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정부·기업, 딥시크 금지
등록일 : 2025.02.07 14:45
미니플레이
김용민 앵커>
얼마 전에 중국이 깜짝 출시한 인공지능 딥시크가 처음 공개됐을 때만 해도 미국과 중국 간의 AI 대결도 치열해지는 것 아니냐 관측도 나왔었는데요.
불과 며칠 만에 전 세계적으로 딥시크 사용을 차단하는 움직임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김현지 앵커>
이와 함께 11년만에 통상임금 지침이 개정됐습니다.
앞으로 달라질 임금체계까지 서울 스튜디오 연결해 자세한 내용 살펴봅니다.
박성욱 앵커!

박성욱 앵커>
네, 대담 이어가겠습니다.
전 세계에 큰 충격을 줬던 딥시크가 이제 쓰지 못하도록 막는 곳이 늘고 있습니다.
지나친 정보 수집이 문제인데요.
딥시크 관련 내용과 함께 국내 경제 현안 한치호 수원대 공공정책대학원 객원교수와 관련 내용 짚어봅니다.
안녕하세요.

(출연: 한치호 / 수원대 공공정책대학원 객원교수)

박성욱 앵커>
일단 우리 정부 부처와 공기업들 사이에서 일단 보안상 우려로 딥시크 접속 차단하는 조치가 취해졌습니다.
현재 현황부터 짚어 주시죠.

박성욱 앵커>
중국산 인공지능 '딥시크'가 등장할 때는 세계가 떠들썩했었습니다만, 과도한 정보를 수집한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IT 업계와 금융기관이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는데, 해외에서도 비슷한 추세입니다.

박성욱 앵커>
딥시크가 수집한 정보를 중국정부가 서버에 저장한다는 주장도 제기됐습니다.
딥시크 측도 너무 많은 정보를 수집하고, 중국 정부에 정보가 유출된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이같은 우려가 제기되는 이유가 뭘까요?

박성욱 앵커>
과거 트럼프 1기 정부에서도 화웨이 제재와 관련해 화웨이 장비를 쓰는 디바이스에서 기밀 정보가 중국 정부로 넘어간다라는 우려가 있었습니다.
미국에서도 딥시크의 출현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박성욱 앵커>
생성형 AI의 빠른 발전 속도에 개인정보 유출 등에 악용 우려가 크다는 점에서 정부가 이렇게 빨리 조치를 내린 측면도 있을 듯 합니다.
정부의 조치...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박성욱 앵커>
주제를 바꿔보겠습니다.
근로자들에게 중요한 임금문제입니다.
2014년 이후 11년 만에 통상임금 관련 내용이 개정 되었는데요.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발언 내용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박성욱 앵커>
대법원 대법관 전원일치로 통상임금의 범위가 확대되는데요.
우선 내용을 쉽게 설명해 주시죠.

박성욱 앵커>
통상임금이 올라가게 되면 근로자가 실제 받는 월급도 늘게 됩니다.
구체적으로 얼마나 올라가나요?

박성욱 앵커>
근로자들에게 혜택이 늘어난 반면, 사용자에게는 추가되는 인건비로 부담이 조금 높아지겠습니다.

박성욱 앵커>
우리나라 임금체계가 꽤 복잡한 편인데요.
임금체계는 임의로 변경할 수 없는 개념이라 노사합의 노력이 중요합니다.
정부가 "지급조건 변경시 절차준수 엄정지도"하며 컨설팅도 제공한다는 방침이죠?

박성욱 앵커>
지난해 우리나라가 1천억 달러 가까운 경상수지 흑자를 냈습니다.
9년 만에 최대 규모이며, 역대 두 번째로 많은 수준인데요.
자세히 설명해 주시죠.

박성욱 앵커>
수출 흑자에도 안심하기 어려운 상황이 있습니다.
트럼프 정부의 관세 압박인데요.
이 흑자 규모 중에 대미 경상수지 흑자가 정확히 얼마나 됩니까?

박성욱 앵커>
지금까지 한치호 수원대 공공정책대학원 객원교수와 이야기 나눴습니다.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