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기 과열 '무순위 청약제' 손질···무주택자로 제한
등록일 : 2025.02.11 19:59
미니플레이
모지안 앵커>
이른바 '로또 분양'으로 불리며, 시세 차익을 노린 투기 수단으로 변질된 '무순위 청약' 제도에 대해 정부가 손질에 나섰습니다.
무주택자로 신청 자격을 제한하고, 분양 경쟁이 높은 곳에선 지자체가 거주조건을 둘 수 있게 할 방침입니다.
이리나 기자입니다.
이리나 기자>
지난해 7월 경기 화성 동탄역에 위치한 한 아파트 단지의 무순위 청약에서 단 1가구 모집에 무려 300만 명 가까이 몰려 역대 최고 경쟁률을 기록했습니다.
서울과 세종, 하남 등 주요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진행한 무순위 청약 역시 83만 대1, 43만 대1 등 수십만 명이 청약 경쟁에 뛰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무순위 청약 자격이 거주 지역과 주택 보유 여부와 관계없이 누구나 청약에 참여할 수 있다 보니 실수요자보다 시세 차익을 노리는 투자자들이 대거 몰리면서 경쟁이 과열된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에 정부가 신청자격을 무주택자로 한정하고, 지자체가 지역별 여건과 분양상황에 맞게 거주지역 요건을 둘 수 있도록 개선하기로 했습니다.
녹취> 김헌정 / 국토교통부 주택정책관
"특정 지자체에서 무순위 청약이 발생하는 경우에 해당 지자체장이 지역 여건과 주택시장 등 제반 상황을 종합 고려하여 거주지역 요건을 해당 광역지자체, 광역권, 전국 등 3단계 범위로 부여할 수 있게..."
또 일부 인기단지에서 부양가족 수 가점을 높게 받기 위해 위장전입 등의 꼼수가 만연하다는 지적에 따라 부양가족 점수 산정 시 실거주 여부를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추가로 더 제출하도록 할 방침입니다.
그동안 가족관계증명서와 주민등록 등, 초본으로 확인해 오던 것을 앞으로는 부양가족들의 최대 3년 치 건강보험 요양급여내역도 확인하기로 한 겁니다.
정부는 건강보험 서류제출 요구와 신청자격 개선 방안을 이르면 올해 상반기 중 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영상편집: 최은석 / 영상그래픽: 민혜정)
KTV 이리나 입니다.
이른바 '로또 분양'으로 불리며, 시세 차익을 노린 투기 수단으로 변질된 '무순위 청약' 제도에 대해 정부가 손질에 나섰습니다.
무주택자로 신청 자격을 제한하고, 분양 경쟁이 높은 곳에선 지자체가 거주조건을 둘 수 있게 할 방침입니다.
이리나 기자입니다.
이리나 기자>
지난해 7월 경기 화성 동탄역에 위치한 한 아파트 단지의 무순위 청약에서 단 1가구 모집에 무려 300만 명 가까이 몰려 역대 최고 경쟁률을 기록했습니다.
서울과 세종, 하남 등 주요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진행한 무순위 청약 역시 83만 대1, 43만 대1 등 수십만 명이 청약 경쟁에 뛰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무순위 청약 자격이 거주 지역과 주택 보유 여부와 관계없이 누구나 청약에 참여할 수 있다 보니 실수요자보다 시세 차익을 노리는 투자자들이 대거 몰리면서 경쟁이 과열된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에 정부가 신청자격을 무주택자로 한정하고, 지자체가 지역별 여건과 분양상황에 맞게 거주지역 요건을 둘 수 있도록 개선하기로 했습니다.
녹취> 김헌정 / 국토교통부 주택정책관
"특정 지자체에서 무순위 청약이 발생하는 경우에 해당 지자체장이 지역 여건과 주택시장 등 제반 상황을 종합 고려하여 거주지역 요건을 해당 광역지자체, 광역권, 전국 등 3단계 범위로 부여할 수 있게..."
또 일부 인기단지에서 부양가족 수 가점을 높게 받기 위해 위장전입 등의 꼼수가 만연하다는 지적에 따라 부양가족 점수 산정 시 실거주 여부를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추가로 더 제출하도록 할 방침입니다.
그동안 가족관계증명서와 주민등록 등, 초본으로 확인해 오던 것을 앞으로는 부양가족들의 최대 3년 치 건강보험 요양급여내역도 확인하기로 한 겁니다.
정부는 건강보험 서류제출 요구와 신청자격 개선 방안을 이르면 올해 상반기 중 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영상편집: 최은석 / 영상그래픽: 민혜정)
KTV 이리나 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646회) 클립영상
- 미 "철강 25% 관세"···최 권한대행 "준비계획 대응" 01:51
- 윤 대통령, 탄핵심판 5번째 출석···7차 변론 02:06
- "연금개혁 시급···저출생 반등 위한 정책 속도" 02:35
- 23일부터 맞벌이 육아휴직 '최대 3년' 01:32
- KDI, 올해 성장률 1.6%로 하향···"더 낮출 수도" 03:10
- K-조선 초격차 기술 확대···2천600억 원 투입 02:22
- 매출 누락 '스드메 업계' 세무조사···"고강도 검증" 01:44
- 투기 과열 '무순위 청약제' 손질···무주택자로 제한 02:14
- "멤버십 혜택 부풀려 광고"···공정위, 네이버에 시정명령 부과 02:22
- 이주배경학생 19만여 명···'밀집 학교' 완화 02:16
- '손상 사망' 연간 2만6천 명···"사전 예방 주력" 02:18
- 작년 초미세먼지 관측 이래 최저···'매우 나쁨' 하루도 없어 02:24
- 서울 관악·부산 진구·경남 거창 '청년친화도시' 지정 00:28
- '우주날씨 모니터' 등 누리호 5차 부탑재위성 7기 선정 00:41
- 제22회 '장애인 동계체전' 강릉에서 개막 00:37
- 동계AG 바이애슬론 사상 첫 금···빙속에서 메달 추가 00:38
- 일체형 세탁건조기, 기존 개별 제품보다 세탁 성능은 개선· 건조 성능은 비슷 01:00
- 정월대보름 오곡밥과 나물 먹고, 면역력 쑥쑥! 00:45
- 2025년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 사업 본격 착수 00:46
- 재난안전사고 공제·보험금 신청, 더욱 간편하고 빨라진다 0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