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탄핵심판 5차 변론···증인신문 예정
등록일 : 2025.02.03 11:35
미니플레이
김용민 앵커>
내일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5차 변론기일을 진행합니다.
김현지 앵커>
12일 만에 재개되는 이번 재판에는 핵심 증인이 다수 출석할 예정입니다.
이혜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이혜진 기자>
설 연휴를 보낸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 재판을 재개합니다.
5차 변론기일은 오는 4일 진행되는데, 지난달 23일 4차 변론기일 이후 12일 만입니다.
4차 변론기일 당시 윤 대통령은 앞선 3차 변론에 이어 두 번째로 헌재에 출석했습니다.
피청구인인 윤 대통령 측 신청으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출석해 증인신문에 응하기도 했습니다.
헌재는 이 재판을 통해 제출된 증거를 정리하고, 비상계엄 수사 진술조사 일부를 증거로 채택했습니다.
5차 변론에는 탄핵심판 관련 핵심 증인 다수가 심판정에 섭니다.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과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 등이 증인으로 출석할 예정입니다.
이들 증인에 대한 신문은 90분 마다 차례로 진행됩니다.
6차 변론기일(6일)에는 김현태 707 특임단장, 곽종근 전 육군 특전사령관, 박춘섭 대통령실 경제수석의 증인신문이 예정돼있습니다.
헌재는 이와 함께 신원식 국가안보실장과 조태용 국가정보원장, 백종욱 전 국정원 3차장, 김용빈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사무총장 등을 증인으로 추가 채택했습니다.
녹취> 천재현 / 헌법재판소 공보관 (지난달 31일)
"피청구인 측이 신청한 증인 가운데 신원식, 백종욱, 조태용을 증인 채택했습니다."
신원식 실장과 백종욱 전 차장, 김용빈 총장 신문기일은 7차 변론기일인 11일로 지정됐습니다.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에 대한 증인신문도 같은 날 진행됩니다.
윤 대통령 탄핵심판 변론기일은 오는 13일, 8차까지 잡혔는데 조태용 국정원장이 이날 헌재 심판정에서 증인신문을 받을 예정입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KTV 이혜진입니다.
내일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5차 변론기일을 진행합니다.
김현지 앵커>
12일 만에 재개되는 이번 재판에는 핵심 증인이 다수 출석할 예정입니다.
이혜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이혜진 기자>
설 연휴를 보낸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 재판을 재개합니다.
5차 변론기일은 오는 4일 진행되는데, 지난달 23일 4차 변론기일 이후 12일 만입니다.
4차 변론기일 당시 윤 대통령은 앞선 3차 변론에 이어 두 번째로 헌재에 출석했습니다.
피청구인인 윤 대통령 측 신청으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출석해 증인신문에 응하기도 했습니다.
헌재는 이 재판을 통해 제출된 증거를 정리하고, 비상계엄 수사 진술조사 일부를 증거로 채택했습니다.
5차 변론에는 탄핵심판 관련 핵심 증인 다수가 심판정에 섭니다.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과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 등이 증인으로 출석할 예정입니다.
이들 증인에 대한 신문은 90분 마다 차례로 진행됩니다.
6차 변론기일(6일)에는 김현태 707 특임단장, 곽종근 전 육군 특전사령관, 박춘섭 대통령실 경제수석의 증인신문이 예정돼있습니다.
헌재는 이와 함께 신원식 국가안보실장과 조태용 국가정보원장, 백종욱 전 국정원 3차장, 김용빈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사무총장 등을 증인으로 추가 채택했습니다.
녹취> 천재현 / 헌법재판소 공보관 (지난달 31일)
"피청구인 측이 신청한 증인 가운데 신원식, 백종욱, 조태용을 증인 채택했습니다."
신원식 실장과 백종욱 전 차장, 김용빈 총장 신문기일은 7차 변론기일인 11일로 지정됐습니다.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에 대한 증인신문도 같은 날 진행됩니다.
윤 대통령 탄핵심판 변론기일은 오는 13일, 8차까지 잡혔는데 조태용 국정원장이 이날 헌재 심판정에서 증인신문을 받을 예정입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KTV 이혜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1731회) 클립영상
- 4일 탄핵심판 5차 변론···증인신문 예정 02:07
-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오늘 합동감식 00:36
- 7년 만에 가장 추운 '입춘'···경기·강원 '한파주의보' 00:32
- 최저·최고금리 함께 표시···금감원, 대출광고 개선책 마련 01:45
- 교통문화지수 0.81점 상승···"스마트폰 사용은 심각" 01:52
- 해군 기동함대사령부 창설···해상기반 3축 체계 핵심 전력 00:33
- 항공기 화재 10년간 14건···재산 피해액은 최대 01:42
- 지난해 방한 관광객 1천630만 명···코로나 이전 93.5% 회복 02:16
- "요소 대란 없다"···중국산 비중 20%대로 감소 02:09
- "관세전쟁" 본격화 24:04
- 캐나다·멕시코·중국에 관세 폭탄 [월드 투데이] 03:40
- 2025년 외교부 정책방향은? 17:51
- 청년농 키운다던 정부, 지원은 '나 몰라라?' [정책 바로보기] 04:09
- 오늘의 핫이슈 (25. 02. 03. 11시) 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