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 화재 10년간 14건···재산 피해액은 최대
등록일 : 2025.02.03 11:36
미니플레이
김용민 앵커>
항공기 화재는 지난 10년 동안 14건 발생했지만 평균 재산 피해액은 2억5천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김현지 앵커>
한 번 발생하면 인명과 재산 피해 모두 상당한 만큼 기내 수하물에 대한 안전 규정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경호 기자입니다.
김경호 기자>
지난 2015년부터 10년 동안 발생한 항공기 화재는 모두 14건.
전체 화재 건수 대비 항공기 화재 비중은 0.003%에 그쳤습니다.
같은 기간 화재 발생 장소 가운데 야외에서 발생한 화재가 7만3천여 건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단독주택이 5만7천여 건으로 뒤를 이었고, 공동주택과 자동차 화재도 각각 4만 건을 웃돌았습니다.
반면 화재 발생 시 재산 피해는 항공기 화재가 가장 컸습니다.
항공기 화재 한 건당 재산 피해액은 2억5천여만 원으로 유일하게 2억 원을 넘겼습니다.
다음으로는 항공시설과 위험물제조소의 재산 피해액이 각각 1억9천만 원에 달했습니다.
발전시설 피해도 평균 1억5천만 원을 상회했습니다.
이와 같이 항공기 화재는 한 번 발생하면 피해가 큰 만큼 수하물에 대한 안전 규정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전화 인터뷰> 공하성 / 우석대학교 소방방재학과 교수
"보조배터리와 전자담배, 무선형 고데기 등 미처 생각하지 못했지만 위험성이 높은 수하물에 대한 안전규정을 강화하고 보다 세밀하게 들여다볼 필요가 있습니다."
여객기 탑승객에게는 비상 상황 발생 시 승무원 지시에 신속히 따르는 것이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길이라고 전문가는 조언했습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민혜정)
KTV 김경호입니다.
항공기 화재는 지난 10년 동안 14건 발생했지만 평균 재산 피해액은 2억5천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김현지 앵커>
한 번 발생하면 인명과 재산 피해 모두 상당한 만큼 기내 수하물에 대한 안전 규정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경호 기자입니다.
김경호 기자>
지난 2015년부터 10년 동안 발생한 항공기 화재는 모두 14건.
전체 화재 건수 대비 항공기 화재 비중은 0.003%에 그쳤습니다.
같은 기간 화재 발생 장소 가운데 야외에서 발생한 화재가 7만3천여 건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단독주택이 5만7천여 건으로 뒤를 이었고, 공동주택과 자동차 화재도 각각 4만 건을 웃돌았습니다.
반면 화재 발생 시 재산 피해는 항공기 화재가 가장 컸습니다.
항공기 화재 한 건당 재산 피해액은 2억5천여만 원으로 유일하게 2억 원을 넘겼습니다.
다음으로는 항공시설과 위험물제조소의 재산 피해액이 각각 1억9천만 원에 달했습니다.
발전시설 피해도 평균 1억5천만 원을 상회했습니다.
이와 같이 항공기 화재는 한 번 발생하면 피해가 큰 만큼 수하물에 대한 안전 규정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전화 인터뷰> 공하성 / 우석대학교 소방방재학과 교수
"보조배터리와 전자담배, 무선형 고데기 등 미처 생각하지 못했지만 위험성이 높은 수하물에 대한 안전규정을 강화하고 보다 세밀하게 들여다볼 필요가 있습니다."
여객기 탑승객에게는 비상 상황 발생 시 승무원 지시에 신속히 따르는 것이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길이라고 전문가는 조언했습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민혜정)
KTV 김경호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1731회) 클립영상
- 4일 탄핵심판 5차 변론···증인신문 예정 02:07
-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오늘 합동감식 00:36
- 7년 만에 가장 추운 '입춘'···경기·강원 '한파주의보' 00:32
- 최저·최고금리 함께 표시···금감원, 대출광고 개선책 마련 01:45
- 교통문화지수 0.81점 상승···"스마트폰 사용은 심각" 01:52
- 해군 기동함대사령부 창설···해상기반 3축 체계 핵심 전력 00:33
- 항공기 화재 10년간 14건···재산 피해액은 최대 01:42
- 지난해 방한 관광객 1천630만 명···코로나 이전 93.5% 회복 02:16
- "요소 대란 없다"···중국산 비중 20%대로 감소 02:09
- "관세전쟁" 본격화 24:04
- 캐나다·멕시코·중국에 관세 폭탄 [월드 투데이] 03:40
- 2025년 외교부 정책방향은? 17:51
- 청년농 키운다던 정부, 지원은 '나 몰라라?' [정책 바로보기] 04:09
- 오늘의 핫이슈 (25. 02. 03. 11시) 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