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환 앵커>
이태원 사고 사망자를 추모하는 합동분향소가 서울광장과 녹사평역 광장에 마련됐습니다.
합동분향소에서는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졌는데요.
서한길 기자가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서한길 기자>
한 시민이 단상 위에 국화꽃을 올려놓습니다.
이어 굳은 표정으로 잠시 묵념을 합니다.
이태원 사고 합동분향소가 마련된 서울광장에서 시민들의 추모가 이어졌습니다.
녹취> 장인복 / 추모객
"사고로 인해서 참 어른들이 잘못인 것 같아요. 내 자식은 아니지만, 자식 같은 마음으로, 너무나 황당하고 기도를 계속하고 있어요 편안한 안식을 누리게..."
녹취> 윤아름 / 추모객
"아이한테 알려주고 싶었어요. 여러 가지 의미로. 어떠한 말보다 직접 여기에 같이 와서 아이가 느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같이 오게 됐어요."
서울광장에선 오전 10시부터 조문이 시작됐습니다.
많은 시민들이 긴 줄에 서서 엄숙히 추모 순서를 기다렸습니다.
추모객 중에는 부모의 손을 잡고 온 어린 아이부터 일부러 지방에서 올라온 분도 있었습니다.
녹사평역 광장에도 합동분향소가 마련됐습니다.
사고 지점 인근에서 사고 사망자들의 안식을 기렸습니다.
녹취> 정영선 / 추모객
"이태원 사고가 난 날에 이태원에 왔었는데 정말 이런 일이 있을 줄은 몰랐고 아침에 일어나보니까 너무 많은 사람들이 사망해 있어서 아직 실감이 잘 안 나고 앞으로는 정말 이런 일이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시민들은 헌화를 하고 기도를 하며 사고 사망자들을 추모했습니다.
(영상취재: 김명현 채영민 김윤상 한기원 이정윤 민경철 송기수 / 영상편집: 김병찬)
합동분향소 곳곳에선 울음 소리가 들리기도 했습니다.
서한길 기자 street@korea.kr
합동분향소는 오는 토요일까지 24시간 운영됩니다. 누구나 합동분향소를 찾아 사고 사망자에 대해 조문할 수 있습니다.
KTV 서한길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1187회) 클립영상
- 이태원 사고 사망자 1명 늘어 155명···부상자 152명 00:24
- 윤 대통령, 국가애도기간 출근길 약식회견 잠정 중단 00:24
- 윤 대통령 "주최자 없는 행사 안전시스템 필요" 02:17
- 한 총리 "유가족·부상자, 시민도 심리상담·치료 지원" 00:38
- 이태원 사고 사망자 추모 이어져···"내 자식 같은 마음으로" 02:00
- 각국 정상 애도 메시지···한국어로 국민 위로하기도 03:12
- 이태원 사고 수습 총력···유가족 지원 대책 등 정부 대응은? 16:04
- '이태원 사고', 간접 경험해도 트라우마 겪을 수 있어 [정책 바로보기] 05:38
-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 사업 계획도 없이 예산 책정? [정책 바로보기] 04:10
- 국제사회도 충격 속 애도···각국 정상들 "한국과 함께 할 것" [굿모닝 해외토픽] 03:23
- 부동산·금융 규제 완화···민생 경제 활성화 계획은? 15:32
- 이태원 사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 (22. 11. 01. 11시) 2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