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머물며 286만 원 지출"···산후조리 실태조사
등록일 : 2025.02.05 20:11
미니플레이
최대환 앵커>
정부가 우리나라 산모들의 산후조리 실태를 알아봤는데요.
산모의 대부분에 해당되는 열 명 중 여덟 명이, 출산 후 산후조리원을 이용하는 걸로 나타났습니다.
산후조리원에선 평균 12일 동안 머물면서 286만 원을 지출하는 걸로 집계됐습니다.
정유림 기자의 보도입니다.
정유림 기자>
우리나라 산모가 출산 후 산후조리원을 이용하는 비율은 열 명 중 여덟 명.
12일을 머물면서 조리원 비용으로 평균 286만 원을 냈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출산한 산모 3천2백여 명을 대상으로 한 산후조리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산모들이 산후조리를 위해 선택한 장소로는 조리원이 85.5%, 중복응답으로 집을 꼽은 비율이 84.2%였습니다.
친정이나 시가를 이용했다는 응답은 낮았습니다.
조리원 평균 이용 기간은 12.6일로 나타났습니다.
산후조리원 비용은 평균 286만5천 원으로 3년 전보다 43만 원 늘었는데, 임대료 인상분과 인건비, 물가상승 등의 영향을 고려하면 증가분이 크지 않다는 분석입니다.
산후조리 기간 본인의 건강 상태가 '좋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30.8%에 그쳤습니다.
특히 분만 후 산후우울감을 경험한 산모는 68.5%로, 3년 전 조사보다 증가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산모들은 산후 우울감 해소에 도움을 준 사람으로 배우자를 가장 많이 꼽았습니다.
이어 친구, 가족 등을 답했는데, 의료인·상담사는 10%로 다소 저조했습니다.
출산 직전 취업 상태였던 산모는 82%로 이들 중 출산휴가는 58.1%, 육아휴직은 55.4%가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장 희망하는 정부 정책으로 산모들은 경비 지원을 꼽았습니다.
배우자와 산모의 출산휴가 기간 확대, 배우자 육아휴직 제도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많이 제시됐습니다.
복지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 출산 후 산후조리원이 국내에서 보편적인 서비스로 자리잡은 만큼, 이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이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김지영)
아울러 현재 산후조리원에 대한 의무 평가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만큼 조만간 평가에 나서는 방안도 검토하겠단 계획입니다.
KTV 정유림입니다.
정부가 우리나라 산모들의 산후조리 실태를 알아봤는데요.
산모의 대부분에 해당되는 열 명 중 여덟 명이, 출산 후 산후조리원을 이용하는 걸로 나타났습니다.
산후조리원에선 평균 12일 동안 머물면서 286만 원을 지출하는 걸로 집계됐습니다.
정유림 기자의 보도입니다.
정유림 기자>
우리나라 산모가 출산 후 산후조리원을 이용하는 비율은 열 명 중 여덟 명.
12일을 머물면서 조리원 비용으로 평균 286만 원을 냈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출산한 산모 3천2백여 명을 대상으로 한 산후조리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산모들이 산후조리를 위해 선택한 장소로는 조리원이 85.5%, 중복응답으로 집을 꼽은 비율이 84.2%였습니다.
친정이나 시가를 이용했다는 응답은 낮았습니다.
조리원 평균 이용 기간은 12.6일로 나타났습니다.
산후조리원 비용은 평균 286만5천 원으로 3년 전보다 43만 원 늘었는데, 임대료 인상분과 인건비, 물가상승 등의 영향을 고려하면 증가분이 크지 않다는 분석입니다.
산후조리 기간 본인의 건강 상태가 '좋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30.8%에 그쳤습니다.
특히 분만 후 산후우울감을 경험한 산모는 68.5%로, 3년 전 조사보다 증가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산모들은 산후 우울감 해소에 도움을 준 사람으로 배우자를 가장 많이 꼽았습니다.
이어 친구, 가족 등을 답했는데, 의료인·상담사는 10%로 다소 저조했습니다.
출산 직전 취업 상태였던 산모는 82%로 이들 중 출산휴가는 58.1%, 육아휴직은 55.4%가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장 희망하는 정부 정책으로 산모들은 경비 지원을 꼽았습니다.
배우자와 산모의 출산휴가 기간 확대, 배우자 육아휴직 제도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많이 제시됐습니다.
복지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 출산 후 산후조리원이 국내에서 보편적인 서비스로 자리잡은 만큼, 이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이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김지영)
아울러 현재 산후조리원에 대한 의무 평가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만큼 조만간 평가에 나서는 방안도 검토하겠단 계획입니다.
KTV 정유림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642회) 클립영상
- "13일, 조지호 경찰청장 증인신문···김봉식 증인 채택" 01:48
- 헌재, 19일 한 총리 첫 변론기일···"신속 결론 요청" 00:25
- 미 관세정책 맞춤전략 가동···34조 원 '첨단산업기금' 신설 02:27
- 트럼프, 관세 부과 본격화···"24시간 대응체계 가동" 02:07
- 1월 소비자 물가 2.2% 상승···환율 상승 영향 02:05
- 녹색기업에 1조5천억 보증 지원···탄소중립 이행 속도 02:07
- 칼바람 속 한파···이번 주 강추위 계속 01:48
- 북극발 한파 기승···"찬 공기 지속 유입" [뉴스의 맥] 03:58
- 한-아프리카 핵심광물대화···"상호호혜적 파트너십 구축" 00:30
- 합참의장, 인태 안보포럼 화상참가···"북한 위협 부상" 00:45
- 지난해 주택 공급·거래 증가···공공 인허가 66%↑ 02:18
- "12일 머물며 286만 원 지출"···산후조리 실태조사 02:15
- '서계동 복합문화공간' 조성···공연예술 거점으로 02:44
- 지난해 밥쌀 소비 역대 최소···쌀 산업 구조개혁 02:31
-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기간 '신속대응팀' 파견 00:24
- '2025 설날음악회' 개최···"전통예술로 국민 위로" 00:27
- 현장 적합성 높은 온라인 민원 시스템 구축 위해 현장 목소리 적극 청취 00:59
- 미리채움서비스로 주식 양도소득세 편리하게 신고하세요 00:42
- 착한 가격에 할인까지? 착한가격업소 이용하고 혜택 누리세요 00:44
- 2025년 동네상권발전소 지원사업 공고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