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자 수 반등···건설업·청년층 감소
등록일 : 2025.02.15 07:47
미니플레이
최대환 앵커>
지난달 취업자 수가 한 달 만에 반등했습니다.
사회복지 서비스업의 취업자가 늘면서 전체 증가세를 견인했는데요.
반면에 건설업의 취업자 수가 큰 폭으로 줄고 청년층 취업자도 감소한 걸로 나타났습니다.
신경은 기자입니다.
신경은 기자>
통계청의 '1월 고용동향'이 발표됐습니다.
고용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천787만 8천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12월 이후 한 달 만에 반등한 것입니다.
산업별로 보면 보건업, 사회 복지 서비스업의 취업자가 늘어 증가세를 견인했습니다.
반면 건설업 취업자 수는 16만9천 명 줄어들어, 2013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습니다.
녹취> 공미숙 / 통계청 사회통계국장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정보통신업 등에서 증가했으나 건설업, 도매 및 소매업, 제조업 등에서 전년 동월 대비 감소했습니다.”
연령별로 보면 청년층 취업자 수는 21만8천 명 줄어, 2021년 이후 4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습니다.
청년층 고용률도 44.8%로, 1년 전과 비교했을 때 1.5%포인트 하락했습니다.
반면 60세 이상에서는 취업자 수가 34만 명 증가했고, 30대에서도 취업자는 9만8천 명 늘었습니다.
(영상편집: 조현지 / 영상그래픽: 강은희)
실업자 수는 1년 전보다 1만1천명 늘어난 108만3천 명을 기록했고, 실업률은 3.7%로 1년 전과 같았습니다.
KTV 신경은입니다.
지난달 취업자 수가 한 달 만에 반등했습니다.
사회복지 서비스업의 취업자가 늘면서 전체 증가세를 견인했는데요.
반면에 건설업의 취업자 수가 큰 폭으로 줄고 청년층 취업자도 감소한 걸로 나타났습니다.
신경은 기자입니다.
신경은 기자>
통계청의 '1월 고용동향'이 발표됐습니다.
고용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천787만 8천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12월 이후 한 달 만에 반등한 것입니다.
산업별로 보면 보건업, 사회 복지 서비스업의 취업자가 늘어 증가세를 견인했습니다.
반면 건설업 취업자 수는 16만9천 명 줄어들어, 2013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습니다.
녹취> 공미숙 / 통계청 사회통계국장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정보통신업 등에서 증가했으나 건설업, 도매 및 소매업, 제조업 등에서 전년 동월 대비 감소했습니다.”
연령별로 보면 청년층 취업자 수는 21만8천 명 줄어, 2021년 이후 4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습니다.
청년층 고용률도 44.8%로, 1년 전과 비교했을 때 1.5%포인트 하락했습니다.
반면 60세 이상에서는 취업자 수가 34만 명 증가했고, 30대에서도 취업자는 9만8천 명 늘었습니다.
(영상편집: 조현지 / 영상그래픽: 강은희)
실업자 수는 1년 전보다 1만1천명 늘어난 108만3천 명을 기록했고, 실업률은 3.7%로 1년 전과 같았습니다.
KTV 신경은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7 (358회) 클립영상
- 헌재, 20일 10차 변론···대통령 측 "기일 변경 요청" 01:53
- 트럼프, 상호관세 부과 서명···"관계부처 TF 가동" 02:27
- 오늘 트럼프 2기 첫 한미 외교장관회담 02:36
- '늘봄학교 참여' 학생 귀갓길 '대면 인계' 체계 마련 02:11
- "내수 회복 지연·트럼프 관세 등 하방압력 증가" 02:10
- 취업자 수 반등···건설업·청년층 감소 01:46
- 일자리 120만 개 1분기 내 창출···맞춤형 고용서비스 강화 02:51
- '추정분담금' 명시···1기 신도시 특별정비계획 지침 02:10
- 필리핀 가사관리사 사업 1년 연장···이용료는 인상 02:52
- 겨울철 영유아 '바이러스성 장염' 주의해야 01:59
- 해빙기 취약시설 안전 점검···주민점검신청제 운영 00:34
- 필요할 때만, 보다 정확하게! 재난문자 서비스 개선된다 00:57
- 물류창고·판매시설 안전 관리 강화 00:44
- 국립공원 탐방객 5년 만에 4천만 명 회복 00:45
- 강연료·자문료 등 지급 시 간이지급명세서 꼭! 제출하세요 00: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