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 바로가기

공통뷰

윤 대통령, 2박 3일 베트남 일정···국가주석 정상회담 [뉴스의 맥]
등록일 : 2023.06.22
미니플레이
최대환 앵커>
앞서 보신 것처럼 윤석열 대통령이 베트남에 국빈 방문했는데요.
윤 대통령은 베트남에서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갖는 등 2박 3일 동안 일정을 이어갑니다.
이와 관련해 취재기자와 좀 더 이야기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서한길 기자, 우선 이번 베트남 순방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서한길 기자>
네, 우선 베트남은 우리의 3대 교역 대상국이자 아세안 내에서 핵심 협력국가입니다.
정부가 지난해 한-아세안 연대구상을 발표해서 아세안 지역의 주요 협력 국가를 방문하려고 했는데, 마침 지난 3월 베트남 국가주석에 취임한 보 반 트엉 주석이 윤석열 대통령을 초청했기 때문에 베트남 방문이 이뤄지게 됐습니다.
이 밖에도 지난해 이루어진 응우옌 쑤언 푹 당시 국가주석의 방한에 대한 답방이기도 합니다.

송나영 앵커>
취임 이후 양자 방문으로는 동남아 국가 중엔 처음이라고 들었는데, 이번에 베트남을 방문한 윤 대통령 일정은 어떻게 되나요?

서한길 기자>
네, 앞선 리포트에서 보신 것처럼 윤 대통령은 동포간담회를 마치고 하노이국가대학을 방문했습니다.
이어 23일 금요일 보 반 트엉 국가주석이 주최하는 공식 환영식 참석해 한국-베트남 정상회담을 갖습니다.
이 정상회담에서 양국 정상은 지난해 말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로 격상된 양국 관계의 확대 발전 방안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윤 대통령은 이어 베트남 권력 서열 1위인 응우옌 푸 쫑 공산당 서기장을 비롯해 팜밍 찡 총리, 브엉 딩 후에 국회의장 등 최고지도부와도 개별적으로 면담을 가질 예정입니다.
아울러 국빈만찬을 포함한 공식 국빈 일정도 가질 예정입니다.

최대환 앵커>
정상회담을 비롯해 베트남 최고지도부와의 만남이 이어지는군요.
이번 베트남 방문에 다양한 경제행사가 예정되어 있다면서요?

서한길 기자>
네, 맞습니다.
한국-베트남 파트너십 박람회를 비롯해 베트남 진출 기업인과의 오찬 간담회, 그리고 비즈니스 포럼과 디지털 미래세대와의 대화까지, 총 4개의 경제 행사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우선 파트너십 박람회에서 윤 대통령은 베트남 국민들에게 친숙한 K-산업 쇼케이스를 둘러보고 베트남 관람객들과 함께 우리 제품을 직접 체험해 볼 예정입니다.
또 우리 중소중견기업 100여 개 업체와 200여 개 베트남 기업들이 참여하는 무역상담회에 들러 양국 기업인들을 격려하게 됩니다.
베트남에 진출한 약 9천 개의 우리 기업들이 현지에서 70만 명 이상의 고용을 창출하고, 베트남의 수출과 GDP에도 크게 기여해왔는데요.
윤 대통령은 주요 업종을 대표하는 진출 기업인과의 오찬 간담회를 통해 현지 진출 기업인들을 격려하고 베트남과의 협력 관계를 더욱 확대하기 위한 아이디어도 나눌 예정입니다.
이 밖에도 비즈니스 포럼과 미래세대와의 대화를 통해 양국 협력 방안을 논의합니다.

송나영 앵커>
정상회담 이외에도 경제행사까지 있어서 짧은 시간에 많은 일정을 소화하는 건데, 이번 베트남 방문에 대기업 총수들도 동행했다면서요?
역대 최대 규모라고 들었는데 어느 정도입니까?

서한길 기자>
네, 이번 방문에는 윤석열 정부 들어 최대 규모인 205명의 경제사절단이 동행했습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을 비롯해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등 재계 총수들이 대거 동행했습니다.
전경련과 대한상의 등 6대 경제단체 회장들도 모두 순방에 동행합니다.
물론 우리 수출의 주역인 중소 중견 기업인들도 함께 갔는데 중소중견기업이 전체 사절단의 80%를 차지했습니다.
업종도 유통과 금융, IT와 문화콘텐츠 등 서비스 분야가 대거 포함돼 양국 경제 협력이 고도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윤 대통령은 양국간 외교 안보, 경제, 문화 교류 확대 방안 등을 논의하고 24일 귀국할 예정입니다.

최대환 앵커>
최대 규모의 사절단이 동행하다보니 양국 경제 협력도 더욱 확대되겠네요.
이번 방문으로 양국 수교가 더 발전되고 아세안으로의 진출이 더욱 활발히 이어지면 좋겠습니다.
서 기자, 수고했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