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보라 앵커>
내년 1월부터 영아기 양육 부담을 덜기 위한 부모급여가 지급됩니다.
만 0세 양육 가정에는 월 70만 원이 지원될 예정인데요.
자세한 소식은 이혜진 기자가 전하겠습니다.
이혜진 기자>
가임기 여성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합계출산율은 0.81명입니다.
저출생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생애 초기 지원으로, 영유아 양육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정부는 출산 후 첫 1~2년간 손실되는 소득을 보장하기 위해 내년부터 부모급여를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1월 1일부터 만 0세는 월 70만 원, 만 1세는 35만 원이 지원됩니다.
후년(2024년)부터는 만 0세 월 100만 원, 만 1세 50만 원으로 늘어날 예정입니다.
급한 일이 생겼을 때 잠시 아이를 맡길 수 있는 시간제 보육서비스도 확대합니다.
정기 이용 수요를 고려해 어린이집 기존 반에서 시간제 보육이 가능하도록 통합반을 운영하고, 이용률도 높일 계획입니다.
녹취> 이기일 / 보건복지부 1차관
"시간제 보육 제공 기간을 확대하겠습니다. 현재 36개월 미만 아동 중 5% 내외의 이용률이 있습니다. 2027년까지는 10%까지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아이돌보미가 집을 방문하는 아이돌봄서비스는 서비스 제공 시간을 하루 4시간, 지원 대상은 8만 5천 가구까지 늘리기로 했습니다.
어린이집 영유아 반 교사 대 아동 비율도 단계적으로 개선합니다.
정부는 이와 함께 영유아 발육 상태를 반영하고 놀이 중심 보육을 실현할 수 있도록 어린이집 공간 규모와 구성을 보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어린이집 평가제도는 정부가 주도하는 일률적 평가에서, 부모와 보육 교직원이 참여하는 평가로 바꿀 계획입니다.
장애 영유아 보육서비스 제공 기관과 인력도 확충하기로 했습니다.
(영상취재: 민경철 / 영상그래픽: 손윤지 / 영상편집: 김병찬)
이 밖에도 어린이집 교직원이 CCTV를 직접 볼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교육과 관리도 강화할 방침입니다.
KTV 이혜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2부 (1238회) 클립영상
- 10일간 소비 진작 '동행축제' 열린다 [경제&이슈] 18:38
- 美, 아프리카에 72조 원 투입 [글로벌뉴스] 06:59
- "건보 급여·자격 강화···절감 재원으로 의료사각지대 지원" 02:30
- 내년 1월부터 부모급여 지급···만 0세 월 70만 원 02:12
- 수출현장 어려움 해소한다···범정부 수출현장지원단 가동 02:05
- 동행축제 시즌2 '윈·윈터 페스티벌' 16일 시작 02:09
- 경기남부·충청권 등에 대설주의보···행안부, 중대본 1단계 가동 00:35
- 정부, 혹한기 우크라이나에 3백만 달러 인도적 지원 00:34
- 정부 "군함도 후속조치 미이행 유감" 00:48
- 올해 상반기 근로장려금 5천21억 일괄 지급 00:25
- 에너지 비상! 절약, 절약, 절약합시다! [라떼는 뉴우스] 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