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 바로가기

공통뷰

지금 월 50만 원 vs. 20년 뒤 월 100만 원 [S&News]
등록일 : 2023.04.07
미니플레이
김용민 기자>
# 개인투자용국채
'국채'하면 뭐가 떠오르세요?
국채보상운동? 학교 다닐 때 국사 공부좀 하셨네요.
네, 그것도 국채죠.
국가의 채무.
그거 말고 국가 채권도 있습니다.
정부가 발행하는 채권을 말하는데요.
대부분 국내 금융기관이 이 채권을 삽니다.
2021년 말 기준으로 개인의 국채 보유 비중이 0.1% 이하라고 하는데, 그 정도라도 있긴 있네요.
지난달 30일 국회 본회의에서 국채법 일부개정법률안이 통과됐습니다.
이를 통해 올 하반기부터 개인투자용 국채가 발행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개인이 투자하는 국채.
채권을 사서 만기 때까지 갖고 있다가 기간 다 채워서 정부에 되팔면 기존 금리에 가산금리를 더해 받을 수 있습니다.
매입액 2억 원까지는 분리과세를 적용해주겠다고 하는데요.
만기는 10년, 20년으로 예상됩니다.
그런데 이게 말이 채권이지 그냥 저축이다 생각하시는게 좋습니다.
채권인데 거래가 안되고요, 거래가 안되니 채권 값이라는게 없습니다.
중간에 환매만 가능하고, 이 땐 세제 혜택같은 인센티브가 사라집니다.
기재부가 보도자료를 내면서 투자 사례를 예로 들었는데요.
요약하면 이렇습니다.
40세부터 월 50만 원씩 20년간 매입하면 60세부터 월 100만 원을 받게된다, 금리를 3.5%로 가정한 건데요.
어떠세요.
지금의 50만 원이냐?
20년 뒤의 100만 원이냐?
아 어렵다~

# 유가
OPEC+가 정말 깜짝 발표를 했습니다.
감산을 결정한 겁니다.
4월 3일 현재 두바이유는 배럴당 79.39달러입니다.
바로 올랐죠.
시장에서는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상황에 충격을 받은 모습입니다.
OPEC+는 석유수출국기구 OPEC와 OPEC 아닌 주요 산유국들의 모임입니다.
물론 러시아도 포함돼 있습니다.
이같은 갑작스러운 감산에 당혹스러운 건 미국입니다.
OPEC+의 이같은 결정이 물가를 자극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블룸버그 통신은 브렌트유의 경우 연말에 최고 100달러까지 갈 수도 있을 것이라는 시장전문가들의 분석을 인용했습니다.
물가가 다시 상방 압력을 받으면 연준은 분명히 금리를 또 올릴겁니다.
안그래도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연준이 계속 긴축을 이어오다가 SVB 사태 등 은행들의 휘청거림으로 잠시 주춤했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준 위원들의 매파적인 발언은 최근까지 있었는데, 만약 유가 때문에 지표가 안 좋다... 이러면 바로 올리려나?
국내에 미치는 영향도 예의 주시해야 합니다.
일단 정부는 올해 국내 물가 상승률을 3.5%로 전망했습니다.
여기엔 작년 큰 폭 물가 상승으로 인한 기저효과와 함께 유가 안정이라는 전제가 깔려 있는데요.
전기료, 가스비 등 그동안 억눌려 있었던 공공요금도 문제인데, 유가마저 오른다면 엎친데 덮치는 격이겠죠.
정말 내일 일을 알 수 없는 게 경제입니다.
다만 실제로 OPEC+가 약속 만큼 감산할 지는 미지수라고 하죠.
제발 물가엔 영향이 없기를 바랍니다.

# IRA세부지침
미국 재무부가 한국 시간으로 지난 1일 IRA의 세부 지침을 공개했습니다.
덕분에 불확실성이 사라졌습니다.
현대자동차와 국내 배터리 업계가 한 숨 돌릴만한 내용입니다.
추경호 경제부총리도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와 연례협의에서 "IRA 등에 따른 국내 기업의 불확실성이 상당 부분 해소됐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말 그대로 잠깐 숨을 돌릴 시간을 벌었을 뿐이죠.
일단 2025년까지 국내 배터리 업체는 리튬, 니켈 등 핵심 광물의 공급처를 더욱 발굴해 다변화해야 합니다.
미국 정부의 세액공제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말이죠.
물론 2년 동안 국제 정세가 어떻게 바뀔지, 한미간 어떤 얘기가 오갈 지는 알 수 없습니다.
추 부총리도 향후 관련 동향을 지켜보면서 미국과 협의를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죠.
에너지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 해 2월까지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1위는 한국의 LG에너지솔루션, 2위는 중국의 CATL, 3위는 일본의 파나소닉으로 집계됐습니다.
물론 4, 5위를 SK온과 삼성SDI가 차지하면서 한국 업체의 시장 점유율은 46.6%로 거의 절반에 달했는데요.
이건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시장입니다.
중국의 추격이 만만치 않죠.
이처럼 시장 상황이 치열합니다.
주어진 시간동안 정부는 정부대로 기업은 기업대로 할 수 있는 부분에 역량을 최대한 집중해야겠습니다.

지금까지 S&News였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195회) 클립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