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 ‘횟수 제한 없다’
등록일 : 2007.05.25
미니플레이
한미FTA 협정문이 25일 한국과 미국에서 동시에 공개되었습니다.
협정문 내용중에 세이프가드 발동 횟수 제한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미국보다 강한 공산품은 횟수제한이 오히려 우리에게 유리하고, 우리가 약한 농산물은 횟수에 제한이 없기 때문에 우려할 문제가 아니라는 분석입니다.
박영일 기자>
한미FTA 협정문이 공개되면서 세이프가드 발동 횟수에 대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한미 양측이 동일품목당 한 차례만 세이프가드를 발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 공개되면서, 한번 세이프가드를 발동한 뒤 해당 품목의 수입이 또 다시 급증할 경우 국내 산업을 보호할 대책이 없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김종훈 수석대표는, 세이프가드 발동 횟수 제한은 대미 공산품 수출이 많은 우리측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특히,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약한 농산물에는 특별 세이프가드가 적용됩니다.
모든 상품에 발동할 수 있는 세이프가드는 1회로 발동횟수가 제한되지만, 쇠고기와 돼지고기, 사과 등 30여개의 민감농산물엔 특별세이프가드를 적용해, 횟수에 제한 없이 세이프가드를 발동할 수 있는 것입니다.
특히, 오렌지의 경우는 우리 농가의 출하시기에 수입오렌지의 관세를 높이는 계절관세가 도입돼, 특별세이프가드 적용보다 높은 시장보호 효과가 나타날 것 이라는게 정부의 판단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협정문 내용중에 세이프가드 발동 횟수 제한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미국보다 강한 공산품은 횟수제한이 오히려 우리에게 유리하고, 우리가 약한 농산물은 횟수에 제한이 없기 때문에 우려할 문제가 아니라는 분석입니다.
박영일 기자>
한미FTA 협정문이 공개되면서 세이프가드 발동 횟수에 대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한미 양측이 동일품목당 한 차례만 세이프가드를 발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 공개되면서, 한번 세이프가드를 발동한 뒤 해당 품목의 수입이 또 다시 급증할 경우 국내 산업을 보호할 대책이 없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김종훈 수석대표는, 세이프가드 발동 횟수 제한은 대미 공산품 수출이 많은 우리측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특히,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약한 농산물에는 특별 세이프가드가 적용됩니다.
모든 상품에 발동할 수 있는 세이프가드는 1회로 발동횟수가 제한되지만, 쇠고기와 돼지고기, 사과 등 30여개의 민감농산물엔 특별세이프가드를 적용해, 횟수에 제한 없이 세이프가드를 발동할 수 있는 것입니다.
특히, 오렌지의 경우는 우리 농가의 출하시기에 수입오렌지의 관세를 높이는 계절관세가 도입돼, 특별세이프가드 적용보다 높은 시장보호 효과가 나타날 것 이라는게 정부의 판단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국정와이드 (350회) 클립영상
- 농업, ‘횟수 제한 없다’ 48:40
- 한미FTA 협정문 공개 48:40
- 시장충격 최소화 48:40
- 국제 표준으로 48:40
- 기자실 없어도 ‘1위’ 48:40
- ‘기우’에 불과 48:40
- `세종대왕함` 진수 48:40
- 왕조의 꿈, 태평서곡 48:40
- 부시 `한미FTA, 임기중 주요 과제` 48:40
- 한·아세안FTA, 수산물 수입개방 최소화 48:40
- 부실 감정 ‘퇴출’ 48:40
- 한번으로 ‘끝’ 48:40
- 행정소송법 개정 관련 법무부 전화연결 48:40
- ‘법에 따라’ 감독·제재 48:40
- `한국 증시, 추가 상승 가능성 높다` 48:40
- OECD,내년 한국 성장률 4.8%로 상향조정 48:40
- 알권리 확대 48:40
- `주민소환법` 25일 발효 48:40
- 美,`쌀차관과 2.13합의는 별개문제` 48:40
- 북한, 단거리 미사일 ‘동해로 발사’ 48:40
- 골든로즈호 선체 수색 재개 48:40
- 소방방재청, 안전의식 자가진단 서비스 제공 48:40
- 순간포착 48:40
- 외교통상부 브리핑 48: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