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 바로가기

공통뷰

부모급여·시간제 보육 확대···양육부담 완화
등록일 : 2022.11.25
미니플레이

김용민 앵커>
정부가 부모급여 도입과 시간제 보육 확대 등 양육부담을 낮추기 위한 정책을 추진합니다.
생애 초기 질 높은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인데요.
자세한 소식은 이혜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이혜진 기자>
올해 3분기 우리나라 합계 출산율은 0.79명.
가임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출생아가 0.8명 아래로 떨어진 건데, 3분기 기준 역대 최저치입니다.
출산·육아에 따른 경제적 부담과 아이를 낳은 뒤 경력 단절 우려 등이 저출생 장기화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정부가 이런 양육자들의 부담을 낮추기 위한 영유아 보육정책을 추진합니다.
출산과 양육 초기에 초점을 맞춰 질 높은 보육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녹취> 최종균 / 보건복지부 인구정책실장
"앞으로 5년간은 변화된 양육환경을 반영해 양육지원과 보육서비스를 질적으로 한 단계 업그레이드 하는 것이 정책 목표가 돼야 할 것입니다."

내년부터 오는 2027년까지 5년간 추진할 중장기 보육 기본계획안에는 우선, 부모급여를 지급해 출산과 양육으로 손실된 소득을 보장하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부모급여는 내년부터 만 0세는 월 70만 원이고, 만 1세는 가정에서 키울 경우 월 35만 원, 시설을 이용하면 월 50만 원입니다.
2024년부터는 가정양육과 시설 이용 관계없이 만 0세 월 100만 원, 만 1세 월 50만 원으로 인상됩니다.
시간제 보육도 늘립니다.
서비스 제공기관을 확대하고, 운영모형도 다양화하기로 했습니다.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를 확충하고, 보건소와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양육 인프라 연결망도 구축합니다.
장애 위험이 있는 영유아는 발달검사와 상담, 재활치료를 연속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공청회를 통해 수렴한 전문가와 국민 의견은 이번 기본계획안에 반영됩니다.
이렇게 보완된 기본계획은 관계부처와 중앙보육정책위원회 심의를 거쳐 다음 달 중 확정 발표될 예정입니다.
(영상편집: 김병찬)

KTV 이혜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103회) 클립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