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스! 평창! `D-2`
등록일 : 2007.07.03
미니플레이
2014 동계올림픽 개최지 결정이 이틀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결전의 날이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평창유치위원회의 움직임도 바빠졌습니다.
강동원 기자>
개최지 결정을 이틀 앞둔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위원회는 막바지 점검에 한창입니다.
유치위가 가장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은 IOC총회 현장 프레젠테이션 준비와 IOC위원을 상대로한 득표활동.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위원회의 프레젠테이션 첫 공식 리허설이 우리시간으로 어제 새벽에 있었습니다.
유치위는 프레젠테이션이 점점 완성도를 더해가고 있다고 자평했습니다.
첫 공식 프레젠테이션리허설을 가진 평창유치위는 3차례에 걸쳐 반복 프레젠테이션 리허설을 실시한 뒤 30여분 동안 입장과 퇴장할 때 보폭과 걸음걸이까지 일일이 점검했습니다.
특히 3시간여 걸쳐 모의 질의응답을 실시했으며 예상 질문 250여개를 다시 한번 들여다 보며 완벽을 기하는 모습입니다.
한편 한국의 스포츠 스타들도 평창유치를 위해 발벗고 나섰습니다.
쇼트트랙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출신인 김소희와 한국 썰매종목의 개척자 강광배, 스키 국가대표 출신으로 국제바이애슬론연맹 기획담당 부회장인 김나미는 우리 시간으로 4일 오전 과테말라시티 도심에 설치된 `올림픽 스포츠거리`에서 1시간여 동안 사인회를 가질 예정입니다.
2014년 동계올림픽 개최지 결정을 이틀앞둔 이곳 과테말라시티는 각국의 유치열기가 최고조에 다다르고 있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결전의 날이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평창유치위원회의 움직임도 바빠졌습니다.
강동원 기자>
개최지 결정을 이틀 앞둔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위원회는 막바지 점검에 한창입니다.
유치위가 가장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은 IOC총회 현장 프레젠테이션 준비와 IOC위원을 상대로한 득표활동.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위원회의 프레젠테이션 첫 공식 리허설이 우리시간으로 어제 새벽에 있었습니다.
유치위는 프레젠테이션이 점점 완성도를 더해가고 있다고 자평했습니다.
첫 공식 프레젠테이션리허설을 가진 평창유치위는 3차례에 걸쳐 반복 프레젠테이션 리허설을 실시한 뒤 30여분 동안 입장과 퇴장할 때 보폭과 걸음걸이까지 일일이 점검했습니다.
특히 3시간여 걸쳐 모의 질의응답을 실시했으며 예상 질문 250여개를 다시 한번 들여다 보며 완벽을 기하는 모습입니다.
한편 한국의 스포츠 스타들도 평창유치를 위해 발벗고 나섰습니다.
쇼트트랙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출신인 김소희와 한국 썰매종목의 개척자 강광배, 스키 국가대표 출신으로 국제바이애슬론연맹 기획담당 부회장인 김나미는 우리 시간으로 4일 오전 과테말라시티 도심에 설치된 `올림픽 스포츠거리`에서 1시간여 동안 사인회를 가질 예정입니다.
2014년 동계올림픽 개최지 결정을 이틀앞둔 이곳 과테말라시티는 각국의 유치열기가 최고조에 다다르고 있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국정와이드 (376회) 클립영상
- 예스! 평창! `D-2` 47:26
- 평창 표심잡기 47:26
- `드림프로그램` 효과 47:26
- `운명의 날`, 일정은? 47:26
- 한-과테말라 무비자 협정체결 47:26
- 연금 재정 안정화 47:26
- `금융허브` 도약 발판 47:26
- 신용등급 `상향 조정` 47:26
- 해외건설 수주 `날개` 47:26
- 디지털 전자, 상반기 579억달러 수출 47:26
- 재외국민 보호 강화 47:26
- 여성의 힘 `쑥쑥` 47:26
- 미임대율 0.3% 불과 47:26
- `내신반영 50% 유지` 47:26
- 글로벌 신약 만든다 47:26
- 정부, 농업 정보화 4300억 투입 47:26
- `낮아진` 병원 문턱 47:26
- IAEA감시단, 5개 폐쇄대상 시설 감시 47:26
- `다각화 필요` 47:26
- `전문직 비자쿼터, 최소 1만500개 이상` 47:26
- 한국은행에 금융기관 수시 검사권 부여 47:26
- 제대군인 취업지원 업무협약 체결 47:26
- 국민건강영양조사, 4일부터 실시 47:26
- 대형수송함 `독도함`취역 47:26
- 국무회의 브리핑 4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