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1월 소비자 물가 2.2% 상승···환율 상승 영향
등록일 : 2025.02.05 20:07
미니플레이
모지안 앵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개월 만에 2%대로 올라갔습니다.
환율 상승에 따라 석유류 값이 크게 오르면서, 전체 물가를 끌어올렸다는 분석입니다.
박지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박지선 기자>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 지수는 115.71로 1년 전보다 2.2% 상승했습니다.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9월부터 1%대를 기록하며 10월엔 1.3%로 저점을 찍었으나, 5개월 만에 다시 2%대로 진입한 겁니다.
품목별로 보면 석유류가 7.3%로 가장 많이 올랐습니다.
국제유가 변동 속에 환율 상승 기조가 이어진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녹취> 이두원 /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
"국제유가 및 환율 상승, 또 하나는 전년 하락 기저효과 영향 등으로 보입니다. 특히 최근 들어 환율 같은 경우 2024년 11월 이후 1천400원대 진입 이후 계속 1월까지 상승하였고..."

외식을 제외한 개인서비스 물가는 1년 전보다 3.5% 올랐습니다.
여행 수요가 늘어나며 해외, 국내 단체여행과 콘도 이용료 등이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이 밖에도 가공식품류, 채소류, 축산물 등의 가격이 차례로 상승했고 특히 김은 작황 부진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5.4%나 올라 무려 37년 만에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습니다.
다만 정부는 원료인 물김 가격이 점차 하락하면서 김 가격도 안정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또 전체 물가도 상반기에는 상방 압력을 받겠지만 올해 전체적인 둔화 흐름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한국은행은 물가 점검회의를 열고 향후 물가에 대해 2% 목표 수준 근방에서 안정될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환율과 유가의 움직임, 내수 흐름과 농수산물 가격 등에서 불확실성이 크다고 덧붙였습니다.
(영상취재: 박남일 / 영상편집: 최은석 / 영상그래픽: 민혜정)
앞서 한국은행은 올해 물가 상승률을 1.9%로 전망한 바 있습니다.

KTV 박지선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642회) 클립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