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푸드+' 수출 목표 140억 달러···수산물 수출 다변화
등록일 : 2025.02.18 20:27
미니플레이
최대환 앵커>
한편 이런 가운데도 K-푸드의 세계적인 인기가 계속됨에 따라, 정부가 농수산식품 수출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한 전략을 세웠습니다.
올해 농식품과 농산업 제품을 합친 'K-푸드 플러스'의 수출 목표를 140억 달러로 잡고, 시장과 품목을 다변화할 계획입니다.
이 소식은, 최다희 기자입니다.
최다희 기자>
서울시내의 한 라면 편의점.
홍콩에서 여행 온 커플이 수십 가지 라면으로 가득 찬 진열장을 한참 동안 살핍니다.
볶음 라면을 꺼내고 본인만의 조리법으로 날달걀을 넣어 조리합니다.
인터뷰> 제인 / 홍콩
"면을 끓이고, 물도 버리고 그리고 날달걀을 넣어서 소스랑 같이 비비면 돼요."
한국 영화를 통해 라면을 접했는데 SNS로 조리법을 공부하고 왔다는 외국인도 있습니다.
최다희 기자 h2ekgml@korea.kr
"라면은 해외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지난해 라면 수출액은 전년보다 약 30% 증가한 12억4천만 달러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한류 열풍을 타고 K-푸드에 관심이 집중되는 상황에서 정부는 농수산 식품 수출 확대 추세를 이어가기 위한 전략을 수립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식품과 농산업 제품을 통칭한 'K-푸드+' 수출을 올해 140억 달러까지 늘리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를 위해 환변동보험의 자부담율 완화를 엔화에 이어 달러에도 확대 적용하고 주요 수출국에는 공동물류센터도 확대합니다.
녹취> 최상목 / 대통령 권한대행
"딸기·포도, 김·굴, 쌀 가공식품 등 유망한 농수산식품 수출을 위해 주요국에 공동물류센터와 콜드체인을 확대하고, 통관·검역 등 비관세장벽에도 철저히 대응하겠습니다."
또한 국가별로 한류에 대한 호감도를 고려해 농식품을 전략적으로 홍보하고, 해외 주요 온라인몰 내 한국식품관을 추가 개설할 방침입니다.
한편, 해양수산부도 올해 무역 환경 변화에 대응해 수산 식품 수출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수출 1위 품목인 김은 '생산-가공-수출 전 주기 종합대책'을 바탕으로 원가 변동과 재고 불확실성에 따른 수출업계 영향을 최소화하고, 차세대 수출품목인 굴·전복·넙치 등은 품목별 고차가공 기술을 개발할 계획입니다.
(영상취재: 강걸원, 김은아 / 영상편집: 조현지 / 영상그래픽: 민혜정)
KTV 최다희입니다.
한편 이런 가운데도 K-푸드의 세계적인 인기가 계속됨에 따라, 정부가 농수산식품 수출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한 전략을 세웠습니다.
올해 농식품과 농산업 제품을 합친 'K-푸드 플러스'의 수출 목표를 140억 달러로 잡고, 시장과 품목을 다변화할 계획입니다.
이 소식은, 최다희 기자입니다.
최다희 기자>
서울시내의 한 라면 편의점.
홍콩에서 여행 온 커플이 수십 가지 라면으로 가득 찬 진열장을 한참 동안 살핍니다.
볶음 라면을 꺼내고 본인만의 조리법으로 날달걀을 넣어 조리합니다.
인터뷰> 제인 / 홍콩
"면을 끓이고, 물도 버리고 그리고 날달걀을 넣어서 소스랑 같이 비비면 돼요."
한국 영화를 통해 라면을 접했는데 SNS로 조리법을 공부하고 왔다는 외국인도 있습니다.
최다희 기자 h2ekgml@korea.kr
"라면은 해외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지난해 라면 수출액은 전년보다 약 30% 증가한 12억4천만 달러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한류 열풍을 타고 K-푸드에 관심이 집중되는 상황에서 정부는 농수산 식품 수출 확대 추세를 이어가기 위한 전략을 수립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식품과 농산업 제품을 통칭한 'K-푸드+' 수출을 올해 140억 달러까지 늘리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를 위해 환변동보험의 자부담율 완화를 엔화에 이어 달러에도 확대 적용하고 주요 수출국에는 공동물류센터도 확대합니다.
녹취> 최상목 / 대통령 권한대행
"딸기·포도, 김·굴, 쌀 가공식품 등 유망한 농수산식품 수출을 위해 주요국에 공동물류센터와 콜드체인을 확대하고, 통관·검역 등 비관세장벽에도 철저히 대응하겠습니다."
또한 국가별로 한류에 대한 호감도를 고려해 농식품을 전략적으로 홍보하고, 해외 주요 온라인몰 내 한국식품관을 추가 개설할 방침입니다.
한편, 해양수산부도 올해 무역 환경 변화에 대응해 수산 식품 수출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수출 1위 품목인 김은 '생산-가공-수출 전 주기 종합대책'을 바탕으로 원가 변동과 재고 불확실성에 따른 수출업계 영향을 최소화하고, 차세대 수출품목인 굴·전복·넙치 등은 품목별 고차가공 기술을 개발할 계획입니다.
(영상취재: 강걸원, 김은아 / 영상편집: 조현지 / 영상그래픽: 민혜정)
KTV 최다희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651회) 클립영상
- 헌재 "20일 10차 변론 예정대로···1시간 늦춰 시작" 03:16
- "관세 피해에 가용수단 총동원···무역금융 366조 공급" 02:15
- 수출 중소기업 피해 최소화···글로벌 네비게이터 구축 02:11
- 'K-푸드+' 수출 목표 140억 달러···수산물 수출 다변화 02:33
- 최 권한대행 "국정협의회, 의미있는 결과 만들어야" 01:58
- 다음달 공매도 재개···기관도 대차 상환 90일 제한 01:23
- 교원 249명, 학원과 불법 문항거래···213억 원 수익 03:02
- 교직 인·적성 검사 강화···'정신건강' 살핀다 02:11
- 지난해 가계 빚 역대 최대···한은 "올해 가계부채 안정될 것" 02:42
- 지난해 전국서 소매판매 '감소'···내수 부진 장기화 02:35
- 대형 공사장 긴급 화재안전조사···피난대피로·안전관리자 점검 02:06
- "당뇨 예비군 식사 이렇게"···식약처 가이드 배포 02:01
- 군, '北 장사정포 킬러' 전술지대지유도무기 작전 배치 00:41
- 지난해 공연 관람권 판매액 1조 4천억 원 돌파 00:41
- 해외직구 디지털 도어록, 일부 제품 화재발생 시 문 열 수 없어 01:05
- 주요 금융상품 광고 점검 결과 유의사항 등 안내 - 보험상품 온라인 광고 편- 00:50
- 지방의회의 모든 것을 알려드립니다! 00:37
- 해빙기, 얼음·낙석 등 각종 안전사고 주의하세요! 00: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