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메프 사태 대응···"조정 불성립 시 집단소송 지원"
등록일 : 2025.01.23 17:55
미니플레이
임보라 앵커>
위메프, 티몬 사태와 관련해 정부가 대응 방안을 마련했습니다.
환불조정안을 대상업체가 수용하지 않을 경우, 소비자 집단 소송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피해 기업에는 금융 지원을 이어갈 방침입니다.
신경은 기자입니다.
신경은 기자>
피해 금액이 1조 3천억 원에 달하는 대규모 미정산 사태를 일으킨 위메프와 티몬.
피해를 본 판매자는 5만 개 업체에 달하고, 2만여 명의 소비자도 피해를 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12월 기준, 소비자가 결제했지만 배송이 안 된 상품과 핀번호가 발행되지 않은 상품권 445억 원 어치는 환불됐습니다.
다만 여행, 숙박, 항공권 환불은 진행 중입니다.
판매사와 결제대행사가 소비자 피해액 135억 원을 분담하라는 조정안이 지난달 나온 상태입니다.
판매사와 결제대행사가 수용 여부를 결정해야 하는데 조정안을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소비자 집단소송을 지원하겠다는 것이 정부의 설명입니다.
피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게는 만기 연장, 긴급 경영안정자금 등 4천885억 원이 지원됐습니다.
관광 업계와 지역의 피해 업체를 대상으로 맞춤형 자금 지원도 이뤄졌습니다.
녹취> 김범석 / 기획재정부 1차관
"피해 소상공인 재기를 돕기 위해 올해부터 소상공인 재도전 특별자금도 우대하고, 전통 소매업 분야의 신속한 정산방안 마련 등 제도 개선도 지속하겠습니다."
정부는 앞으로 '온라인 플랫폼 피해대응 TF'를 통해 추가 피해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할 계획입니다.
또 대규모유통업법,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이 조속히 통과될 수 있도록 국회와 적극적으로 협력할 예정입니다.
(영상취재: 김태우 / 영상편집: 오희현 / 영상그래픽: 민혜정)
KTV 신경은입니다.
위메프, 티몬 사태와 관련해 정부가 대응 방안을 마련했습니다.
환불조정안을 대상업체가 수용하지 않을 경우, 소비자 집단 소송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피해 기업에는 금융 지원을 이어갈 방침입니다.
신경은 기자입니다.
신경은 기자>
피해 금액이 1조 3천억 원에 달하는 대규모 미정산 사태를 일으킨 위메프와 티몬.
피해를 본 판매자는 5만 개 업체에 달하고, 2만여 명의 소비자도 피해를 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12월 기준, 소비자가 결제했지만 배송이 안 된 상품과 핀번호가 발행되지 않은 상품권 445억 원 어치는 환불됐습니다.
다만 여행, 숙박, 항공권 환불은 진행 중입니다.
판매사와 결제대행사가 소비자 피해액 135억 원을 분담하라는 조정안이 지난달 나온 상태입니다.
판매사와 결제대행사가 수용 여부를 결정해야 하는데 조정안을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소비자 집단소송을 지원하겠다는 것이 정부의 설명입니다.
피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게는 만기 연장, 긴급 경영안정자금 등 4천885억 원이 지원됐습니다.
관광 업계와 지역의 피해 업체를 대상으로 맞춤형 자금 지원도 이뤄졌습니다.
녹취> 김범석 / 기획재정부 1차관
"피해 소상공인 재기를 돕기 위해 올해부터 소상공인 재도전 특별자금도 우대하고, 전통 소매업 분야의 신속한 정산방안 마련 등 제도 개선도 지속하겠습니다."
정부는 앞으로 '온라인 플랫폼 피해대응 TF'를 통해 추가 피해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할 계획입니다.
또 대규모유통업법,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이 조속히 통과될 수 있도록 국회와 적극적으로 협력할 예정입니다.
(영상취재: 김태우 / 영상편집: 오희현 / 영상그래픽: 민혜정)
KTV 신경은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2부 (1745회) 클립영상
- 윤 대통령 탄핵심판 4차 변론···첫 증인신문 01:53
- 공수처, 윤 대통령 사건 검찰 송부···"진상 규명에 효율적" 01:42
- 한은, 지난해 성장률 2%···"정치 불확실 영향" 01:35
- "미 신정부 정책 기민하게 대응"···배달플랫폼 상생안 발표 02:21
- 티메프 사태 대응···"조정 불성립 시 집단소송 지원" 01:52
- 개인정보 해외 이전 카카오페이·애플···과징금 83억 원 02:26
- 한-영 고위급 신속 안보 핫라인 개설 합의 00:36
- 설 성수식품 점검···위반업체 115곳 적발 00:37
- 국가 차원 '손상' 관리 본격화···관리위 신설 00:27
- 틱톡 앱 복귀 기다리는 미국 팬들 [글로벌 핫이슈] 05:50
- 오늘의 증시 (25. 01. 23. 17시) 01:30
- 설 연휴 국내 여행 2편 '가족과 함께하기 좋은 여행지' [여행을 떠나요] 26:30
- 한·말레이시아 수교 65주년, 협력의 새 역사 쓴다 [세계 속 한국] 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