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 바로가기

공통뷰

언제나 그리운, 고향역(1972)
등록일 : 2024.11.01 20:50
미니플레이
모두가 서울로 몰려들던 시기가 있었다. 산업화가 한창이던 1960~1975년, 약 700만 명의 농촌 사람들이 도시나 공장지대로 향했다. 너나 할 것 없이 일자리를 찾아 몰려든 탓에 서울로 상경한 사람 중 상당수가 직장조차 구하지 못했다. 결국 그들은 지게꾼, 넝마주이, 고물상, 노점상, 공사장 날품팔이 등을 하며 생계를 유지했다. 고달픈 삶이었다. 이때, 지친 마음을 달래주던 노래. 나훈아가 부르는 <고향역> 이었다.

# 오프닝 및 주제곡 소개
- 고정패널 김장실, 하재근, 특별출연 김태욱 소개
- 가수 김태욱은 작곡가 김정호의 아들. 김정호는 1980년대 그룹 <영과영>으로 데뷔했던 가수이기도.

# 김태욱이 부르는 <고향역>

# 1972년 가요계 : 나훈아 vs 남진
- 1972년은 나훈아와 남진의 라이벌 구도가 가장 절정에 달했을 무렵
- 1972년 나훈아 피습사건: 군 특수부대 출신 남자가 “남진의 사주를 받았다”면서 깨진 술병 파편으로 나훈아의 얼굴에 자상을 입힘. 징역을 살고난 후에는 남진을 찾아가 “당신이 시켜서 한 짓이라고 말하겠다” 위협. 다시 구속됨. 이후 정신이상자의 소행으로 밝혀졌지만, 팬들의 갈등이 심화.

# 1972년에 발표된 노래 <고향역> vs <님과함께>
- 두 사람의 특징이 고스란히 담긴 전혀 다른 노래지만, 공통점이 하나 있음. 이상향의 공간을 그렸다는 것.
- 이전까지 우리나라는 전체 인구의 80퍼센트가 농촌에 거주했던 농촌중심사회. 하지만 196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노동집약적 수출 산업화.
- 농촌에 있는 사람들은 서울을 유토피아로 보고, 교육받을 기회를 찾거나 공장에 취직을 하는 등의 이유로 상경 시작.
- 1960~1975년 사이 농촌을 떠나 도시로 향한 사람의 수는 약 700만 명.

# 개발이 급격하게 진행되던 시기, 하지만...
- 자본이 있거나 교육을 받아왔던 이들은 도시에 금방 적응.
- 하지만 기댈 곳 없이 맨몸으로 도시에 올라온 시골 출신들은 뿌리내리기 어려웠음.
- 지게꾼, 고물상, 노점상, 공사장 등에서 허드렛 일을 하며 도시 빈민이 되기도.

# 젊은이와 명절
- 추석이 오면 ‘민족대이동’이라는 말이 생길 정도로 도시에서 고향으로 이동하는 사람들이 많았음.
- 하지만 고향에 가기에 사정이 여의치 않은 사람들은 포장마차에서 술을 마시며 마음을 달래는데 그침.
- 고향 관련한 노래들이 쏟아져 나오기 시작. 남상규의 <고향의 강>, 나훈아 <너와 나의 고향>, 김상진 <고향이 좋아> 등.

# 김태욱이 부르는 <머나먼 고향(1971)>

# 무명 작곡가와 유명 가수의 만남
- <고향역>을 만든 사람은 작곡가 임종수. <차창에 어린 모습> 이라는 곡을 완성한 뒤, 최고 인기가수였던 나훈아에게 어렵게 곡을 전달.
- 음반을 냈지만, 정부의 국민의식개혁운동과 배치된다는 이유로 방송 불가 판정. 가수 나훈아가 ‘가사를 바꾸고 곡 분위기를 경쾌하게 하자’고 권유.
- 작곡가 임종수는 자신의 통학 경험담을 바탕으로 <고향역>의 가사를 씀. 이번해도 묻힐뻔 했지만, 전국 방송국 PD들이 ‘나훈아의 숨겨진 명곡’으로 <고향역>을 꼽음. 이후 국민 애창곡이 됨.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