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출산 피하는 이유는?···"안정된 미래 보장 어려워"
등록일 : 2023.08.04 20:13
미니플레이
송나영 앵커>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세계 최저 수준인데, 여기엔 혼인 건수 자체가 줄어든 것이 큰 영향을 미칩니다.
결혼과 출산에 대한 청년들의 생각은 어떤지, 또 저출산 극복을 위해 정부는 어떤 대책들을 시행하고 있는지, 이혜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대한뉴스 1325호 1981년 3월 27일)
이혜진 기자>
결혼과 출산이 인생의 당연한 수순처럼 여겨지던 70~80년대.
주변에 독신 청년이 흔치 않던 시절도 있었지만 이제, 시대가 달라졌습니다.
40여 년이 지난 2023년, 결혼은 필수가 아닌, 인생의 다양한 선택지 중 하나입니다.
실제 1970년 29만5천 건이었던 한 해 혼인 건수는 지난해 19만2천 건으로, 10만3천 건이나 줄었습니다.
같은 기간 인구 1천 명당 혼인 건수인 조혼인율도 9.2건에서 3.7건으로 절반 넘게 감소한 상태입니다.
평균 초혼 연령은 남자가 33.7세, 여자는 31.3세입니다.
이혜진 기자 yihj0722@korea.kr
"결혼하는 나이가 늦춰지다 보니 출산율도 해마다 최저치로 떨어지고 있습니다.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출생아 수, 합계출산율은 지난해 기준 0.78명으로, OECD 회원국 가운데 최하위입니다."
(보건복지부 청년세대 간담회)
청년들은 결혼과 출산을 선택하기 버거운 환경이 문제라고 이야기합니다.
집 마련을 위한 경제적 부담은 갈수록 커지는데, 안정적 일자리는 소수에게만 허락되는 게 청년들을 둘러싼 현실의 무게입니다.
여성들이 아이를 낳은 뒤 일터에서 커리어를 이어나가기 어렵다는 문제도 지적됐습니다.
인터뷰> 정창원 / 국토부 2030 청년자문단
"내집 마련과 같이 안정된 미래를 보장하는 부분에서 어려움이 있어서 그렇지 않을까, 그리고 막상 출산 후에도 사회적 분위기나 일터 내 분위기들이 육아를 장려하는 분위기로 이어지지 않아서 그런 것 같습니다."
인터뷰> 이슬기 / 행안부 2030 청년자문단
"주거 문제나 부동산 문제는 당연하게 청년들이 인식하는 저출산 문제의 큰 원인이라고 생각하고요, (이 밖에도) 매스컴 상에서 결혼과 육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각인시키는..."
정부는 결혼과 출산이 행복한 선택이 될 수 있도록 가족친화형 주거 환경 마련 지원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이제 막 살림을 차린 부부와 아이를 키우는 가구에 집을 충분히 공급하는 방향입니다.
녹취> 홍석철 /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상임위원
"정부가 주력해야 될 목표는 우리가 결혼이라든가 출산이라든가 그리고 양육 친화적인 그런 제도와 환경을 만들어가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청년과 신혼부부 대상 공공분양을 늘리고 자녀 수에 따라 공공주택 입주요건도 완화합니다.
신혼부부 대상 주택구입이나 전세자금 대출도 수월해지도록 뒷받침할 계획입니다.
결혼 시기가 늦춰지면서 난임 가정이 많아지고 다둥이 출산도 늘어나는 상황에 맞춰 맞춤형 지원도 강화합니다.
임신·출산 의료비 바우처는 쌍둥이 200만 원, 세쌍둥이 300만 원 등 태아당 100만 원씩 늘립니다.
이와 함께 전국 어디서나 소득에 상관없이 시술받을 수 있도록 난임시술비 지원 소득기준을 폐지합니다.
임신을 위한 냉동난자 시술비용 일부도 지원할 예정입니다.
(영상취재: 김태형 / 영상편집: 김하람 / 영상그래픽: 지승윤)
KTV 이혜진입니다.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세계 최저 수준인데, 여기엔 혼인 건수 자체가 줄어든 것이 큰 영향을 미칩니다.
결혼과 출산에 대한 청년들의 생각은 어떤지, 또 저출산 극복을 위해 정부는 어떤 대책들을 시행하고 있는지, 이혜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대한뉴스 1325호 1981년 3월 27일)
이혜진 기자>
결혼과 출산이 인생의 당연한 수순처럼 여겨지던 70~80년대.
주변에 독신 청년이 흔치 않던 시절도 있었지만 이제, 시대가 달라졌습니다.
40여 년이 지난 2023년, 결혼은 필수가 아닌, 인생의 다양한 선택지 중 하나입니다.
실제 1970년 29만5천 건이었던 한 해 혼인 건수는 지난해 19만2천 건으로, 10만3천 건이나 줄었습니다.
같은 기간 인구 1천 명당 혼인 건수인 조혼인율도 9.2건에서 3.7건으로 절반 넘게 감소한 상태입니다.
평균 초혼 연령은 남자가 33.7세, 여자는 31.3세입니다.
이혜진 기자 yihj0722@korea.kr
"결혼하는 나이가 늦춰지다 보니 출산율도 해마다 최저치로 떨어지고 있습니다.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출생아 수, 합계출산율은 지난해 기준 0.78명으로, OECD 회원국 가운데 최하위입니다."
(보건복지부 청년세대 간담회)
청년들은 결혼과 출산을 선택하기 버거운 환경이 문제라고 이야기합니다.
집 마련을 위한 경제적 부담은 갈수록 커지는데, 안정적 일자리는 소수에게만 허락되는 게 청년들을 둘러싼 현실의 무게입니다.
여성들이 아이를 낳은 뒤 일터에서 커리어를 이어나가기 어렵다는 문제도 지적됐습니다.
인터뷰> 정창원 / 국토부 2030 청년자문단
"내집 마련과 같이 안정된 미래를 보장하는 부분에서 어려움이 있어서 그렇지 않을까, 그리고 막상 출산 후에도 사회적 분위기나 일터 내 분위기들이 육아를 장려하는 분위기로 이어지지 않아서 그런 것 같습니다."
인터뷰> 이슬기 / 행안부 2030 청년자문단
"주거 문제나 부동산 문제는 당연하게 청년들이 인식하는 저출산 문제의 큰 원인이라고 생각하고요, (이 밖에도) 매스컴 상에서 결혼과 육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각인시키는..."
정부는 결혼과 출산이 행복한 선택이 될 수 있도록 가족친화형 주거 환경 마련 지원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이제 막 살림을 차린 부부와 아이를 키우는 가구에 집을 충분히 공급하는 방향입니다.
녹취> 홍석철 /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상임위원
"정부가 주력해야 될 목표는 우리가 결혼이라든가 출산이라든가 그리고 양육 친화적인 그런 제도와 환경을 만들어가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청년과 신혼부부 대상 공공분양을 늘리고 자녀 수에 따라 공공주택 입주요건도 완화합니다.
신혼부부 대상 주택구입이나 전세자금 대출도 수월해지도록 뒷받침할 계획입니다.
결혼 시기가 늦춰지면서 난임 가정이 많아지고 다둥이 출산도 늘어나는 상황에 맞춰 맞춤형 지원도 강화합니다.
임신·출산 의료비 바우처는 쌍둥이 200만 원, 세쌍둥이 300만 원 등 태아당 100만 원씩 늘립니다.
이와 함께 전국 어디서나 소득에 상관없이 시술받을 수 있도록 난임시술비 지원 소득기준을 폐지합니다.
임신을 위한 냉동난자 시술비용 일부도 지원할 예정입니다.
(영상취재: 김태형 / 영상편집: 김하람 / 영상그래픽: 지승윤)
KTV 이혜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277회) 클립영상
- "묻지마 흉기 난동, 무고한 시민 테러···초강경 대응" 02:07
- 법무부, 잇따른 흉기난동에 '가석방 없는 무기징역' 신설 추진 00:37
- 잼버리 폭염 대책 추진···냉동 탑차·쿨링 버스 공급 [정책현장+] 02:16
- "중앙정부가 잼버리 안전관리 책임질 것···예비비 69억 원 의결" [뉴스의 맥] 03:51
- 사상 첫 중대본 2단계···"적극적 폭염 대응" 02:37
- 국가물관리위, 보 해체·상시개방 결정 취소 01:54
- '핵 경보' 신설···재난문자는 구체적으로 02:41
- 한미일, 고위급 사이버안보 첫 회의 개최 00:34
- "서이초 교사, 생활지도 어려움 겪어···학부모 전화에 불안" 02:16
- 결혼·출산 피하는 이유는?···"안정된 미래 보장 어려워" 03:31
- 고용부, 내년도 최저임금 시간당 9,860원 결정·고시 00:32
- 폭염 대응, 경로당에 냉방비 10만 원 추가 지원한다 00:42
- 영유아·어린이 화장품 안전관리에 최선 00:40
- 한국실업○○○○연맹, 여성 선수에게만 대회 출전 시 치마 착용토록 한 규정 삭제 00:41
- 2023년 비대면 전국 학교스포츠클럽 축전 개최 00:49
- 흑해곡물협정 파기···물가 자극하나? [S&News] 0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