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수처 조사 불발···"윤 대통령, 일체 조사 거부"
등록일 : 2025.01.23 13:08
미니플레이
김용민 앵커>
오동운 공수처장은 윤석열 대통령의 계속되는 조사 불응을 지적하며 사법부 결정을 존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김현지 앵커>
조사에 최선을 다하겠단 뜻을 밝혔지만 윤 대통령 측 거부로 강제구인과 현장조사는 어제(22일)도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최영은 기자의 보도입니다.
최영은 기자>
오동운 공수처장이 윤석열 대통령에게 사법부의 결정을 존중하라며, 조사에 협조하지 않는 모습을 지적했습니다.
녹취> 오동운 /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장
"대통령 측에서도 사법부의 결정을 존중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의가 있는 부분은 법질서 테두리 내에서 불복 절차를 따르면 됩니다."
오 처장은 조사를 위한 공수처 출석 통보에 윤 대통령이 응하지 않은 것을 하나하나 언급하며, 조사 시작이 시급하단 점을 강조했습니다.
공수처는 강제구인은 물론 현장 조사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구치소 내부에 조사실을 마련하는 등 대면 조사를 시도했지만 또다시 불발됐습니다.
공수처는 피의자 윤 대통령 측이 일체 조사를 거부했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공수처는 윤 대통령에 대한 강제구인을 시도했지만 아직까지 조사는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헌법재판소 탄핵심판이 끝나자 공수처 수사팀이 서울구치소를 방문했지만 윤 대통령은 의료시설을 찾았습니다.
오 처장은 이에 대해 수사팀이 병원까지 가는 건 인권 차원에서 맞지 않아 구치소에서 기다렸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수사팀이 밤 9시까지 기다렸는데, 윤 대통령이 그 이후 구치소에 도착한 건 수사 회피로 본다며 유감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공수처는 윤 대통령 사건을 검찰에 이첩하는 시점을 논의하고 있다며, 설 연휴 전 사건을 넘길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김태형, 임주완 / 영상편집: 조현지 / 영상그래픽: 손윤지)
KTV 최영은입니다.
오동운 공수처장은 윤석열 대통령의 계속되는 조사 불응을 지적하며 사법부 결정을 존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김현지 앵커>
조사에 최선을 다하겠단 뜻을 밝혔지만 윤 대통령 측 거부로 강제구인과 현장조사는 어제(22일)도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최영은 기자의 보도입니다.
최영은 기자>
오동운 공수처장이 윤석열 대통령에게 사법부의 결정을 존중하라며, 조사에 협조하지 않는 모습을 지적했습니다.
녹취> 오동운 /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장
"대통령 측에서도 사법부의 결정을 존중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의가 있는 부분은 법질서 테두리 내에서 불복 절차를 따르면 됩니다."
오 처장은 조사를 위한 공수처 출석 통보에 윤 대통령이 응하지 않은 것을 하나하나 언급하며, 조사 시작이 시급하단 점을 강조했습니다.
공수처는 강제구인은 물론 현장 조사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구치소 내부에 조사실을 마련하는 등 대면 조사를 시도했지만 또다시 불발됐습니다.
공수처는 피의자 윤 대통령 측이 일체 조사를 거부했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공수처는 윤 대통령에 대한 강제구인을 시도했지만 아직까지 조사는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헌법재판소 탄핵심판이 끝나자 공수처 수사팀이 서울구치소를 방문했지만 윤 대통령은 의료시설을 찾았습니다.
오 처장은 이에 대해 수사팀이 병원까지 가는 건 인권 차원에서 맞지 않아 구치소에서 기다렸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수사팀이 밤 9시까지 기다렸는데, 윤 대통령이 그 이후 구치소에 도착한 건 수사 회피로 본다며 유감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공수처는 윤 대통령 사건을 검찰에 이첩하는 시점을 논의하고 있다며, 설 연휴 전 사건을 넘길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김태형, 임주완 / 영상편집: 조현지 / 영상그래픽: 손윤지)
KTV 최영은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1728회) 클립영상
- 윤 대통령, 오늘 탄핵심판 4차 변론 출석 02:02
- 공수처 조사 불발···"윤 대통령, 일체 조사 거부" 01:46
- 트럼프시대 '북핵' 지각변동···북 최고인민회의 주목 02:05
- 지난해 한국 경제 2% 성장···전망치 밑돌아 00:26
- 고농도 미세먼지 기승···외출시 마스크 착용 00:23
- 둔덕 구조 방위각시설 제거···활주로 안전구역 확장 02:08
- 11월 출생아 14.6% 증가···5개월 연속 상승 01:44
- 사전청약 피해자 당첨자 지위 유지···우선 입주 기회 02:00
- 트럼프발 "무역 폭풍···신속·체계적 대응" 24:17
- 마크롱, 유럽 주권 강조 [월드 투데이] 04:35
- "장바구니는 무겁게, 마음은 가볍게" <설 명절 알뜰 장보기> 19:55
- 마른김 값 오르는데, 물김은 '폐기 사태'? [정책 바로보기] 03:47
- 오늘의 핫이슈 (25. 01. 23. 11시) 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