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3명 중 1명 "나 혼자 산다", 1인 가구 도움 되는 혜택 찾기! [경제&이슈]
등록일 : 2024.04.23 17:41
미니플레이
임보라 앵커>
오늘의 경제&이슈, 서울 스튜디오 연결해 자세한 이야기 들어보겠습니다.
김현아 앵커!

김현아 앵커>
네, 서울스튜디오입니다.
1인 가구 비율이 해마다 늘고 결혼과 출산을 꺼리면서 탈가족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달라지는 가족 형태를 바탕으로 변화하는 정책과 과제는 무엇일지, 박연미 경제평론가와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연: 박연미 / 경제평론가)

김현아 앵커>
평론가님 가족 형태는 어떻습니까?
1인 가구로 살아본 경험은?
1인 가구가 비율이 33.6%! 셋 중 한 명은 1인 가구인 셈입니다.
왜 이렇게 많아지고 있는 것일까요?

김현아 앵커>
그렇다면 혼자 사는 분들이 가장 어려움을 느낄 때는 언제일까요?
'식사'라는 답변이 단연코 가장 높았는데요.
한데 남녀 간 인식에 약간의 차이는 있다고 합니다.
어떤 차이일까요?

김현아 앵커>
1인 가구를 가구의 한 형태로 인정한지도 얼마 되지 않았습니다.
1인 가구로 살아보니 이런 정책이 시급하다 지원이 필요하다 하는 부분도 많을 텐데요.
어떤 답변들이 나왔을까요?

김현아 앵커>
최근 행정안전부에서 발표한 인구통계에서도 전국 1인 세대수가 천만 세대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관련 영상이 있어 잠시 보고 대담 이어갑니다.

김현아 앵커>
평균적으로 1인 가구의 소득과 자산은 전체 가구의 절반 수준에도 못 미친다고 합니다.
특히 청년과 노년층 비율이 높은데요.
현재도 사회생활의 출발선에 있는 청년 1인 가구를 위한 다양한 방식의 지원들이 이뤄지고 있죠?

김현아 앵커>
1인 가구 증가의 또 다른 한 축이 독거 어르신입니다.
지난해 65세 이상 인구 중 혼자 거주하는 비율이 2.11%를 기록했는데요.
은퇴한 후 소득이 없는 어르신들은 혼자 사는 삶이 더 버거울 수 밖에 없을 텐데요.
어떤가요?

김현아 앵커>
1인 가구 증가와 맞닿는 내용인데요. 결혼에 대한 인식도 변하고 있죠
'결혼하지 않고 독신으로 지내도 좋다~ 답변이 47.4%' '결혼은 하고 아이를 낳지 않는다~ 답변이 34.6%' 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같은 변화의 이유는 뭐라고 보십니까?

김현아 앵커>
지난해 4분기 출산율이 0.6명대까지 떨어졌는데요.
이번 조사에서 자녀를 낳을 계획을 묻는 질문에, 젊은 층에서 출산을 하고 싶다는 답변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늘어난 이유가 있을지, 더불어 꾸준한 출산율 상승을 기대해볼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김현아 앵커>
네, 인구 구조가 급격히 변화하고 가족의 형태도 더 세분화되고 다양해지고 있는데요.
신속하고 탄력적인 정책으로 이 같은 변화에 대응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그밖에 다양한 경제 이슈 살펴봅니다.

김현아 앵커>
은행연합회와 9개 은행이 2천억 원대 재원을 서민 취약계층을 위한 정책자금으로 내놓기로 했습니다.
중-저신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상품인 '햇살론'에 투입될 예정이라고 하는데요.
늘 조기마감 소진이 아쉬웠는데요.
안정적 지원이 가능하게 되겠네요?

김현아 앵커>
올해 들어 정부가 주도해 대출과 보험 등을 한꺼번에 조회하고 비교하는 서비스가 등장했죠.
서민금융플랫폼 '잇다'인데요.
두 달 뒤면 저신용자-저소득자를 위한 정책금융상품까지 확대되면서 햇살론 이용자들이 '잇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죠?

김현아 앵커>
지금까지 박연미 경제평론가였습니다.
오늘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