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능 GPU 1만 장 확보"···국가 AI컴퓨팅 센터, 조기 개시
등록일 : 2025.02.18 11:38
미니플레이
김용민 앵커>
정부가 AI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AI 핵심 인프라인 그래픽처리장치, GPU 확보에 나섭니다.
김현지 앵커>
올해까지 고성능 GPU 1만 장을 도입해 '국가 AI컴퓨팅 센터' 서비스를 조기 개시하겠다고 밝혔는데요.
보도에 김유리 기자입니다.
김유리 기자>
AI 시장 규모는 매년 40% 이상 급성장해 오는 2027년, 1천300조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AI컴퓨팅 인프라 역량'이 각국 AI 경쟁력을 결정짓는 척도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미국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프랑스 AI 데이터 센터 구축 등 주요국들이 인프라 구축에 속도를 내는 이유입니다.
우리나라도 지난달 '국가 AI컴퓨팅 센터' 구축 본격화에 나섰습니다.
제3차 AI컴퓨팅 인프라 특별위원회
(장소: 17일, 정부서울청사)
정부는 제3차 AI컴퓨팅 인프라 특별위원회를 열고, 기술·시장 변화가 빠른 AI 컴퓨팅 인프라 추진 상황을 수시 점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최근 AI산업 경쟁구도가 기업 간 대결을 넘어 국가가 전면에 나서는 '혁신 생태계 간 경쟁'으로 바뀌고 있다는 점을 짚었습니다.
'딥시크'를 예로 들며, 자본과 인프라가 다소 부족하더라도 '성능'에서 넘어설 기회를 보여줬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정부 또한 AI 경쟁력 강화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정부는 지난해 9월 '국가인공지능위원회'을 출범하고, 세계에서 두 번째로 AI 제정법을 제정하는 등 제도 기반을 정비했습니다.
AI 관련 예산도 지난해보다 25% 늘렸습니다.
총 1조8천억 원으로 기술 혁신, 인재 양성 등에 집중 투자하기로 했습니다.
최 권한대행은 첨단 컴퓨팅 인프라는 AI 경쟁력 핵심으로, 국가 AI컴퓨팅 센터의 성공이 중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녹취> 최상목 / 대통령 권한대행
"명실상부한 'AI 3대 강국' 도입을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입니다. 우선 내년 상반기까지 고성능 GPU 1만8천 장분 AI컴퓨팅 파워를 확충해 기업과 연구계를 뒷받침하겠습니다."
정부는 민·관 협력을 통해 올해 안에 AI의 핵심 인프라인 그래픽처리장치, GPU 1만 장을 확보, 국가 AI컴퓨팅 센터 서비스를 조기 개시할 계획입니다.
내년 상반기엔 GPU 8천 장 상당의 슈퍼컴 6호기를 구축해 연구계를 중점 지원할 방침입니다.
정부는 산업계, 과학기술계와 소통하고 현장의 어려움을 정부 정책에 즉각 반영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김태우 / 영상편집: 오희현 / 영상그래픽: 손윤지)
아울러 AI 컴퓨팅 센터 구축을 위한 민·관 원팀 체계도 공고화해 나갈 예정입니다.
KTV 김유리입니다.
정부가 AI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AI 핵심 인프라인 그래픽처리장치, GPU 확보에 나섭니다.
김현지 앵커>
올해까지 고성능 GPU 1만 장을 도입해 '국가 AI컴퓨팅 센터' 서비스를 조기 개시하겠다고 밝혔는데요.
보도에 김유리 기자입니다.
김유리 기자>
AI 시장 규모는 매년 40% 이상 급성장해 오는 2027년, 1천300조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AI컴퓨팅 인프라 역량'이 각국 AI 경쟁력을 결정짓는 척도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미국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프랑스 AI 데이터 센터 구축 등 주요국들이 인프라 구축에 속도를 내는 이유입니다.
우리나라도 지난달 '국가 AI컴퓨팅 센터' 구축 본격화에 나섰습니다.
제3차 AI컴퓨팅 인프라 특별위원회
(장소: 17일, 정부서울청사)
정부는 제3차 AI컴퓨팅 인프라 특별위원회를 열고, 기술·시장 변화가 빠른 AI 컴퓨팅 인프라 추진 상황을 수시 점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최근 AI산업 경쟁구도가 기업 간 대결을 넘어 국가가 전면에 나서는 '혁신 생태계 간 경쟁'으로 바뀌고 있다는 점을 짚었습니다.
'딥시크'를 예로 들며, 자본과 인프라가 다소 부족하더라도 '성능'에서 넘어설 기회를 보여줬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정부 또한 AI 경쟁력 강화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정부는 지난해 9월 '국가인공지능위원회'을 출범하고, 세계에서 두 번째로 AI 제정법을 제정하는 등 제도 기반을 정비했습니다.
AI 관련 예산도 지난해보다 25% 늘렸습니다.
총 1조8천억 원으로 기술 혁신, 인재 양성 등에 집중 투자하기로 했습니다.
최 권한대행은 첨단 컴퓨팅 인프라는 AI 경쟁력 핵심으로, 국가 AI컴퓨팅 센터의 성공이 중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녹취> 최상목 / 대통령 권한대행
"명실상부한 'AI 3대 강국' 도입을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입니다. 우선 내년 상반기까지 고성능 GPU 1만8천 장분 AI컴퓨팅 파워를 확충해 기업과 연구계를 뒷받침하겠습니다."
정부는 민·관 협력을 통해 올해 안에 AI의 핵심 인프라인 그래픽처리장치, GPU 1만 장을 확보, 국가 AI컴퓨팅 센터 서비스를 조기 개시할 계획입니다.
내년 상반기엔 GPU 8천 장 상당의 슈퍼컴 6호기를 구축해 연구계를 중점 지원할 방침입니다.
정부는 산업계, 과학기술계와 소통하고 현장의 어려움을 정부 정책에 즉각 반영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김태우 / 영상편집: 오희현 / 영상그래픽: 손윤지)
아울러 AI 컴퓨팅 센터 구축을 위한 민·관 원팀 체계도 공고화해 나갈 예정입니다.
KTV 김유리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1742회) 클립영상
- 오늘 9차 탄핵심판···10차 변론 변경 여부 고지할 듯 01:29
- '하늘이법' 추진···고위험 교원 직권휴직·치료지원 02:16
- "고성능 GPU 1만 장 확보"···국가 AI컴퓨팅 센터, 조기 개시 02:56
- 딥시크 신규 앱 다운로드 중단···"개인정보 처리 미흡" 01:43
- "난임·임산부 심리상담센터 내년까지 전국 확대" 02:30
- 유인촌 장관, 문화시설 공사 현장 점검···"안전수칙 준수" 02:17
- 해양안전 특별경계 강화···"인명피해 최소화 총력" 02:00
- 눈 녹는 '우수'에도 추위 계속···동쪽 대기 건조 00:29
- 미 상무부·USTR와 첫 고위급 면담 "관세 대응 본격화" 28:46
- 제7회 국무회의 모두발언 06:38
- 우크라이나,사우디 회담 참여하지 않을 것 [월드 투데이] 04:45
- 동해 심해 가스전 탐사 시추 계속된다 13:14
- 최 권한대행 "국정협의회, 의미 있는 결과 만들어야" 00:24
- 일회용 플라스틱 빨대 돌아온다? [정책 바로보기] 03:51
- 오늘의 핫이슈 (25. 02. 18. 11시) 0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