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이동통계' 첫 발표···계층 상승 10명 중 2명 미만
등록일 : 2024.12.19 12:26
미니플레이
김현지 앵커>
2022년 기준 소득 계층이 상승한 국민은 10명 중 2명이 채 되지 않았습니다.
최빈곤층인 소득 1분위의 경우 10명 중 7명이 전년과 같은 최하위 소득에 머물렀는데요.
올해 정부가 처음 개발해 선보인 소득이동통계를 조태영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조태영 기자>
소득분위는 소득금액에 따라 인구를 동일 비율 5개 분위로 구분한 것으로 1분위는 하위 20%, 5분위는 상위 20%입니다.
소득이동성은 전년 대비 소득분위가 올라가거나 내려간 사람의 비율을 뜻합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2년 소득이동성은 34.9%입니다.
이중 상향이동은 17.6%로 소득계층이 상승한 사람이 10명 중 2명이 안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연령대별로 보면, 15~39세 청년층의 소득이동성이 41%로 가장 높았습니다.
이어서 40~54세 중장년층 32.2%, 65세 이상 노년층 25.7%였습니다.
청년층 상향 이동 비율은 23%로 하향 이동 비율보다 5%가량 높았지만, 노년층과 중장년층은 하향 이동 비율이 더 높았습니다.
2022년 소득분위별 유지비율을 보면 5분위가 86%로 가장 높았습니다.
10명 중 9명에 가까운 사람이 최상위 소득을 유지했다는 뜻입니다.
소득 1분위의 유지비율은 69.1%로 두 번째로 높았습니다.
10명 중 7명이 소득계층 상승 없이 전년과 같은 최하위 소득에 머문 겁니다.
고소득층인 5분위와 최빈곤층인 1분위의 소득 유지비율이 높다는 것은 계층의 벽이 고착화 됐다는 뜻으로 볼 수 있습니다.
녹취> 최바울 / 통계청 경제사회통계연구실장
"(소득이동성이) 2020년 35.8%로 증가한 이후, 2021년에 35%로 감소했습니다. 2022년에도 34.9%고요. 이러한 부분은 2020년에 코로나로 인한 충격으로 이동성이 증가했고, 그 이후에 회복 과정에서 유지가 좀 더 증가되는 모습을 보인 것으로..."
한편 2017년에 소득 1분위였던 10명 중 7명이 2022년까지 1분위를 탈출했습니다.
이 시기에 여자보다는 남자가, 노년층보다는 청년층이 1분위에서 빨리 벗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올해 처음 발표된 '소득이동통계'는 국세청 소득자료와 국민 1천100만 명 표본을 통해 개인 소득의 이동성 현황을 분석한 자료입니다.
(영상편집: 정수빈 / 영상그래픽: 김민지)
정부는 이번 통계를 토대로 사회이동성 개선과 취약계층 지원에 대한 정책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KTV 조태영입니다.
2022년 기준 소득 계층이 상승한 국민은 10명 중 2명이 채 되지 않았습니다.
최빈곤층인 소득 1분위의 경우 10명 중 7명이 전년과 같은 최하위 소득에 머물렀는데요.
올해 정부가 처음 개발해 선보인 소득이동통계를 조태영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조태영 기자>
소득분위는 소득금액에 따라 인구를 동일 비율 5개 분위로 구분한 것으로 1분위는 하위 20%, 5분위는 상위 20%입니다.
소득이동성은 전년 대비 소득분위가 올라가거나 내려간 사람의 비율을 뜻합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2년 소득이동성은 34.9%입니다.
이중 상향이동은 17.6%로 소득계층이 상승한 사람이 10명 중 2명이 안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연령대별로 보면, 15~39세 청년층의 소득이동성이 41%로 가장 높았습니다.
이어서 40~54세 중장년층 32.2%, 65세 이상 노년층 25.7%였습니다.
청년층 상향 이동 비율은 23%로 하향 이동 비율보다 5%가량 높았지만, 노년층과 중장년층은 하향 이동 비율이 더 높았습니다.
2022년 소득분위별 유지비율을 보면 5분위가 86%로 가장 높았습니다.
10명 중 9명에 가까운 사람이 최상위 소득을 유지했다는 뜻입니다.
소득 1분위의 유지비율은 69.1%로 두 번째로 높았습니다.
10명 중 7명이 소득계층 상승 없이 전년과 같은 최하위 소득에 머문 겁니다.
고소득층인 5분위와 최빈곤층인 1분위의 소득 유지비율이 높다는 것은 계층의 벽이 고착화 됐다는 뜻으로 볼 수 있습니다.
녹취> 최바울 / 통계청 경제사회통계연구실장
"(소득이동성이) 2020년 35.8%로 증가한 이후, 2021년에 35%로 감소했습니다. 2022년에도 34.9%고요. 이러한 부분은 2020년에 코로나로 인한 충격으로 이동성이 증가했고, 그 이후에 회복 과정에서 유지가 좀 더 증가되는 모습을 보인 것으로..."
한편 2017년에 소득 1분위였던 10명 중 7명이 2022년까지 1분위를 탈출했습니다.
이 시기에 여자보다는 남자가, 노년층보다는 청년층이 1분위에서 빨리 벗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올해 처음 발표된 '소득이동통계'는 국세청 소득자료와 국민 1천100만 명 표본을 통해 개인 소득의 이동성 현황을 분석한 자료입니다.
(영상편집: 정수빈 / 영상그래픽: 김민지)
정부는 이번 통계를 토대로 사회이동성 개선과 취약계층 지원에 대한 정책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KTV 조태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1705회) 클립영상
- 정부, 오늘 임시 국무회의···6개 법안 심의 00:17
- 헌재, 오늘 '탄핵심판' 접수 후 첫 재판관 평의 01:40
- 미 금리 인하, 주요 통화 약세···변동성 확대 시 추가 대책 02:09
- 경제·외교 외신간담회···"대외신인도 관리에 역점" 01:53
-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다음 달 15일 시작 01:54
- 육아휴직자 첫 감소···사용률은 남녀 모두 증가 01:42
- '소득이동통계' 첫 발표···계층 상승 10명 중 2명 미만 02:37
- '저가 신고·해외 직구 악용'···관세 고액 체납자 224명 공개 02:31
- "경제와 외교, 국제사회 신뢰 회복에 주력" 25:08
- 제57회 국무회의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모두발언 09:13
- 오늘의 날씨 (24. 12. 19. 10시) 01:24
- 오늘의 핫이슈 (24. 12. 19. 10시) 03:28
- 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마일리지 활용법 18:01
- 타임스퀘어, 2025 숫자 간판 등장 [월드 투데이] 04:20
- 한 권한대행 "국회에 6개 법안 재의 요구···마음 무거워" 0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