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핫이슈 (25. 02. 10. 11시)
등록일 : 2025.02.10 13:40
미니플레이
강민지 앵커>
정책여론수렴시스템을 바탕으로 오늘 아침 사람들이 많이 본 핫이슈들만 소개해 드립니다.
오늘의 핫이슈!
첫 번째 기사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일 백악관에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가졌는데요.
그는 이 자리에서 "다른 나라들이 우리를 동등하게 대우하도록 할 것이다, 우리는 더 많이도 더 적게도 바라지 않는다"고 말했다고 합니다.
한·미 양국은 2012년 자유무역협정 FTA 발효 이후 전체 품목의 99%가량 관세가 철폐된 상태라 양국은 사실상 무관세 국가인 셈인데 트럼프 대통령의 이런 발언 타깃으로 대미 흑자국이 우선 거론되기도 한다고 합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최근 미국·멕시코·캐나다협정을 무시하고 캐나다와 멕시코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려다 한 달간 유예한 상황이어서 한국도 언제든 관세 부과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다고 합니다.
다음 기사입니다.
독일 공군기지 상공에 첩보용으로 추정되는 드론이 출몰해 방첩당국이 조사 중이라고 합니다.
지난달 독일 북부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슈베징 공군기지에서만 정체를 알 수 없는 드론이 6차례 목격됐다고 합니다.
독일 연방군은 조종신호 교란 등으로 무력화를 시도했지만 드론의 정체를 파악하는 데 실패했다는데요.
이 기지에서 우크라이나군이 패트리엇 대공미사일 훈련을 시작한 이후 드론이 반복적으로 출몰하고 있다고 합니다.
기지 근처에서 러시아 대사관 소유로 추정되는 차량이 목격되기도 해 독일 당국은 러시아 측이 군부대와 산업단지를 정탐하거나 스파이 드론을 띄우는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고 합니다.
다음 소식입니다.
테슬라의 CEO 일론 머스크가 동영상 플랫폼 틱톡 인수에 관심이 없다고 밝혔다고 합니다.
한 독일 매체가 공개한 영상에서 머스크는 "나는 틱톡에 입찰한 적이 없고 또 틱톡을 인수할 생각이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고 합니다.
머스크는 지난달 독일에서 열린 언론사 주최 행사에 화상으로 참여해 이 같이 말했다는데요.
머스크는 또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가 개발한 인공지능 모델과 경쟁하고 있다고 밝히며 "딥시크가 AI 혁명인가? 아니다. 내가 운영하는 회사와 다른 회사들이 곧 딥시크보다 더 나은 모델을 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직후 틱톡 금지를 75일간 유예하는 행정명령을 내리면서 매각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데 틱톡을 소유하고 있는 중국의 바이트 댄스는 틱톡 매각을 거부하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고 하네요.
마지막 기사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보편 관세를 10% 인상했는데요
이에 맞서 중국이 현지시간 10일부터 보복 관세 부과를 개시한다고 합니다.
앞서 중국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의 10% 추가 관세 부과에 지난 4일 즉각 맞대응 조치를 발표한 바 있습니다.
미국산 석탄·액화천연가스에는 15%, 원유·농기계·대형차·픽업트럭에는 10% 관세를 더 물리겠다고 발표했는데요.
중국은 같은 날 광물 수출 통제 등 다수의 보복 조치도 함께 꺼내 들었다고 합니다.
미중 양국이 중국의 보복 개시 전에 합의하지 않겠냐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의 대화는 "서두르지 않겠다"고 밝힌 바 있어 현재 양국의 소통이 이뤄지고 있는지는 언급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고 합니다.
지금까지 오늘의 핫이슈였습니다.
정책여론수렴시스템을 바탕으로 오늘 아침 사람들이 많이 본 핫이슈들만 소개해 드립니다.
오늘의 핫이슈!
첫 번째 기사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일 백악관에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가졌는데요.
그는 이 자리에서 "다른 나라들이 우리를 동등하게 대우하도록 할 것이다, 우리는 더 많이도 더 적게도 바라지 않는다"고 말했다고 합니다.
한·미 양국은 2012년 자유무역협정 FTA 발효 이후 전체 품목의 99%가량 관세가 철폐된 상태라 양국은 사실상 무관세 국가인 셈인데 트럼프 대통령의 이런 발언 타깃으로 대미 흑자국이 우선 거론되기도 한다고 합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최근 미국·멕시코·캐나다협정을 무시하고 캐나다와 멕시코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려다 한 달간 유예한 상황이어서 한국도 언제든 관세 부과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다고 합니다.
다음 기사입니다.
독일 공군기지 상공에 첩보용으로 추정되는 드론이 출몰해 방첩당국이 조사 중이라고 합니다.
지난달 독일 북부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슈베징 공군기지에서만 정체를 알 수 없는 드론이 6차례 목격됐다고 합니다.
독일 연방군은 조종신호 교란 등으로 무력화를 시도했지만 드론의 정체를 파악하는 데 실패했다는데요.
이 기지에서 우크라이나군이 패트리엇 대공미사일 훈련을 시작한 이후 드론이 반복적으로 출몰하고 있다고 합니다.
기지 근처에서 러시아 대사관 소유로 추정되는 차량이 목격되기도 해 독일 당국은 러시아 측이 군부대와 산업단지를 정탐하거나 스파이 드론을 띄우는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고 합니다.
다음 소식입니다.
테슬라의 CEO 일론 머스크가 동영상 플랫폼 틱톡 인수에 관심이 없다고 밝혔다고 합니다.
한 독일 매체가 공개한 영상에서 머스크는 "나는 틱톡에 입찰한 적이 없고 또 틱톡을 인수할 생각이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고 합니다.
머스크는 지난달 독일에서 열린 언론사 주최 행사에 화상으로 참여해 이 같이 말했다는데요.
머스크는 또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가 개발한 인공지능 모델과 경쟁하고 있다고 밝히며 "딥시크가 AI 혁명인가? 아니다. 내가 운영하는 회사와 다른 회사들이 곧 딥시크보다 더 나은 모델을 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직후 틱톡 금지를 75일간 유예하는 행정명령을 내리면서 매각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데 틱톡을 소유하고 있는 중국의 바이트 댄스는 틱톡 매각을 거부하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고 하네요.
마지막 기사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보편 관세를 10% 인상했는데요
이에 맞서 중국이 현지시간 10일부터 보복 관세 부과를 개시한다고 합니다.
앞서 중국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의 10% 추가 관세 부과에 지난 4일 즉각 맞대응 조치를 발표한 바 있습니다.
미국산 석탄·액화천연가스에는 15%, 원유·농기계·대형차·픽업트럭에는 10% 관세를 더 물리겠다고 발표했는데요.
중국은 같은 날 광물 수출 통제 등 다수의 보복 조치도 함께 꺼내 들었다고 합니다.
미중 양국이 중국의 보복 개시 전에 합의하지 않겠냐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의 대화는 "서두르지 않겠다"고 밝힌 바 있어 현재 양국의 소통이 이뤄지고 있는지는 언급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고 합니다.
지금까지 오늘의 핫이슈였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1736회) 클립영상
- 여수 해역서 대형 어선 침몰···5명 사망·5명 실종 02:09
- '마은혁 임명보류' 권한쟁의 변론 재개 02:32
- 올겨울 첫 한강 결빙···화요일 낮부터 포근 01:23
- '모바일 주민등록증' 다음 달 전국 어디서나 발급 01:51
- "국내 AI 생태계 경쟁력 제고 위한 지원 강화" 00:30
- '지역 필수의사제 시범사업' 참여 지자체 공모 00:31
- 한-체코 수교 35주년···"긴밀한 협력 관계 구축" 01:49
- 산학 협력 활성화···"현장형 인재 육성" 02:07
- 이어진 금빛 낭보···하얼빈 동계 AG 2위 유지 00:27
- '완전한 비핵화' 재확인···한미일 공조 유지 21:58
- 풀려난 인질들···상태 충격적 [월드 투데이] 04:50
- '주거안정장학금' 첫 시행···대학생 주거 부담 줄인다 18:34
- 오늘의 핫이슈 (25. 02. 10. 11시) 03:46
- '수의직 공무원' 부족에 가축방역 비상? [정책 바로보기] 0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