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 바로가기

공통뷰

K-콘텐츠 정책금융 확대···관광업계 다각적 지원
등록일 : 2023.08.30 11:43
미니플레이
김용민 앵커>
우리나라 콘텐츠 산업은 작년 수출액 133억 달러를 돌파하며 수출 시장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K-콘텐츠 정책금융을 역대 최고 수준으로 편성하는 등 본격적인 지원에 나섰습니다.
회복세가 두드러지는 관광업계도 다각적으로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김찬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김찬규 기자>
국내 콘텐츠 기업에서 제작한 한 애니메이션.
학생 작품을 원작으로 해 작년 문화체육관광부 OTT 콘텐츠 특성화 대학원 지원사업으로 낸 성과입니다.
해당 작품을 비롯해 세 개의 애니메이션이 티빙, 왓챠 등 국내 주요 OTT에 진출하는 성과를 냈습니다.

인터뷰> 김탁훈 /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교수
"학교에서 학생들이 직접 OTT 콘텐츠를 기획하고 그것이 OTT에 방영이 되고... 시리즈나 장편 같은 것도 기획을 같이해서 좋은 성과가 나지 않을까..."

눈여겨볼 성과를 낸 기업이지만 제작 과정에서 투자를 받지 못해 어려움을 겪기도 했습니다.

인터뷰> 김탁훈 /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교수
"(금전적인 어려움은) 그건 뭐 매일 있는 일이고요. 회사를 제가 15년 정도 운영을 하고 있는데 한 세 번 정도는 정말 심각하게 문을 닫을 뻔했던 것 같아요."

김찬규 기자 chan9yu@korea.kr
"작년 우리나라 콘텐츠 수출액은 133억 달러, 생산유발 효과는 37조 원에 달했습니다. 하지만 국내 콘텐츠 기업의 87%는 여전히 영세규모로 운영되고 있어 자금조달과 수출 판로 개척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정부는 콘텐츠 업계 어려움을 해소하고 K-콘텐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정책금융 공급을 대폭 늘리기로 했습니다.

녹취> 추경호 / 경제부총리
"'K-콘텐츠 전략펀드'를 신규 조성하는 정책금융을 8천억 원에서 1조 8천억 원으로 2배 이상 확대하겠습니다."

K-콘텐츠 펀드 출자 규모가 2천900억 원으로 늘어 콘텐츠 수출과 지식재산권 확보 등에 숨통이 트입니다.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콘텐츠에 투자하는 콘텐츠 전략펀드도 450억 원 규모로 신규 편성됐습니다.
수출판로 개척 지원기업을 늘리고 K-박람회와 해외 홍보관 등 한류 연관산업 지원도 확대합니다.
또, OTT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도 마련해 K-콘텐츠의 동력을 확보합니다.
코로나19 유행이 안정기에 접어들고 중국발 단체관광이 6년 만에 재개되면서 관광업계도 다각적으로 지원합니다.
내년까지 이어지는 한국방문의 해를 맞아 방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K-팝 콘서트를 비롯한 대형 행사를 개최하는 등 해외 관광객 유치 예산을 대폭 확대합니다.
문화와 관광으로 지역 소멸 위기를 극복하는 방안도 구상됐습니다.
폐광, 폐산업 시설을 문화 관광 시설로 탈바꿈하고 남부권 광역 관광 개발을 추진하는 등 지역 맞춤형 문화 관광 인프라를 구축할 예정입니다.
(영상취재: 유병덕 / 영상편집: 김세원 / 영상그래픽: 김민지)

KTV 김찬규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1389회) 클립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