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온누리상품권 '깡'을 막아라
등록일 : 2025.02.16 13:44
미니플레이
중기부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온누리상품권 부정유통 사건 수는 235건, 부정 유통 액수는 539억 원에 달한다. 이러한 불법 환전, 불법 거래는 전통시장 및 골목상권 활성화라는 온누리상품권 당초 취지에 어긋나는 건 물론 국가 예산 낭비로 이어지는 중차대한 문제다. 온라인상품권의 부정 거래 수법 실태와 이를 뿌리 뽑기 위한 정부 대책을 소개한다.

■ 상품권 매출만 한 달 63억, 수상한 마늘가게
지난해부터 논란의 중심에 선 대구 팔달신시장. 이 시장에 위치한 A마을가게가 온누리상품권으로만 한 달 63억 원의 매출을 올린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다. 대전에 있는 성심당 본점의 한 달 온누리상품권 매출이 3억 원임을 감안하면 직원도 몇 명 되지 않는 A마을가게의 63억 원은 비정상적으로 높은 액수가 아닐 수 없다. 2009년부터 발행된 '온누리상품권'은 전통시장에 다시 활기를 불어넣기 위해 만들어진 전통시장 및 상점가 전용 상품권이다. 소비자는 물가 부담을 덜고 상인은 전통시장 유입에 도움이 된다는 이점 때문에 발행 규모는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추세다.

■ 온누리상품권 '깡'?
문제는 온누리상품권을 둘러싼 부정 사용 논란 또한 끊이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소비자로부터 상품권을 받은 가맹점주(상인)은 이를 지정된 금융기관에서 현금으로 환전하게 된다. 부정사용 수법① 일부 상인은 환전 한도가 매출액에 따라 책정되는 점을 악용해 허위매출로 한도 부풀리기를 한 후 사적 이익을 챙기는 것으로 드러냈다. 또 실제 운영하지 않지만 환전 용도로 유령 점포를 운영하기도 했다. 부정사용 수법② 일부 상인과 상품권 브로커들은 대리 구매자를 고용해 개인별 상품권 구매 한도만큼 상품권을 구매한 뒤 현금으로 바꾸는 식으로 시세차익을 챙기기도 했다. 일명 상품권 ‘깡’이다. 부정사용 수법③ 성인용품점 등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이 아닌 곳에서 업종을 일반 마트로 변경하는 식으로 상품권 거래를 한 사실도 확인된다.

■ 온누리상품권 부정 유통 뿌리 뽑는다
온누리상품권의 부정 유통이 도를 넘자 중기부는 대책을 발표(2024.12.19.)했다. 먼저 부정 유통이 주로 발생하는 지류 상품권을 5년 동안 단계적으로 축소하고 개인별 월 할인 구매 한도를 현행 150만원에서 50만원으로 대폭 낮추기로 했다. 또 허위가맹 근절을 위해 온누리상품권 가맹을 신청 시 실제 영업중임을 증빙하는 서류를 제출하고 부정 유통이 의심되는 가맹점 현장 조사 주기도 단축하기로 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