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의 힘, 주민소환제
등록일 : 2007.05.18
미니플레이
불성실하고 무능력한 자치단체장, 한번 뽑으면 임기가 끝날 때까지는 속수무책이었습니다.
하지만 오는 25일부터 주민소환제가 시행되면 임기와 상관없이 불성실하고 무능력한 단체장들은 주민들이 직접 물러나게 할 수 있습니다.
이경미 기자>
경남의 한 지자체.
막대한 예산을 들여 건립한 특산물 판매장이 수익성이 없어 입주자 선정도 못한 채 방치되고 있습니다.
시민들의 혈세만 낭비하고 있다는 비난을 사고 있지만 어찌할 방법이 없습니다.
하지만 25일부터 상황이 달라질 전망입니다.
그 동안은 지방자치단체장이 아무리 엉뚱한 정책을 펼치더라도 쫓아낼 방법이 전혀 없었지만, 이제는 주민들이 임기와 상관없이 단체장을 소환해 탄핵할 수 있는 주민소환제가 시행되기 때문입니다.
소환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단체장이나 지방의원을 소환하려면 먼저 뜻을 같이하는 주민들이 모여 연대 서명을 해야 합니다.
투표가 실시돼 투표권자의 3분의1 이상이 투표하고 유효투표의 과반수가 찬성하면 소환이 확정되며, 그 즉시 해당 단체장과 지방의원은 물러나게 됩니다.
이후 지역 주민들은 매년 4월과 10월에 치러지는 재. 보궐 선거에서 후임자를 뽑게 됩니다.
행자부는 `주민에 의한 실질적인 통제가 가능해짐에 따라 지방행정의 투명성과 책임성이 한층 강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정부는 또 제도 악용을 막기 위해 임기 시작과 만료 각 1년 내에는 투표 청구를 제한하고 특정지역 주민의 집단 서명 방지 조치를 마련했습니다.
그러나 악용 방지책이 마련됐지만 예상치 못한 부작용은 얼마든지 도사리고 있습니다.
결국 주민소환제는 지방자치단체 주민들의 성숙한 시민의식에 따라 성공 여부가 가릴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하지만 오는 25일부터 주민소환제가 시행되면 임기와 상관없이 불성실하고 무능력한 단체장들은 주민들이 직접 물러나게 할 수 있습니다.
이경미 기자>
경남의 한 지자체.
막대한 예산을 들여 건립한 특산물 판매장이 수익성이 없어 입주자 선정도 못한 채 방치되고 있습니다.
시민들의 혈세만 낭비하고 있다는 비난을 사고 있지만 어찌할 방법이 없습니다.
하지만 25일부터 상황이 달라질 전망입니다.
그 동안은 지방자치단체장이 아무리 엉뚱한 정책을 펼치더라도 쫓아낼 방법이 전혀 없었지만, 이제는 주민들이 임기와 상관없이 단체장을 소환해 탄핵할 수 있는 주민소환제가 시행되기 때문입니다.
소환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단체장이나 지방의원을 소환하려면 먼저 뜻을 같이하는 주민들이 모여 연대 서명을 해야 합니다.
투표가 실시돼 투표권자의 3분의1 이상이 투표하고 유효투표의 과반수가 찬성하면 소환이 확정되며, 그 즉시 해당 단체장과 지방의원은 물러나게 됩니다.
이후 지역 주민들은 매년 4월과 10월에 치러지는 재. 보궐 선거에서 후임자를 뽑게 됩니다.
행자부는 `주민에 의한 실질적인 통제가 가능해짐에 따라 지방행정의 투명성과 책임성이 한층 강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정부는 또 제도 악용을 막기 위해 임기 시작과 만료 각 1년 내에는 투표 청구를 제한하고 특정지역 주민의 집단 서명 방지 조치를 마련했습니다.
그러나 악용 방지책이 마련됐지만 예상치 못한 부작용은 얼마든지 도사리고 있습니다.
결국 주민소환제는 지방자치단체 주민들의 성숙한 시민의식에 따라 성공 여부가 가릴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국정와이드 (346회) 클립영상
- `지역주의 극복해야` 47:40
- 민주주의 밑거름 47:40
- 철도연결 효과와 향후과제 47:40
- `대륙간 철도 완성` 47:40
- 철의 실크로드 실현 47:40
- 북핵 불능화까지 반년에서 1년 걸릴 듯 47:40
- 정부, 대북 경공업 원자재 열차수송 검토 47:40
- 소말리아 납치단체 연락 없어 47:40
- 골든로즈호 최종결과 확인 후 대응 47:40
- BDA 실마리 보인다 47:40
- FTA 추가양보 안 된다 47:40
- 지방경제도 회복세 47:40
- 대부업 이자율 단계적 인하 바람직 47:40
- 北 화물선 부산항 첫 입항 47:40
- 2+5 인적자원 활용 부문 전략 47:40
- 인문학 어떻게 육성하나? 47:40
- 특허가 국제경쟁력 47:40
- 주민의 힘, 주민소환제 47:40
- 학교 모금행위 철저히 감독 47:40
- 위안부문제 아시아연대회의 20일 개막 47:40
- 제주 용암동굴, 세계 자연유산 등재 파란불 47:40
- 순간포착 - 노래를 찾는 사람들의 1987, 그 20년 후에 47: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