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환 앵커.
최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전쟁과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한 경제난, 식량위기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유럽 내 이주민 유입의 압력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지 7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우크라이나를 탈출해 유럽 국가로 유입된 우크라이나인이 웬만한 대도시 인구 수준인 약 750만 명에 육박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감염병, 전쟁, 이상기후현상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한 경제난은 아프리카와 남아시아 같은 저소득지역 으로부터 유럽 같은 고소득지역으로의 이주민·난민 유입을 가속화시키고 있고, 이에 유럽연합은 다양한 정책 수단 마련에 나섰습니다.
가까운 미래에 우리나라에 대한 이주민 유입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유럽 사례를 참고해 선제적인 대비책을 어떻게 마련해야 할지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스튜디오에 나와 있는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유럽팀 장영욱 팀장과 이야기 나눠봅니다.
(출연: 장영욱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유럽팀 팀장)
최대환 앵커>
최근 유럽 이주민 유입이 늘고 있다고 하던데, 현재 유럽 이주민 상황은 어떻습니까?
최대환 앵커>
유럽 내 이주민 유입의 압력이 높아진 요인은 뭐라고 보십니까?
최대환 앵커>
이주지역으로 유럽을 꼽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최대환 앵커>
이와 관련해 유럽 국가들도 이주민과 난민의 유입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 수단을 마련하고 있을 것 같은데요.
그간 이주민, 난민 대응 정책은 어땠습니까?
최대환 앵커>
그렇다면 최근 들어 유럽 내 이주민, 난민 유입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들 중 달라진 내용이 있을까요?
최대환 앵커>
유럽 내 이주민 유입 증가로 해당 국가에 미친 영향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최대환 앵커>
우리나라도 약 20년 전인 2001년 대한민국 최초의 난민 인정자가 탄생하기도 했는데요.
우리나라 난민 유입 상황은 어떤지도 궁금합니다.
최대환 앵커>
유럽 내 이주민 유입 상황을 살펴봤는데요.
이주민, 난민 유입으로 인한 다양한 영향을 고려했을 때 앞으로 우리나라는 어떤 대비책을 마련해야 할지 마무리 말씀으로 부탁드립니다.
최대환 앵커>
지금까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유럽팀 장영욱 팀장이었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1175회) 클립영상
- 합동참모본부 대북경고성명 발표 (22. 10. 14. 10시) 01:36
- 윤 대통령 "빈틈없는 대비태세···3축 유효한 방어체계" 00:49
- 정부, 5년 만의 대북 독자제재···개인 15명·기관 16개 01:04
- 금리 인상으로 채무 부담↑···"신용정책 통해 관리" 02:07
- 중대본 "수능 코로나19 방역 대책 수립" 00:33
- 2030년까지 바이오디젤 혼합율 8%로 상향 01:54
- 가루쌀 생산 현장 방문···"식량주권 확보·수급균형 달성" 02:27
- 국제기능올림픽 개막···고양서 8개 직종 개최 [정책현장+] 02:42
- 신고 전화, '119·112·110' 기억하세요 [클릭K+] 03:43
- 거시경제금융회의·중남미 순방···주요 내용과 과제는? 14:57
- '신도시 등 광역교통 개선 추진방안' 마련 01:02
- 방통위, 집중호우 및 태풍 피해 지역민에 2개월간 수신료 면제 00:37
- 2022년 가축질병 분야 재난 대응 안전한국훈련 실시 00:37
- 행정안전부, 2030 세대와 함께 새로운 변화를 만들어간다 00:39
- 학점은행제 학습자도 저금리 학자금 대출 가능해진다 00:45
- 항암제 의약품 시장서 복제약 시장 진입 차단한 다국적 제약사 담합행위 적발·제재 00:48
- 자주 외교를 향한 조선의 노력 '한미수교 140주년' 특별전 개최 00:52
- 공군과 함께하는 '2022 사천에어쇼' 00:54
- 최근 유럽 이주민 유입 동향과 정책적 시사점은? 17:09
-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 (22. 10. 14. 11시) 04:07
- 학점은행제 학생도 학자금 대출 가능···연령제한은? [정책 바로보기] 05:03
- 제 구실 못하는 ‘농작물재해보험’···선지급 겨우 10건? [정책 바로보기] 04:11
- 단풍철 국립공원 탐방로 예약하세요 [S&News] 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