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KDI, 올해 성장률 1.6%로 하향···"더 낮출 수도"
등록일 : 2025.02.11 20:30
미니플레이
최대환 앵커>
한국개발연구원, KDI가 올해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1.6%로 낮췄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김찬규 기자, KDI가 어떤 분석을 내놓았나요?

김찬규 기자>
(장소: 정부서울청사)

네, 한국개발연구원, KDI는 올해 우리나라 연간 경제 성장률을 1.6%로 전망했습니다.
지난해 11월에 내놓은 전망치 2.0%와 비교하면 석 달 만에 0.4%p 낮아진 겁니다.
KDI의 성장률 전망치는 국제통화기금 전망치 2.0%, 정부 전망치 1.8%보다 낮고, 한국은행 전망 평균치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KDI는 정국 불안에 따른 경제 심리 위축과 미국의 정책 변화에 따른 통상 환경 악화 등을 경제성장률을 하향 조정한 주요인으로 꼽았습니다.

최대환 앵커>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올해 내수와 수출은 어떻게 전망했습니까?

김찬규 기자>
네, KDI는 내수와 수출 증가 폭이 모두 줄어들 것으로 봤습니다.
금리 인하 영향이 시차를 두고 반영되고 정국 불안 영향도 점차 완화되면서 올해 민간 소비 증가율은 지난해보다 높은 1.6%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다만 기존 전망보다는 0.2%p 낮은 수준인데, 수출 둔화와 가계 심리 위축이 반영됐습니다.
통상 환경 악화로 수출 증가율은 지난해 6.9%에서 올해 1.8%로 크게 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내수와 수출이 모두 하향 조정되면서 흑자 폭도 소폭 줄어들 전망입니다.
기존 전망보다 줄었지만 지난해에 이어 900억 달러 내외의 대규모 흑자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최대환 앵커>
그렇다면 KDI는 앞으로 우리 경제 전망에 있어 위험 요인으로는 어떤 것들을 꼽았나요?

김찬규 기자>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낮추는 데 주된 요인으로 작용한 대내외 불확실성이 향후 경제 전망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았는데요.
먼저 관련 발언 들어보시죠.

녹취> 정규철 / KDI 경제전망실장
"트럼프 통상 갈등이 더 격화되거나 정국 불안이 장기화한다면 저희가 말씀드린 1.6%보다 더 낮아진다는 의미로 받아들이시면 되겠습니다.“

KDI는 미국 통상정책의 불확실성이 길어지면 대내외 투자 수요가 축소되고 우리 수출에도 타격을 줄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통상 분쟁에 따른 각국의 경기 둔화도 우리 수출에 추가적인 하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또, 국내 정국 불안이 장기화해 경제심리 회복이 지연되면 내수 개선이 제한될 가능성도 있다고 KDI는 내다봤습니다.

지금까지 정부서울청사에서 KTV 김찬규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646회) 클립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