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 바로가기

공통뷰

경복궁 아래 비밀공간···조선 왕실 '보물창고' 첫 공개
등록일 : 2024.06.07 17:47
미니플레이
임보라 앵커>
경복궁 땅 밑에 비밀 창고가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과거 안보회의를 열던 지하 벙커였는데, 지금은 9만 점에 가까운 조선 왕실 유물을 보관하는 수장고로 쓰입니다.
이 비밀 공간의 문이 처음으로 열렸습니다.
김찬규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김찬규 기자>
1995년 철거된 조선총독부 청사는 1960년대 박정희 정부 때 중앙청으로 쓰였습니다.
경복궁 아래 중앙청과 연결된 지하 벙커에서는 안보회의가 열렸습니다.
꽁꽁 숨겨진 비밀 공간은 오늘날 국립고궁박물관의 보물창고, 수장고가 됐습니다.

김찬규 기자 chan9yu@korea.kr
"수장고는 박물관에서 지하로 400미터 가량을 가야 모습을 드러냅니다. 지금 제 발 아래, 조선왕조 500년의 역사가 담긴 수장고가 있습니다."

신원 확인과 카드키 등 8단계 보안절차를 거치면 지하 수장고 16동에 보관된 유물들을 만날 수 있습니다.
두꺼운 쇠 문 안쪽으로 조선 왕실과 대한제국 황실 유물 8만 8천여 점이 보관돼 있습니다.
왕실의 정통성과 권위를 상징하는 도장인 '어보'부터 의례에 사용된 '어책'과 '교명'이 눈부신 자태를 드러냅니다.
거대한 현판도 오동나무 수납함 앞 뒤로 가지런히 걸려있습니다.
2005년 고궁박물관 개관 당시 3만 6천여 점이었던 유물은 20년이 지나 두 배 넘게 늘었습니다.
수장고 포화율은 160%에 이르는데, 유물을 겹겹이 겹쳐서 보관해야 할 정도입니다.

녹취> 정소영 / 국가유산청 국립고궁박물관 유물과학과장
"안전하고 체계적인 보관·관리와 더 많은 분들에게 유물을 소개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추가 공간 확보가 필요한 상황이고요."

고궁박물관은 더 많은 사람이 조선왕조의 이야기를 만나볼 수 있도록 '열린 수장고' 형태의 분관 건립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영상취재: 유병덕 / 영상편집: 정성헌)

KTV 김찬규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