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 화재 10년간 14건···재산 피해액은 최대
등록일 : 2025.02.01 09:03
미니플레이
최대환 앵커>
항공기 화재는 지난 10년 동안 14건으로 발생 건수론 많지 않지만, 건당 평균 피해액은 2억5천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 번 발생하면 인명과 재산 피해 모두 큰 만큼, 기내 수하물에 대한 안전 규정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계속해서 김경호 기자입니다.
김경호 기자>
지난 2015년부터 10년 동안 발생한 항공기 화재는 모두 14건.
전체 화재 건수 대비 항공기 화재 비중은 0.003%에 그쳤습니다.
같은 기간 화재 발생 장소 가운데 야외에서 발생한 화재가 7만3천여 건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단독주택이 5만7천여 건으로 뒤를 이었고, 공동주택과 자동차 화재도 각각 4만 건을 웃돌았습니다.
반면 화재 발생 시 재산 피해는 항공기 화재가 가장 컸습니다.
항공기 화재 한 건당 재산 피해액은 2억5천여만 원으로 유일하게 2억 원을 넘겼습니다.
다음으로는 항공시설과 위험물제조소의 재산 피해액이 각각 1억9천만 원에 달했습니다.
발전시설 피해도 평균 1억5천만 원을 상회했습니다.
이와 같이 항공기 화재는 한 번 발생하면 피해가 큰 만큼 수하물에 대한 안전 규정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전화 인터뷰> 공하성 / 우석대학교 소방방재학과 교수
"보조배터리와 전자담배, 무선형 고데기 등 미처 생각하지 못했지만 위험성이 높은 수하물에 대한 안전규정을 강화하고 보다 세밀하게 들여다볼 필요가 있습니다."
여객기 탑승객에게는 비상 상황 발생 시 승무원 지시에 신속히 따르는 것이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길이라고 전문가는 조언했습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민혜정)
KTV 김경호입니다.
항공기 화재는 지난 10년 동안 14건으로 발생 건수론 많지 않지만, 건당 평균 피해액은 2억5천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 번 발생하면 인명과 재산 피해 모두 큰 만큼, 기내 수하물에 대한 안전 규정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계속해서 김경호 기자입니다.
김경호 기자>
지난 2015년부터 10년 동안 발생한 항공기 화재는 모두 14건.
전체 화재 건수 대비 항공기 화재 비중은 0.003%에 그쳤습니다.
같은 기간 화재 발생 장소 가운데 야외에서 발생한 화재가 7만3천여 건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단독주택이 5만7천여 건으로 뒤를 이었고, 공동주택과 자동차 화재도 각각 4만 건을 웃돌았습니다.
반면 화재 발생 시 재산 피해는 항공기 화재가 가장 컸습니다.
항공기 화재 한 건당 재산 피해액은 2억5천여만 원으로 유일하게 2억 원을 넘겼습니다.
다음으로는 항공시설과 위험물제조소의 재산 피해액이 각각 1억9천만 원에 달했습니다.
발전시설 피해도 평균 1억5천만 원을 상회했습니다.
이와 같이 항공기 화재는 한 번 발생하면 피해가 큰 만큼 수하물에 대한 안전 규정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전화 인터뷰> 공하성 / 우석대학교 소방방재학과 교수
"보조배터리와 전자담배, 무선형 고데기 등 미처 생각하지 못했지만 위험성이 높은 수하물에 대한 안전규정을 강화하고 보다 세밀하게 들여다볼 필요가 있습니다."
여객기 탑승객에게는 비상 상황 발생 시 승무원 지시에 신속히 따르는 것이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길이라고 전문가는 조언했습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민혜정)
KTV 김경호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7 (348회) 클립영상
- '내란특검법' 재의 요구···"헌법·국익 부정적 영향" 02:12
- 헌재 "탄핵심판, 재판관 성향에 좌우되지 않아" 02:23
- 윤 대통령, 대통령실 참모진 접견···일반 접견은 처음 00:32
- 에어부산 화재 여객기, 2월 3일 현장 감식 실시 02:07
- 항공기 화재 10년간 14건···재산 피해액은 최대 01:47
- 기내 배터리 사고 지난해 5건···관리 규정 '모호' 지적도 [뉴스의 맥] 03:57
- 지난해 방한 관광객 1천630만 명···코로나 이전 93.5% 회복 02:17
- 설 연휴 응급실 찾은 경증 환자 41% 감소 01:32
- 설 연휴 대설 피해에 응급복구 총력···"농축산물 탄력적 공급" 01:48
- 설 연휴 119신고 13만여 건···전년 대비 50% 증가 00:26
- 철도지하화 하위 법령 시행···용적률 150%·건폐율 최대 완화 01:51
- "요소 대란 없다"···중국산 비중 20%대로 감소 02:13
- 최 권한대행 공관장 인사 단행···주쿠바대사에 이호열 00: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