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12일 머물며 286만 원 지출"···산후조리 실태조사
등록일 : 2025.02.05 20:11
미니플레이
최대환 앵커>
정부가 우리나라 산모들의 산후조리 실태를 알아봤는데요.
산모의 대부분에 해당되는 열 명 중 여덟 명이, 출산 후 산후조리원을 이용하는 걸로 나타났습니다.
산후조리원에선 평균 12일 동안 머물면서 286만 원을 지출하는 걸로 집계됐습니다.
정유림 기자의 보도입니다.

정유림 기자>
우리나라 산모가 출산 후 산후조리원을 이용하는 비율은 열 명 중 여덟 명.
12일을 머물면서 조리원 비용으로 평균 286만 원을 냈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출산한 산모 3천2백여 명을 대상으로 한 산후조리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산모들이 산후조리를 위해 선택한 장소로는 조리원이 85.5%, 중복응답으로 집을 꼽은 비율이 84.2%였습니다.
친정이나 시가를 이용했다는 응답은 낮았습니다.
조리원 평균 이용 기간은 12.6일로 나타났습니다.
산후조리원 비용은 평균 286만5천 원으로 3년 전보다 43만 원 늘었는데, 임대료 인상분과 인건비, 물가상승 등의 영향을 고려하면 증가분이 크지 않다는 분석입니다.
산후조리 기간 본인의 건강 상태가 '좋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30.8%에 그쳤습니다.
특히 분만 후 산후우울감을 경험한 산모는 68.5%로, 3년 전 조사보다 증가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산모들은 산후 우울감 해소에 도움을 준 사람으로 배우자를 가장 많이 꼽았습니다.
이어 친구, 가족 등을 답했는데, 의료인·상담사는 10%로 다소 저조했습니다.
출산 직전 취업 상태였던 산모는 82%로 이들 중 출산휴가는 58.1%, 육아휴직은 55.4%가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장 희망하는 정부 정책으로 산모들은 경비 지원을 꼽았습니다.
배우자와 산모의 출산휴가 기간 확대, 배우자 육아휴직 제도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많이 제시됐습니다.
복지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 출산 후 산후조리원이 국내에서 보편적인 서비스로 자리잡은 만큼, 이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이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김지영)
아울러 현재 산후조리원에 대한 의무 평가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만큼 조만간 평가에 나서는 방안도 검토하겠단 계획입니다.

KTV 정유림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642회) 클립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