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 바로가기

공통뷰

아프리카에 한국 쌀농사 기술 전수···"정상회의로 협력 강화" [정책현장+]
등록일 : 2024.05.29 20:05
미니플레이
모지안 앵커>
한-아프리카 서울 정상회의가 다음주로 다가왔습니다.
정부는 아프리카에 우리나라의 쌀농사 기술을 전수해주는 'K-라이스벨트'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요.
이번 회의를 계기로, 쌀 수요를 수입을 통해 메우고 있는 아프리카 국가들과의 협력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김현지 기자입니다.

김현지 기자>
(영상제공: 농촌진흥청)
경운기가 드넓은 논을 갈아냅니다.
일정한 간격을 두며 손으로 모를 심어나갑니다.
50여 년 전 한국 논농사 모습을 떠올리게 하는 이곳은 아프리카 가나.
식량난을 겪는 아프리카 국가들에 한국 쌀농사 기술이 전수되고 있습니다.
쌀 자급률이 낮은 아프리카 국가들의 생산 역량을 높여 기아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는 'K-라이스벨트' 사업.
종자 생산단지를 구축하고 수확량이 많은 우수한 종자를 현지에서 생산해 농가에 보급하는 공적개발원조(ODA) 프로젝트입니다.
현재 세네갈, 감비아, 기니 등 총 7개 국가에서 추진되고 있습니다.
사업이 시작되고 한국과 아프리카 국가들 간 교류는 활발해졌습니다.
지난해 7월 아프리카 8개국 장관이 참석한 'K-라이스벨트 농업장관회의'가 서울에서 열렸고 최근엔 아프리카 공무원들이 한국을 찾아 연수를 받기도 했습니다.
(영상제공: 농림축산식품부)
정부는 아프리카에서 많은 쌀을 생산하기 위해 현지 기후에 적합한 벼 품종을 개발하는 데 나서고 있습니다.

녹취> 유은하 / 농촌진흥청 기술협력국 국외농업기술과장
"(아프리카) 쌀 자급률 향상을 위해 아프리카 벼 연구소와 농촌진흥청의 협력 사업을 통해서 신품종이 많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작년 기준으로 8개국에서 26개 품종이 개발이 됐습니다."

그 결과 지난해 아프리카 6개 국가에서 품질이 높고 수확량이 많은 벼 종자 2천300여 톤을 처음 수확했습니다.

김현지 기자 ktvkhj@korea.kr
"왼쪽 쌀은 현재 아프리카에서 보급되고 있는 '이스리-6'란 품종입니다. 오른쪽에 있는 한국 쌀과 비교했을 때 낱알이 더 얇은데요. 이 품종은 ha당 5~6톤 정도의 쌀이 생산될 정도로 수확량이 많습니다."

아프리카 평균 쌀 생산량보다 2~3배 정도 많은 양입니다.
정부는 2027년부턴 연간 1만 톤의 우수 벼 종자를 생산해 농가에 보급하는 걸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매년 아프리카 인구 약 3천만 명에게 식량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됩니다.

녹취> 이상준 / 농림축산식품부 K-라이스벨트추진단장
"우리나라가 70년대 통일벼 품종 개발을 하고 생산 기반 조성을 통해서 쌀 자급을 달성한 바가 있습니다. 이런 경험을 활용해서 아프리카 식량안보에 기여하는 게 이 사업의 목표인데 향후 사업 진전 현황 그리고 국제 수요 등을 감안해서 (K-라이스벨트 대상 국가를) 추가적으로 확대해나갈 계획입니다."

K-라이스벨트는 다음 달 4일과 5일 개최되는 한-아프리카 정상회의의 공동선언문과 핵심 성과사업에 포함될 거로 전망됩니다.
정부는 정상회의 기간 중 열리는 한-아프리카 농업 컨퍼런스에서 아프리카 남부 국가인 마다가스카르와 말라위, 짐바브웨와 K-라이스벨트 협력 MOU를 체결할 예정입니다.
(영상취재: 강걸원 / 영상편집: 조현지 / 영상그래픽: 강은희)
과거 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다른 나라를 돕는 나라가 된 한국의 농업 기술에 아프리카 국가들의 관심이 모이고 있습니다.

KTV 김현지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