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대가 `76%`
등록일 : 2007.05.07
미니플레이
사금융을 이용하는 이들의 76%가 20~30대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특히 20대는 여성이, 30대는 남성이 많았습니다.
김미정 기자>
사금융을 이용하는 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사금융 이용자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사금융을 이용한 연령대는 30대 44%, 20대 32%, 40대 17% 순으로 20~30대가 76%를 차지했습니다.
지난해 20~30대 사금융 이용 비율 68%에 비해 8%포인트 가량 늘어난 수치입니다.
특히 30대는 남성이, 20대는 여성이 사금융을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력별로는 대졸 이상의 비율이 높았습니다.
지난해 대졸 이상의 사금융 이용 비율은 58%로 지난 2004년 40%, 2005년 47%에 이어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직종별로는 일정한 급여소득이 있는 직업군의 사금융 이용 비율이 과반수를 차지하는 가운데, 특히 회사원의 이용 비율이 매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금융을 이용하는 이유로는 실직 등 경제력 상실로 인한 생계형 급전 마련이 65%로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자금 용도로는 기존 대출금 상환이 41%로 가장 높았습니다.
한편 사금융을 이용하는 액수는 1인당 평균 960만원, 평균 이용업체는 2.1곳으로 조사됐습니다.
금감원은 사금융 이용자의 70%는 금융채무 불이행자가 아닌 사금융을 이용해 돌려막기를 지속하는 사람들인 만큼 이들에 대한 지원대책을 마련해 추진할 방침입니다.
또 사금융 이용자의 절반 이상이 천만원만 있으면 정상적인 경제활동 복귀가 가능한 만큼, 대안금융 활성화를 통한 지원책 마련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특히 20대는 여성이, 30대는 남성이 많았습니다.
김미정 기자>
사금융을 이용하는 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사금융 이용자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사금융을 이용한 연령대는 30대 44%, 20대 32%, 40대 17% 순으로 20~30대가 76%를 차지했습니다.
지난해 20~30대 사금융 이용 비율 68%에 비해 8%포인트 가량 늘어난 수치입니다.
특히 30대는 남성이, 20대는 여성이 사금융을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력별로는 대졸 이상의 비율이 높았습니다.
지난해 대졸 이상의 사금융 이용 비율은 58%로 지난 2004년 40%, 2005년 47%에 이어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직종별로는 일정한 급여소득이 있는 직업군의 사금융 이용 비율이 과반수를 차지하는 가운데, 특히 회사원의 이용 비율이 매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금융을 이용하는 이유로는 실직 등 경제력 상실로 인한 생계형 급전 마련이 65%로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자금 용도로는 기존 대출금 상환이 41%로 가장 높았습니다.
한편 사금융을 이용하는 액수는 1인당 평균 960만원, 평균 이용업체는 2.1곳으로 조사됐습니다.
금감원은 사금융 이용자의 70%는 금융채무 불이행자가 아닌 사금융을 이용해 돌려막기를 지속하는 사람들인 만큼 이들에 대한 지원대책을 마련해 추진할 방침입니다.
또 사금융 이용자의 절반 이상이 천만원만 있으면 정상적인 경제활동 복귀가 가능한 만큼, 대안금융 활성화를 통한 지원책 마련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국정와이드 (337회) 클립영상
- 한-EU FTA 협상 첫날 48:42
- 실익 `많고` 부담 `적다` 48:42
- 한.EU FTA 농업 협상 순조로울 것 48:42
- 동해 VS 일본해 48:42
- 지난해 출생아 수 6년만에 증가세 48:42
- 이 통일, `한반도 문제 남북이 풀어야` 48:42
- `군사 보장` 해결될까 48:42
- 유럽 뚫는다 48:42
- BDA 해결 임박 48:42
- 힐, 차기 6자회담 직후 방북 검토 48:42
- 맞춤형 교육 48:42
- 올해 체감경기 `지난해보다 나아질 것` 48:42
- 지난해 가구당 경조비 45만8천원 지출 48:42
- 한국 `U-시티` 지능형 교통, 세계화 눈앞 48:42
- 부패,`사전 차단` 48:42
- 미룰수록 `손해` 48:42
- 돌보미 `효도선물` 48:42
- `퍼나르기`도 적용 대상 48:42
- 20,30대가 `76%` 48:42
- 세계가 인정 48:42
- 특허청 개청 30주년 국제콘퍼런스 48:42
- 순간포착 48:42
- 오늘의 브리핑 48: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