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K-푸드+' 수출 목표 140억 달러···수산물 수출 다변화
등록일 : 2025.02.19 11:31
미니플레이
김용민 앵커>
K-푸드가 전 세계적인 인기를 얻으면서 정부가 농수산 식품 수출 확대 추세를 이어가기 위한 전략을 수립했습니다.

김현지 앵커>
올해 'K-푸드+' 수출 140억 달러 달성을 목표로 수출시장과 품목을 다변화할 계획입니다.
최다희 기자입니다.

최다희 기자>
서울시내의 한 라면 편의점.
홍콩에서 여행 온 커플이 수십 가지 라면으로 가득 찬 진열장을 한참 동안 살핍니다.
볶음 라면을 꺼내고 본인만의 조리법으로 날달걀을 넣어 조리합니다.

인터뷰> 제인 / 홍콩
"면을 끓이고, 물도 버리고 그리고 날달걀을 넣어서 소스랑 같이 비비면 돼요."

한국 영화를 통해 라면을 접했는데 SNS로 조리법을 공부하고 왔다는 외국인도 있습니다.

최다희 기자 h2ekgml@korea.kr
"라면은 해외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지난해 라면 수출액은 전년보다 약 30% 증가한 12억4천만 달러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한류 열풍을 타고 K-푸드에 관심이 집중되는 상황에서 정부는 농수산 식품 수출 확대 추세를 이어가기 위한 전략을 수립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식품과 농산업 제품을 통칭한 'K-푸드+' 수출을 올해 140억 달러까지 늘리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를 위해 환변동보험의 자부담율 완화를 엔화에 이어 달러에도 확대 적용하고 주요 수출국에는 공동물류센터도 확대합니다.

녹취> 최상목 / 대통령 권한대행
"딸기·포도, 김·굴, 쌀 가공식품 등 유망한 농수산식품 수출을 위해 주요국에 공동물류센터와 콜드체인을 확대하고, 통관·검역 등 비관세장벽에도 철저히 대응하겠습니다."

또한 국가별로 한류에 대한 호감도를 고려해 농식품을 전략적으로 홍보하고, 해외 주요 온라인몰 내 한국식품관을 추가 개설할 방침입니다.
한편, 해양수산부도 올해 무역 환경 변화에 대응해 수산 식품 수출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수출 1위 품목인 김은 '생산-가공-수출 전 주기 종합대책'을 바탕으로 원가 변동과 재고 불확실성에 따른 수출업계 영향을 최소화하고, 차세대 수출품목인 굴·전복·넙치 등은 품목별 고차가공 기술을 개발할 계획입니다.
(영상취재: 강걸원 김은아 / 영상편집: 조현지 / 영상그래픽: 민혜정)

KTV 최다희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