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 바로가기

공통뷰

불법 생활화학제품 원천 차단···녹색산업 수출 22조 목표 [뉴스의 맥]
등록일 : 2024.01.26 21:28
미니플레이
최대환 앵커>
정부가 발표한 올해 주요 환경 정책 살펴보겠습니다.
조태영 기자, 우리 주변을 돌아보면 위험한 환경 물질이 상당히 많은데요.
환경 위험을 줄이기 위한 정부의 대책은 무엇이 있을까요?

조태영 기자>
가습기 살균제 사건 모두 아실겁니다.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한 산모, 영유아 등이 사망하거나 폐질환에 걸린 사건이었는데요.
정부가 공식 인정한 피해자는 5천667명.
이 중 사망자만 1천258명입니다.
이 같은 피해자가 더 이상 나오지 않기 위해서는 살균제 같은 생활화학제품을 철저하게 관리하고 검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부는 올해부터 생활화학제품에 원료명뿐 아니라, 안심/양호/보통/관심 4단계로 원료 안전성까지 표시하기로 했습니다.
또 해외구매대행제품 안전성 조사와 온라인 유통불법제품 감시를 대폭 확대해 불법 생활화학제품을 원천 차단하기로 했습니다.
아울러 정부는 환경 문제 인한 피해가 없도록 권역별 환경 피해 구제 거버넌스를 구축합니다.
이를 위해 지역주민·연구기관 등 참여형 환경보건센터를 14개 광역시도로 확대합니다.

최대환 앵커>
또 환경문제 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것이 '미세먼지'입니다.
봄이 다가오다 보니 걱정이 한층 커지는 데요.
이와 관련한 대책도 마련됐다고요?

조태영 기자>
네, 그렇습니다.
올해 정부는 OECD 하위권 수준의 초미세먼지 농도를, 중위권으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를 내세웠습니다.
먼저 생활주변 초미세먼지 감축 지원을 확대합니다.
이를 위해 현행 12월부터 3월까지 진행되는 계절관리제를 지역별 여건에 따라 연장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 수도권과 충청·호남 지역에만 사용되던 36시간 전 고농도 예보를 전국으로 확대합니다.
여기에 더해 지하역사 내 터널 환기설비에 86억 원을 투입하고, 요리매연 방지시설 설치를 10곳 지원하는 등 국민 생활공간을 중점 관리합니다.

최대환 앵커>
미세먼지는 자동차 배출가스에서 많이 발생하죠.
건강한 대기 질을 위해서는 자동차의 매연관리도 필수일 텐데요.

조태영 기자>
네, 내연기관 자동차는 미세먼지 등 유해물질을 유발하는데요.
정부는 올해 전기차·수소차 등 무공해차 누적 90만 대 달성을 목표하고, 이를 위한 보조금을 강화할 전망입니다.
여기에 4등급 경유차의 조기 폐차를 지원하고, 택배차와 어린이통학차에 대한 경유차 신규 등록을 제한하는 등 친환경 자동차로의 전환에 나섭니다.

최대환 앵커>
'환경은 새로운 경제 언어가 되고 있다'는 말이 있습니다.
친환경 제품과 녹색 시장이 세계 경제에서 그만큼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뜻인데요.
관련해서 정부의 기업 지원이 있다고요?

조태영 기자>
네, 그렇습니다.
ESG경영이 세계의 트렌드가 됐고, ESG공시의무화 추세로 녹색투자는 지속 증가할 전망입니다.
한마디로 탄소중립과 친환경 요소를 지키는 기업이 수출에 유리하다고 표현할 수 있는데요.
정부는 기업의 탄소중립 이행을 위해 저탄소 전환을 지원합니다.
이를 위해 온실가스 감축 설비 설치·교체에 1천277억 원을 투입하고, 온실가스 감축기업이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를 개선하기로 했습니다.

최대환 앵커>
글로벌 녹색산업 시장은 2022년 기준으로 1천600조 원 규모로 추정됩니다.
우리나라도 관련 산업 저변을 확대해야 할 텐데요.
올해는 어떤 정책이 마련됐습니까?

조태영 기자>
정부는 지난해 20조 원이었던 녹색산업 수출규모를 올해 22조 원을 목표하는 등 매년 10% 성장을 목표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그린수소 생산, 매립가스 발전의 '탄소중립' 수력발전, 상하수도, ICT 물관리 시스템의 '스마트 물' 등을 중점 수출한다는 계획입니다.
또 정부는 2027년까지 그린스타트업을 천 개 육성하고, 기업가치 1천억 원 이상인 그린유니콘 기업 10개를 육성할 예정입니다.
녹색수출펀드도 신설하는데요.
성장 가능성이 큰 프로젝트에 올해부터 28년까지 4천억 원을 투입할 예정입니다.
이렇게 정부는 녹색채권, 융자 등 정부지원을 기반으로 한 민간 녹색투자를 2022년 1조8천억 원에서 2027년 5조8천억 원 수준으로 3배 이상 확대할 계획입니다.

최대환 앵커>
네, 지금까지, 정부의 올해 환경 정책에 대해서 살펴봤습니다.
조 기자 수고했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