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문화지수 0.81점 상승···"스마트폰 사용은 심각"
등록일 : 2025.02.03 11:36
미니플레이
김용민 앵커>
우리 국민의 교통 문화 수준이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교통문화지수는 전년 대비 0.81점 올랐는데요.
김현지 앵커>
다만 운전자나 보행자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례는 여전히 많았습니다.
임보라 기자의 보도입니다.
임보라 기자>
국민의 교통 안전의식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교통문화지수'.
2024년 교통문화지수가 전년 대비 0.81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토교통부가 전국의 운전행태를 조사한 결과, 최근 5년간 대부분의 지표가 개선됐습니다.
특히 '이륜차 승차자 안전모 착용률'과 '횡단보도 정지선 준수율'이 2년째 올랐습니다.
'운전 중 스마트기기 준수율' 또한 전년보다 높아졌습니다.
다만 여전히 운전자의 36%는 주행 중 스마트폰을 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횡단보도를 건널 때 스마트폰을 보는 보행자 또한 15%에 육박했습니다.
이밖에 보행자의 '횡단 중 스마트기기 미사용 준수율', '횡단보도 신호 준수율'은 전년 대비 하락해, 보행자의 안전의식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녹취> 박기태 / 변호사
"차대 사람 사고 같은 경우는 횡단보도나 도로를 건널 때 사고가 많습니다. 당연히 무단횡단은 피해주시고 횡단보도를 건널 때 앞, 뒤, 옆을 살피는 습관을 들이는 게 중요합니다."
지자체별 교통문화지수 1위는 강원 원주시, 충남 논산시, 충북 영동군, 인천 연수구였습니다.
이중 영동군은 운전행태 수준 1위로, 조사 기간 중 보행 사망자가 단 한 명도 없었습니다.
교통문화지수가 E등급에서 B등급으로 대폭 상승한 '서울 강서구'도 우수 지자체로 선정됐습니다.
국토교통부는 교통문화지수 하위 20% 이내 지자체 4곳을 뽑아, 맞춤형 개선안을 마련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KTV 임보라입니다.
우리 국민의 교통 문화 수준이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교통문화지수는 전년 대비 0.81점 올랐는데요.
김현지 앵커>
다만 운전자나 보행자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례는 여전히 많았습니다.
임보라 기자의 보도입니다.
임보라 기자>
국민의 교통 안전의식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교통문화지수'.
2024년 교통문화지수가 전년 대비 0.81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토교통부가 전국의 운전행태를 조사한 결과, 최근 5년간 대부분의 지표가 개선됐습니다.
특히 '이륜차 승차자 안전모 착용률'과 '횡단보도 정지선 준수율'이 2년째 올랐습니다.
'운전 중 스마트기기 준수율' 또한 전년보다 높아졌습니다.
다만 여전히 운전자의 36%는 주행 중 스마트폰을 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횡단보도를 건널 때 스마트폰을 보는 보행자 또한 15%에 육박했습니다.
이밖에 보행자의 '횡단 중 스마트기기 미사용 준수율', '횡단보도 신호 준수율'은 전년 대비 하락해, 보행자의 안전의식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녹취> 박기태 / 변호사
"차대 사람 사고 같은 경우는 횡단보도나 도로를 건널 때 사고가 많습니다. 당연히 무단횡단은 피해주시고 횡단보도를 건널 때 앞, 뒤, 옆을 살피는 습관을 들이는 게 중요합니다."
지자체별 교통문화지수 1위는 강원 원주시, 충남 논산시, 충북 영동군, 인천 연수구였습니다.
이중 영동군은 운전행태 수준 1위로, 조사 기간 중 보행 사망자가 단 한 명도 없었습니다.
교통문화지수가 E등급에서 B등급으로 대폭 상승한 '서울 강서구'도 우수 지자체로 선정됐습니다.
국토교통부는 교통문화지수 하위 20% 이내 지자체 4곳을 뽑아, 맞춤형 개선안을 마련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KTV 임보라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1731회) 클립영상
- 4일 탄핵심판 5차 변론···증인신문 예정 02:07
-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오늘 합동감식 00:36
- 7년 만에 가장 추운 '입춘'···경기·강원 '한파주의보' 00:32
- 최저·최고금리 함께 표시···금감원, 대출광고 개선책 마련 01:45
- 교통문화지수 0.81점 상승···"스마트폰 사용은 심각" 01:52
- 해군 기동함대사령부 창설···해상기반 3축 체계 핵심 전력 00:33
- 항공기 화재 10년간 14건···재산 피해액은 최대 01:42
- 지난해 방한 관광객 1천630만 명···코로나 이전 93.5% 회복 02:16
- "요소 대란 없다"···중국산 비중 20%대로 감소 02:09
- "관세전쟁" 본격화 24:04
- 캐나다·멕시코·중국에 관세 폭탄 [월드 투데이] 03:40
- 2025년 외교부 정책방향은? 17:51
- 청년농 키운다던 정부, 지원은 '나 몰라라?' [정책 바로보기] 04:09
- 오늘의 핫이슈 (25. 02. 03. 11시) 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