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인 사진을 음란물에···'딥페이크 성범죄' 공포 확산
등록일 : 2024.08.29 07:54
미니플레이
최대환 앵커>
지인의 얼굴에 음란물을 합성한 '딥페이크 영상'이 텔레그램을 통해 광범위하게 퍼지고 있습니다.
중·고등학생부터 교사, 군인 등 대상을 가리지 않으면서, 누구나 피해자가 될 수 있다는 공포가 확산되고 있는데요.
익명의 가면 뒤에 숨은 범죄자들을, 김찬규 기자가 고발합니다.
김찬규 기자>
'지인' 또는 '능욕'으로 텔레그램 채팅방을 검색했더니 개별 대화방 수십 개가 나옵니다.
지인의 신상정보나 일상 사진을 공유해 '딥페이크' 합성물을 제작하는 대화방입니다.
많게는 수천 명, 적게는 수백 명이 참여한 것으로 나옵니다.
대학 등 학교나 지역을 중심으로 대화방이 운영됐고, 교사와 여군 등 특정 직업군을 대상으로 한 불법 합성물을 제작 유포하기도 했습니다.
사진을 전송하고 금액을 지불하면 딥페이크 합성물을 제작해주는 '봇'도 운영되고 있는데, 참가자가 33만 명에 달합니다.
인터뷰> 장윤정 / 취업준비생
"(SNS에) 자기 사진을 올리고 일상을 공유하는 게 일상인데 그 사진을 누군가가 도용해서 딥페이크 합성을 한다는 거를 생각만 해도 소름 끼치는 것 같아요."
전국에서 딥페이크 피해 신고가 잇따랐고 X를 비롯한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텔레그램 딥페이크 피해 지역/학교 목록'이 다수 공유됐습니다.
김찬규 기자 chan9yu_@korea.kr
"딥페이크 피해 학교 명단을 바탕으로 만든 지도입니다. 대한민국 지도 곳곳에 위치가 붉게 표시되어 있는데요. 등록된 학교가 500곳이 넘습니다."
언제 어떻게 딥페이크 합성물 피해자가 될 지 모른다는 공포가 퍼지면서 소셜미디어 계정을 비공개로 전환하거나 사진을 내리는 움직임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백재성 / 대학원생
"학부 때 실제로 그런 일을 겪은 친구가 이미 몇 년 전에 있었고··· (주변에서) 내 사진을 인스타그램이나 아니면 카카오톡에 어디까지 오픈을 해야 될 지 점점 더 고민이 많이되고... 여자친구들이 두려움이나 불안을 많이 느끼고 있는 건 사실인 것 같아요."
경찰청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접수된 텔레그램 성착취 범죄 신고는 모두 297건.
최근 3년 동안 증가세를 보였는데 올해 들어 더 빠른 속도로 범죄가 확산하는 셈입니다.
같은 기간 입건한 피의자 가운데 73.6%인 131명이 10대인 것으로 조사돼 충격을 안깁니다.
전문가들은 태어날 때부터 전자기기에 익숙한 10대에게 딥페이크 합성이 '장난'으로 자리잡았다며 디지털 윤리 교육이 필요하다고 꼬집습니다.
전화인터뷰> 김명주 / 서울여대 정보보호학과 교수
"(딥페이크 합성이) 10대들의 새로운 놀이 문화처럼 시작이 됐다... (초·중·고등학교에서) 디지털 윤리에 대해서 정기적으로 교육받는 시간들이 거의 없습니다. 윤리 부분들을 제도적으로 너무 소홀하게 한 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전문가들은 양형 기준을 높여 '큰 처벌이 따르는 범죄'라는 인식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외국에 서버를 둔 텔레그램 특성상 수사에 한계가 있다는 점도 문제로 꼽힙니다.
적극적인 신고와 위장수사로 가해자를 특정해야 합니다.
현재 위장수사는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성범죄에 한해 가능한데, 이 범위를 확대할 필요성도 제기됩니다.
전화인터뷰> 김명주 / 서울여대 정보보호학과 교수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상황을 놓고 볼 때는 좀 확대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그런 공감대가 넓혀지고 있는 거 같아요. 법적으로도 위장수사, 잠입수사를 성인에 대해서도 확대해서 플랫폼 협조가 힘들면 수사기법이라도 앞서가야 되지 않을까..."
2020년, 'N번방 사건'으로 드러난 디지털 성범죄의 심각성은 4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합니다.
(영상취재: 민경철 / 영상편집: 최은석 / 영상그래픽: 김지영)
대책 마련과 인식 개선이 시급해 보입니다.
KTV 김찬규입니다.
지인의 얼굴에 음란물을 합성한 '딥페이크 영상'이 텔레그램을 통해 광범위하게 퍼지고 있습니다.
중·고등학생부터 교사, 군인 등 대상을 가리지 않으면서, 누구나 피해자가 될 수 있다는 공포가 확산되고 있는데요.
익명의 가면 뒤에 숨은 범죄자들을, 김찬규 기자가 고발합니다.
김찬규 기자>
'지인' 또는 '능욕'으로 텔레그램 채팅방을 검색했더니 개별 대화방 수십 개가 나옵니다.
지인의 신상정보나 일상 사진을 공유해 '딥페이크' 합성물을 제작하는 대화방입니다.
많게는 수천 명, 적게는 수백 명이 참여한 것으로 나옵니다.
대학 등 학교나 지역을 중심으로 대화방이 운영됐고, 교사와 여군 등 특정 직업군을 대상으로 한 불법 합성물을 제작 유포하기도 했습니다.
사진을 전송하고 금액을 지불하면 딥페이크 합성물을 제작해주는 '봇'도 운영되고 있는데, 참가자가 33만 명에 달합니다.
인터뷰> 장윤정 / 취업준비생
"(SNS에) 자기 사진을 올리고 일상을 공유하는 게 일상인데 그 사진을 누군가가 도용해서 딥페이크 합성을 한다는 거를 생각만 해도 소름 끼치는 것 같아요."
전국에서 딥페이크 피해 신고가 잇따랐고 X를 비롯한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텔레그램 딥페이크 피해 지역/학교 목록'이 다수 공유됐습니다.
김찬규 기자 chan9yu_@korea.kr
"딥페이크 피해 학교 명단을 바탕으로 만든 지도입니다. 대한민국 지도 곳곳에 위치가 붉게 표시되어 있는데요. 등록된 학교가 500곳이 넘습니다."
언제 어떻게 딥페이크 합성물 피해자가 될 지 모른다는 공포가 퍼지면서 소셜미디어 계정을 비공개로 전환하거나 사진을 내리는 움직임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백재성 / 대학원생
"학부 때 실제로 그런 일을 겪은 친구가 이미 몇 년 전에 있었고··· (주변에서) 내 사진을 인스타그램이나 아니면 카카오톡에 어디까지 오픈을 해야 될 지 점점 더 고민이 많이되고... 여자친구들이 두려움이나 불안을 많이 느끼고 있는 건 사실인 것 같아요."
경찰청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접수된 텔레그램 성착취 범죄 신고는 모두 297건.
최근 3년 동안 증가세를 보였는데 올해 들어 더 빠른 속도로 범죄가 확산하는 셈입니다.
같은 기간 입건한 피의자 가운데 73.6%인 131명이 10대인 것으로 조사돼 충격을 안깁니다.
전문가들은 태어날 때부터 전자기기에 익숙한 10대에게 딥페이크 합성이 '장난'으로 자리잡았다며 디지털 윤리 교육이 필요하다고 꼬집습니다.
전화인터뷰> 김명주 / 서울여대 정보보호학과 교수
"(딥페이크 합성이) 10대들의 새로운 놀이 문화처럼 시작이 됐다... (초·중·고등학교에서) 디지털 윤리에 대해서 정기적으로 교육받는 시간들이 거의 없습니다. 윤리 부분들을 제도적으로 너무 소홀하게 한 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전문가들은 양형 기준을 높여 '큰 처벌이 따르는 범죄'라는 인식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외국에 서버를 둔 텔레그램 특성상 수사에 한계가 있다는 점도 문제로 꼽힙니다.
적극적인 신고와 위장수사로 가해자를 특정해야 합니다.
현재 위장수사는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성범죄에 한해 가능한데, 이 범위를 확대할 필요성도 제기됩니다.
전화인터뷰> 김명주 / 서울여대 정보보호학과 교수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상황을 놓고 볼 때는 좀 확대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그런 공감대가 넓혀지고 있는 거 같아요. 법적으로도 위장수사, 잠입수사를 성인에 대해서도 확대해서 플랫폼 협조가 힘들면 수사기법이라도 앞서가야 되지 않을까..."
2020년, 'N번방 사건'으로 드러난 디지털 성범죄의 심각성은 4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합니다.
(영상취재: 민경철 / 영상편집: 최은석 / 영상그래픽: 김지영)
대책 마련과 인식 개선이 시급해 보입니다.
KTV 김찬규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7 (255회) 클립영상
- 오늘 국정브리핑···"국민이 궁금해하는 것 대통령이 직접 설명" 01:43
- 성수품 역대 최대 공급···할인 지원 700억 투입 03:03
- 추석 앞둔 소상공인 부담 완화···43조 규모 금융지원 02:16
- 숙박쿠폰 50만 장 배포···국내 관광 활성화 내수회복 02:10
- 지인 사진을 음란물에···'딥페이크 성범죄' 공포 확산 04:05
- 딥페이크 대응···TF 구성·텔레그램 협의체 구성 02:22
- 추석 전후 비상응급 대응···당직 병의원 4천 곳 운영 01:55
- 간호법 국회 통과···"보건의료인 처우 개선·지원 강화" 02:19
- 작년 출생아 23만 명···비혼 출산 비중 '역대 최대' [뉴스의 맥] 04:41
- '기업형 20년 장기임대주택' 도입···임대료 규제 대폭 완화 0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