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 바로가기

공통뷰

산불 동시다발···건조한 날씨·강풍 영향 [뉴스의 맥]
등록일 : 2023.04.03
미니플레이
최대환 앵커>
지난 2일 전국 곳곳에서 34건의 산불이 발생했습니다.
건조한 날씨에 바람까지 강하게 분 것이 불씨 확산에 영향을 준 거로 보이는데요.
취재기자와 자세히 알아봅니다.
김현지 기자, 일단 홍성과 대전·금산 산불이 '산불 대응 3단계'가 발령됐을 정도로 규모가 컸는데요.
불길은 어느 정도 잡혔습니까?

김현지 기자>
산림당국이 이틀째 연일 진화작업을 이어가고 있는데요.
현재 홍성 산불 진화율은 60%고요.
대전·금산 산불은 79% 진화됐습니다.
지금까지 파악된 산불영향구역은 홍성 1131ha, 축구장 1천4백 개를 넘는 엄청난 면적이고요.
대전·금산 475ha, 축구장 600여 개 면적이 피해를 입었는데요.
현재 산림당국은 야간 진화작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송나영 앵커>
하루에 산불 34건이 발생한 건 굉장히 이례적입니다.

김현지 기자>
네, 그렇습니다.
지난 2일에 발생한 산불이 역대 1일 산불건수 중 3번째로 많았습니다.
지난 2002년 4월 5일 식목일에 발생한 산불이 63건으로 가장 많았고요.
두번째로 2000년 4월 5일 50건이고요.
지난 2일 34건이 뒤를 이었습니다.
산불이 가장 많았던 시기들이 공교롭게도 4월5일 식목일이거나 그 직전이었습니다.

최대환 앵커>
아무래도 사람들이 산에 많이 오는 시기이기도 하고요.
또 고온건조한 날씨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네요.

김현지 기자>
네, 그렇습니다.
건조한 날씨는 작은 불씨가 큰불로 이어지게 합니다.
특히 2일 산불이 수도권과 충청권에서 주로 나타났는데요.
동해 북부 해상 고기압 영향으로 동풍이 불면서, 반대 서쪽 지역이 고온 건조해진 탓에 산불이 발생했습니다.
또 봄이 되면서 논밭두렁이나 영농부산물을 태우는 일이 많고요.
따뜻한 날씨에 산을 찾는 사람들이 실수로 불을 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원인들이 모여서 산불이 동시다발로 발생한 겁니다.

송나영 앵커>
이런 건조한 날씨가 작은 불씨와 만나면 불이 붙는데, 강한 바람도 불길을 확산하는 데 큰 영향을 주잖아요?

김현지 기자>
네, 그렇습니다.
건조한 날씨 속에서 바람이 초속 5m에서 10m로 불면 불이 더 빨리 확산됩니다.
실제 홍성과 대전·금산 산불 모두 바람이 순간풍속 초속 10미터 이상의 강한 바람이 불면서 진화에 어려움을 겪었는데요.
여기에 불에 잘 타는 소나무 같은 것들이 많이 심겨 있으면 그 피해는 더 커지는 겁니다.

최대환 앵커>
산불 대부분이 사람의 실수로 발생한다고 하는데, 이제 산을 찾는 분이 점점 더 많아질 것 같은데요.
특별히 조심해야 할 것들, 뭐가 있을까요?

김현지 기자>
먼저 산에 라이터나 담배 같은 화기물을 갖고 가지 말아야 하고요.
취사와 야영은 허용된 지역에서만 해야 합니다.
산과 인접한 곳에선 쓰레기 등을 태우지 말고, 담배꽁초도 무단으로 버리지 말아야 합니다.
그리고 산불이 발생했을 땐 산림청이나 소방서 등에 빨리 신고하고, 산불이 진행되는 방향에서 벗어나서 논이나 밭 등 낮은 장소로 대피해야 합니다.
만약 대피하지 못했다면 바람을 등지고 낙엽이나 나뭇가지 등을 제거한 후 낮은 자세로 엎드려 구조를 기다려야 합니다.

송나영 앵커>
최근 산불이 많이 발생하는 만큼, 산불 예방법뿐만 아니라 대피요령까지 잘 알고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김 기자, 잘 들었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