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 바로가기

공통뷰

저출생 추세 반전 추진···"일·가정 양립 필수"
등록일 : 2024.07.08 20:13
미니플레이
모지안 앵커>
정부가 지난달 '인구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저출생 추세를 반전시키기 위한 대책 추진에 나서고 있습니다.
저출생 대책 3대 분야 중 하나, 바로 일·가정 양립인데요.
특히 출산을 결정하는 데 일·가정 양립이 필수적 요소라는 지적입니다.
김현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김현지 기자>
수출포장 기업에 근무하는 허은영 씨.
허 씨는 재작년 초등학교 1학년 딸의 하교 시간에 맞춰 매일 정해진 근무시간보다 1시간 일찍 퇴근했습니다.
아이를 키우는 근로자가 출퇴근 시간을 조정할 수 있게 해주는 유연근무제를 활용한 겁니다.
아이가 하교한 이후 부모가 퇴근할 때까지 생기는 돌봄 공백이 발생하지 않아 만족도가 높았습니다.

녹취> 허은영 / 유연근무제 활용 부모
"아이가 혼자 있는 시간이, 위험부담이 있는 시간이 없어지니까 (좋았어요.) 예전에 유치원 다닐 때는 아이가 항상 마지막까지 남아 있었거든요. 종일반이라서. (유연근무제를 활용하면서) 다른 아이들이하교할 때 엄마랑 같이 갈 수 있으니까 아이가 활발해지고 성격도 좋아진 것 같습니다."

같은 회사 직원 허인호 씨는 지난해 10일간의 배우자 출산휴가를 썼습니다.
아내가 산후조리원을 퇴소하고 산후조리사가 2주 정도 없던 기간 아내와 아이를 돌봤습니다.

녹취> 허인호 / 배우자 출산휴가 사용 근로자
"제가 휴가를 사용했을 때 아기 분유 먹이는 등의 케어 부분, 그리고 집안일 같은 부분에 대해서 케어를 해주니 아내도 만족을 했습니다."

일과 가정의 양립을 중시하는 사회적 분위기는 기업들이 가족 친화적인 조직문화를 만들어가는 데도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녹취> 최은수 / (주)산호피엔엘 CEO
"요즘 양육에 대한 부분을 공동분담하는 경우가 정말 많다고 들었습니다. 근무시간이라든지 주말에 가족과 함께 하는 시간을 최대한 반영해주려고 노력하고 있는 중입니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에 따르면 일·가정 양립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게 뭐냔 질문에 맞벌이 부모들은 육아시간을 확보하는 게 가장 필요하다고 답했습니다.
하지만 인사상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단 우려와 사내 눈치 등의 조직문화, 소득감소 등을 이유로 육아휴직 제도를 쓰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5월 발표된 '2024년 결혼·출산·양육 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근무시간이 줄고 육아시간이 주어졌을 때 출산을 할 의향이 있다는 응답엔 만25세~49세 남녀 2천 명 중 85.2%가 긍정적인 응답을 한 거로 조사됐습니다.
정부는 지난달 저출생 추세를 반전시키기 위한 대책을 내놓으며 선진국 수준의 일·가정 양립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실제 독일은 1994년 합계출산율이 1.24명으로 하락한 후 일·가정 양립 지원 중심으로 정책을 전환해 2015년 이후 1.5명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미국도 높은 재택근무 활용도와 가족친화적 직장문화 영향으로 합계출산율 1.6명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돌봄 수요가 많은 시기에 1년에 1번 2주 단위로 쓸 수 있는 단기 육아휴직 제도를 도입하고 육아휴직 급여도 첫 3개월은 월 250만 원으로 인상하기로 했습니다.
(영상취재: 오민호 이정윤 / 영상편집: 조현지 / 영상그래픽: 김민지)
배우자 출산휴가 기간도 기존 10일에서 20일로 확대했고 근로자가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제도개선도 추진합니다.

김현지 기자 ktvkhj@korea.kr
일·가정 양립이 결혼과 출산을 결정하는 데 핵심 요인이 된 가운데 관련 제도 활성화의 필요성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습니다.

KTV 김현지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