 금강동에 있는 가루쌀 재배 생산단지를 찾았습니다.
생산업체 대표에게 간단한 조작법을 들은 뒤 콤바인을 운전하면서 직접 수확도 해봤습니다.
가루쌀을 생산하는 농민들의 목소리도 청취했습니다.
녹취> 이승택 / 미미농산 대표
"농산물들이 소비가 문제잖아요. 소비가 돼야 그만큼 생산을 해서 수급 균형을 맞추고. 소비대책을 잘 마련해서 생산하는 대로 농가들의 어려움이 없게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정 장관은 이에 현재 식품기업들과 제빵명인들이 참여해 가루쌀을 활용한 음식을 30개 정도 만들어놓았다며, 다음 달 중 가루쌀 출하와 동시에 요리법 홍보에도 나서겠다고 말했습니다.
가루쌀 가공품을 해외에도 수출하겠다는 의지도 내비쳤습니다.
녹취> 정황근 /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가루쌀은 세계 유일한 품종입니다. 세계에 벼를 재배하는 거의 모든 나라에 특허 출원 내지는 등록을 할 예정입니다. 내수용으로 쓰는 것뿐만이 아니고 세계적으로도 충분히 가능성이 크다, 이렇게 생각합니다."
가루쌀 가공업체 방문
(장소: 전북 군산시)
군산의 한 빵집에서는 가루쌀로 만든 빵을 시식하고, 업체 대표에게 설명을 들었습니다.
현장음>
정황근 / 홍동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눈 감고 먹으니까, 비교를 못하겠더라고요."
홍동수 / 홍윤 베이커리 대표
"오히려, (가루쌀 빵)이 더 촉촉하고 쫄깃하고. 분질미가 전에 습식이나 밀가루보다 수분 흡수율이 매우 높아요. 빵이 굉장히 부드럽고 촉촉합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내년부터 가루쌀 생산단지를 39개소 운영하고, 농촌진흥청을 중심으로 현장기술 지원을 이어갈 예정입니다.
(영상취재: 임주완 이수경 / 영상편집: 김종석)
김민아 기자 minachu@korea.kr
정부는 2027년까지 가루쌀 20만 톤을 공급해 연간 밀 수입량 10%를 대체한다는 목표를 세웠는데요, 앞으로 가루쌀 활성화 대책 등을 통해 '식량주권 확보'와 '쌀 수급균형'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계획입니다.
KTV 김민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1175회) 클립영상
- 합동참모본부 대북경고성명 발표 (22. 10. 14. 10시) 01:36
- 윤 대통령 "빈틈없는 대비태세···3축 유효한 방어체계" 00:49
- 정부, 5년 만의 대북 독자제재···개인 15명·기관 16개 01:04
- 금리 인상으로 채무 부담↑···"신용정책 통해 관리" 02:07
- 중대본 "수능 코로나19 방역 대책 수립" 00:33
- 2030년까지 바이오디젤 혼합율 8%로 상향 01:54
- 가루쌀 생산 현장 방문···"식량주권 확보·수급균형 달성" 02:27
- 국제기능올림픽 개막···고양서 8개 직종 개최 [정책현장+] 02:42
- 신고 전화, '119·112·110' 기억하세요 [클릭K+] 03:43
- 거시경제금융회의·중남미 순방···주요 내용과 과제는? 14:57
- '신도시 등 광역교통 개선 추진방안' 마련 01:02
- 방통위, 집중호우 및 태풍 피해 지역민에 2개월간 수신료 면제 00:37
- 2022년 가축질병 분야 재난 대응 안전한국훈련 실시 00:37
- 행정안전부, 2030 세대와 함께 새로운 변화를 만들어간다 00:39
- 학점은행제 학습자도 저금리 학자금 대출 가능해진다 00:45
- 항암제 의약품 시장서 복제약 시장 진입 차단한 다국적 제약사 담합행위 적발·제재 00:48
- 자주 외교를 향한 조선의 노력 '한미수교 140주년' 특별전 개최 00:52
- 공군과 함께하는 '2022 사천에어쇼' 00:54
- 최근 유럽 이주민 유입 동향과 정책적 시사점은? 17:09
-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 (22. 10. 14. 11시) 04:07
- 학점은행제 학생도 학자금 대출 가능···연령제한은? [정책 바로보기] 05:03
- 제 구실 못하는 ‘농작물재해보험’···선지급 겨우 10건? [정책 바로보기] 04:11
- 단풍철 국립공원 탐방로 예약하세요 [S&News] 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