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관세정책 맞춤전략 가동···34조 원 '첨단산업기금' 신설
등록일 : 2025.02.05 20:06
미니플레이
모지안 앵커>
정부가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과 중국의 저가 인공지능인 딥시크 출시 등, 우리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첨단산업기금을 신설하고, 산업별 맞춤 전략도 가동합니다.
신국진 기자입니다.
신국진 기자>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
(장소: 5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등을 주재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2%를 기록했다며 물가안정이 민생의 제1과제라고 강조했습니다.
녹취> 최상목 / 대통령 권한대행
"(정부는) 민생경제점검회의를 통해 물가상황을 꼼꼼히 점검하고, 안정적인 물가관리 방안을 논의하겠습니다."
최 권한대행은 미국의 관세부과 조치 한 달 연기에 대해 일단 한숨을 돌리게 됐다며 "글로벌 교역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어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최근 중국 기업이 공개한 AI 모델 '딥시크 R1'은 신선한 충격이라며 글로벌 AI 경쟁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최 권한대행은 이러한 새로운 변수에 대응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우선 배터리와 바이오 등 첨단 산업과 기술을 지원하는 가칭 '첨단전략산업기금'을 약 34조 원 규모로 산업은행에 신설합니다.
국가 AI 컴퓨팅센터 가동 절차에 속도를 내고 이번 달 '국가AI위원회' 회의를 개최하기로 했습니다.
창업기업과 중소기업의 금융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연간 1조 5천억 원 규모의 녹색전환 보증을 지원하고, 지난해 2조 5천억 원 규모의 지역투자를 창출한 '지역 활성화 투자 펀드'도 올해 3조 원 추가 투자를 목표로 진행합니다.
녹취> 최상목 / 대통령 권한대행
"우리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은 국회의 협조가 뒷받침되어야만 결실을 거둘 수 있습니다. 업계가 필요로 하는 반도체 특별법과 전력에너지 관련 법안을 조속히 처리해 주시길 다시 한 번 요청 드립니다."
미국 신정부 출범 이후 통상 환경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업종별 대책도 가동합니다.
반도체와 이차전지의 경우 미국 내 대외협력을 강화해 우리나라 기업의 타격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찾고, 자동차 산업은 기업의 대미 투자 확대 등 현지화 노력 강화를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또한, 아세안 등으로의 투자와 수출 다변화로 불확실성에 대비합니다.
(영상취재: 김태우 / 영상편집: 정성헌)
미국 수출 무관세를 적용 받고 있는 철강 산업은 민간tf를 중심으로 대응 전략을 마련하고 조선업은 민관협의체 구성 후 지원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습니다.
KTV 신국진입니다.
정부가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과 중국의 저가 인공지능인 딥시크 출시 등, 우리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첨단산업기금을 신설하고, 산업별 맞춤 전략도 가동합니다.
신국진 기자입니다.
신국진 기자>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
(장소: 5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등을 주재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2%를 기록했다며 물가안정이 민생의 제1과제라고 강조했습니다.
녹취> 최상목 / 대통령 권한대행
"(정부는) 민생경제점검회의를 통해 물가상황을 꼼꼼히 점검하고, 안정적인 물가관리 방안을 논의하겠습니다."
최 권한대행은 미국의 관세부과 조치 한 달 연기에 대해 일단 한숨을 돌리게 됐다며 "글로벌 교역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어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최근 중국 기업이 공개한 AI 모델 '딥시크 R1'은 신선한 충격이라며 글로벌 AI 경쟁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최 권한대행은 이러한 새로운 변수에 대응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우선 배터리와 바이오 등 첨단 산업과 기술을 지원하는 가칭 '첨단전략산업기금'을 약 34조 원 규모로 산업은행에 신설합니다.
국가 AI 컴퓨팅센터 가동 절차에 속도를 내고 이번 달 '국가AI위원회' 회의를 개최하기로 했습니다.
창업기업과 중소기업의 금융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연간 1조 5천억 원 규모의 녹색전환 보증을 지원하고, 지난해 2조 5천억 원 규모의 지역투자를 창출한 '지역 활성화 투자 펀드'도 올해 3조 원 추가 투자를 목표로 진행합니다.
녹취> 최상목 / 대통령 권한대행
"우리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은 국회의 협조가 뒷받침되어야만 결실을 거둘 수 있습니다. 업계가 필요로 하는 반도체 특별법과 전력에너지 관련 법안을 조속히 처리해 주시길 다시 한 번 요청 드립니다."
미국 신정부 출범 이후 통상 환경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업종별 대책도 가동합니다.
반도체와 이차전지의 경우 미국 내 대외협력을 강화해 우리나라 기업의 타격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찾고, 자동차 산업은 기업의 대미 투자 확대 등 현지화 노력 강화를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또한, 아세안 등으로의 투자와 수출 다변화로 불확실성에 대비합니다.
(영상취재: 김태우 / 영상편집: 정성헌)
미국 수출 무관세를 적용 받고 있는 철강 산업은 민간tf를 중심으로 대응 전략을 마련하고 조선업은 민관협의체 구성 후 지원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습니다.
KTV 신국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642회) 클립영상
- "13일, 조지호 경찰청장 증인신문···김봉식 증인 채택" 01:48
- 헌재, 19일 한 총리 첫 변론기일···"신속 결론 요청" 00:25
- 미 관세정책 맞춤전략 가동···34조 원 '첨단산업기금' 신설 02:27
- 트럼프, 관세 부과 본격화···"24시간 대응체계 가동" 02:07
- 1월 소비자 물가 2.2% 상승···환율 상승 영향 02:05
- 녹색기업에 1조5천억 보증 지원···탄소중립 이행 속도 02:07
- 칼바람 속 한파···이번 주 강추위 계속 01:48
- 북극발 한파 기승···"찬 공기 지속 유입" [뉴스의 맥] 03:58
- 한-아프리카 핵심광물대화···"상호호혜적 파트너십 구축" 00:30
- 합참의장, 인태 안보포럼 화상참가···"북한 위협 부상" 00:45
- 지난해 주택 공급·거래 증가···공공 인허가 66%↑ 02:18
- "12일 머물며 286만 원 지출"···산후조리 실태조사 02:15
- '서계동 복합문화공간' 조성···공연예술 거점으로 02:44
- 지난해 밥쌀 소비 역대 최소···쌀 산업 구조개혁 02:31
-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기간 '신속대응팀' 파견 00:24
- '2025 설날음악회' 개최···"전통예술로 국민 위로" 00:27
- 현장 적합성 높은 온라인 민원 시스템 구축 위해 현장 목소리 적극 청취 00:59
- 미리채움서비스로 주식 양도소득세 편리하게 신고하세요 00:42
- 착한 가격에 할인까지? 착한가격업소 이용하고 혜택 누리세요 00:44
- 2025년 동네상권발전소 지원사업 공고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