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화` vs `규제`
등록일 : 2007.06.08
미니플레이
정부의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에 대해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데요,
8일 관련 전문가들이 모여 토론회를 열었습니다.
강명연 기자>
취재지원 시스템 선진화인가, 알권리 제한인가
각 부처의 브리핑룸을 통합하고 전자 브리핑제를 도입하는 것 등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취재지원 시스템 선진화 방안과 관련해 토론회가 열렸습니다.
한국방송학회 주최로 열린 토론회에서 발제를 맡은 손영준 국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는취재지원 선진화 방안에 대해 취재 관행이라는 것이 부정적인 측면이 있지만 오랜 시간을 걸쳐 제도화 된 것인만큼 칼로 무 베듯 제도를 고치기보다 이해 당사자들의 공론을 통해 바꿔나가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취재 관행은 언론계가 스스로 고쳐 나가야 하는 것이지 정부가 개입할 문제는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취재 선진화를 위해서 정부가 먼저 실질적인 행정정보 공개를 강화해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각 부처내에서 기자실과 브리핑 룸을 합쳐 원스톱 서비스가 가능하게 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안영배 국정홍보처 차장은 그동안 폐쇄적인 기자단 운영으로 기자들이 오히려 다른 기자들의 알권리를 침해한 측면이 있다면서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은 2003년 도입된 개방형 브리핑제를 보완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언론계의 이와 같은 비판과 반발은 지난 2003년 개방형 브리핑제 도입때도 있던 것이라면서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은 언론의 자유 침해가 아닌 취재 편의 제공 방식을 바꾸는 것이라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했습니다.
이와 함께 브리핑도 보도자료 중심이 아닌 질의응답 중심으로 브리핑을 활성화하고 정보 공개법 개정을 추진해 정부의 정보 공개를 더욱 강화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토론자로 나선 한림대 언론정보학부의 최영재 교수는 기자실 구조를 바꾼다고 해서 달라질 것은 없다면서 브리핑 제도를 내실화하지 않고 정보공개법을 시행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정보를 차단해 알권리 침해 할 소지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대해 조기숙 이화여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참여정부는 과거 어느 정부보다 많은 정보가 공개되고 있다면서 그 정보를 제대로 공부하지 않은 채 사실을 왜곡 보도하고 과거 독재 시절처럼 언론의 자유를 탄압하는 주체가 정부라는 인식을 갖고 있는 것이 문제라고 꼬집었습니다.
그러면서 일부 보수 언론이 스스로 자유를 침해하는 것은 아닌지 돌아보아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8일 관련 전문가들이 모여 토론회를 열었습니다.
강명연 기자>
취재지원 시스템 선진화인가, 알권리 제한인가
각 부처의 브리핑룸을 통합하고 전자 브리핑제를 도입하는 것 등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취재지원 시스템 선진화 방안과 관련해 토론회가 열렸습니다.
한국방송학회 주최로 열린 토론회에서 발제를 맡은 손영준 국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는취재지원 선진화 방안에 대해 취재 관행이라는 것이 부정적인 측면이 있지만 오랜 시간을 걸쳐 제도화 된 것인만큼 칼로 무 베듯 제도를 고치기보다 이해 당사자들의 공론을 통해 바꿔나가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취재 관행은 언론계가 스스로 고쳐 나가야 하는 것이지 정부가 개입할 문제는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취재 선진화를 위해서 정부가 먼저 실질적인 행정정보 공개를 강화해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각 부처내에서 기자실과 브리핑 룸을 합쳐 원스톱 서비스가 가능하게 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안영배 국정홍보처 차장은 그동안 폐쇄적인 기자단 운영으로 기자들이 오히려 다른 기자들의 알권리를 침해한 측면이 있다면서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은 2003년 도입된 개방형 브리핑제를 보완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언론계의 이와 같은 비판과 반발은 지난 2003년 개방형 브리핑제 도입때도 있던 것이라면서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은 언론의 자유 침해가 아닌 취재 편의 제공 방식을 바꾸는 것이라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했습니다.
이와 함께 브리핑도 보도자료 중심이 아닌 질의응답 중심으로 브리핑을 활성화하고 정보 공개법 개정을 추진해 정부의 정보 공개를 더욱 강화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토론자로 나선 한림대 언론정보학부의 최영재 교수는 기자실 구조를 바꾼다고 해서 달라질 것은 없다면서 브리핑 제도를 내실화하지 않고 정보공개법을 시행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정보를 차단해 알권리 침해 할 소지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대해 조기숙 이화여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참여정부는 과거 어느 정부보다 많은 정보가 공개되고 있다면서 그 정보를 제대로 공부하지 않은 채 사실을 왜곡 보도하고 과거 독재 시절처럼 언론의 자유를 탄압하는 주체가 정부라는 인식을 갖고 있는 것이 문제라고 꼬집었습니다.
그러면서 일부 보수 언론이 스스로 자유를 침해하는 것은 아닌지 돌아보아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국정와이드 (359회) 클립영상
- 상승기조 `뚜렷` 47:48
- 콜금리 동결,연 4.50% 현수준 유지 47:48
- 동북아 무역 허브로 47:48
- 한 총리 `한미FTA 추가협상 투명하게` 47:48
- 이상 급등하면 거래 정지 47:48
- 원칙대로 47:48
- 언론 개혁해야 47:48
- 우리 쌀 첫 수출 47:48
- 산자부, `석유제품 투명한 가격정보 제공` 47:48
- 개성 이외지역 투자기업 지원 필요 47:48
- 관세청, 수입품 원산지표시 특별단속 47:48
- 경제 민주화 47:48
- 대.중소기업 `상생기금` 47:48
- `선진화` vs `규제` 47:48
- 출연 : 이영찬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본부장 47:48
- 포괄적 협력 추진 47:48
- 투자 유도에 `한 몫` 47:48
- 영상뉴스 47:48
- 13차 한.미 안보정책구상회의 개최 47:48
- 서울메트로 지하철 PR공모전 열려 47: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