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트럼프 2기 "완전한 북 비핵화 추구"
등록일 : 2025.01.31 14:15
미니플레이
김용민 앵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두 번째 임기 때도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추구할 거라고 백악관이 밝혔습니다.
취임 후,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는 듯한 표현에 우려가 커졌는데, 명확한 입장을 내보였습니다.

김현지 앵커>
이와 함께 설연휴 중 김해공항에서 발생한 여객기 사고에 정부는 사고 수습과 화재 원인 규명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서울 스튜디오 연결해 자세한 내용 살펴봅니다.
박성욱 앵커.

박성욱 앵커>
네, 대담 이어가겠습니다.
미국 신정부의 정책이 구체화되면서 변화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북핵 문제와 함께 경제 현안까지 정부는 예의주시하며 동향을 점검하고 있는데요, 한치호 수원대 공공정책대학원 객원교수와 관련 내용 짚어봅니다.
안녕하세요.

(출연: 한치호 / 수원대 공공정책대학원 객원교수)

박성욱 앵커>
우선 북핵 문제부터 짚어보겠습니다.
백악관이 트럼프 1기 때와 마찬가지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추구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후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는 듯한 표현을 쓰면서 우려가 있었는데, 확실히 일축한 것으로 보입니다.

박성욱 앵커>
그간 북한에 대해 핵 보유국으로 인정하고 핵군축 협상, 스몰딜에 나서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있었는데요, 북한과의 대화는 시도하겠지만 '북한 비핵화 원칙'에는 변화가 없단 입장을 확인한 것으로 보면 될까요?

박성욱 앵커>
백악관의 명확한 입장표명에는 북한의 태도에도 이유가 있을 듯 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후 대화 의사를 언급했지만 김정은은 보란 듯이 핵시설을 방문하고, 미사일 도발도 감행했습니다.
미국의 입장 발표, 북한에도 강력한 메시지가 되지 않을까요?

박성욱 앵커>
설 연휴, 가슴을 철렁하게 하는 사고가 있었습니다.
설을 하루 앞두고 김해공항을 막 떠나려던 에어부산 여객기에서 불이 나서 탑승자들이 비상탈출을 했습니다.
우선 사고 개요부터 짚어 주시죠.

박성욱 앵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사고와 관련해 국토교통부 등 관계기관에 신속한 사고 수습과 사고 원인에 대한 철저한 조사를 지시했습니다.

박성욱 앵커>
모두 탈출에 성공하긴 했지만, 일부 승객은 짐을 챙겼다고 하죠.
나중에 승무원의 지시가 있었다고 전해졌습니다만 일부 승객이 직접 비상구를 열어 혼란한 모습도 보였습니다.
비상시에 반드시 지켜야 할 원칙들이 있지 않습니까?

박성욱 앵커>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발생 한 달여 만에 김해공항에서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가 발생하면서 저비용항공사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기체 결함은 아니라는데 힘이 실리고 있지만, 이용객들의 불안이 큰 것 같습니다.

박성욱 앵커>
주제를 바꿔보겠습니다.
설 연휴 동안에도 정부는 우리 경제를 둘러싼 현안 점검에 바쁜 행보를 보였습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이 금융수장들이 F4회의를 열었는데, 미 연준의 금리 동결이 결정되면서 집중 논의 된 것으로 보입니다.

박성욱 앵커>
미 연준은 앞으로도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을 것이라는 뜻을 밝히기도 했는데요.
다음 달 기준금리 결정을 앞둔 한국은행의 결정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박성욱 앵커>
F4회의에서는 미국 신 정부 정책 동향과 시장에 미칠 영향도 계속 점검해 나갈 것을 주문했습니다.
이 가운데, 무역과 산업 정책을 총괄할 상무부 장관 지명자가 미국 내 생산과 보조금 미지급 등을 언급했는데요, 당장 우리 기업이 영향을 받는 만큼 정부의 대책 마련이 필요해 보입니다.

박성욱 앵커>
현재 국가신용등급이 잘 유지되고 있지만 대내외 여건의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국가신용등급 하락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정부가 국제금융협력대사를 통해 직접 관리하기로 했죠?

박성욱 앵커>
금융감독원은 미국 트럼프 정부의 정책변화에 민감한 산업과 기업들의 자금동향을 점검하고 있다고 합니다.
기업들의 자금조달에 어려움이 있는지 살펴보겠다는 의미로 보면 될까요?

박성욱 앵커>
지금까지 한치호 수원대 공공정책대학원 객원교수와 이야기 나눴습니다.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