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재, 조지호와 출석 협의 중···총리 탄핵심판은 종결
등록일 : 2025.02.19 17:31
미니플레이
신경은 앵커>
헌법재판소는 내일, '윤석열 대통령 10차 변론 기일'을 진행합니다.
또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 심판 첫 재판'이 열렸는데요.
헌재는 조만간 '선고 기일'을 고지할 계획입니다.
최영은 기자입니다.
최영은 기자>
헌법재판소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10차 변론기일을 예정대로 열겠다고 밝혔습니다.
윤 대통령 측은 같은 날 법원에서 내란 혐의 첫 공판준비기일이 열린다는 이유로 기일 변경을 요청했는데, 재판부는 윤 대통령의 형사재판은 오전에 열린다며 양해를 구했습니다.
대신 변론 시작 시간은 한 시간 늦춰, 오후 2시에서 3시로 변경했습니다.
재판부는 다음 기일 증인으로 채택된 조지호 경찰청장에 대한 강제 구인을 결정했습니다.
핵심 증인으로 꼽히는 조 청장은 앞서 두 차례 증인 출석 요청에 대해 건강상 이유로 불출석 사유서를 냈습니다.
다만 조 청장이 이번 변론에는 자진 출석할 가능성도 열려있습니다.
헌재는 조 청장의 변호인과 출석 방법, 신문과 증언 방법 등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10차 변론에선 한덕수 국무총리와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의 증인 신문도 진행될 예정입니다.
이런 가운데, 헌재는 한덕수 총리 탄핵심판 첫 정식 변론을 진행했습니다.
재판부는 청구인인 국회 측과 피청구인인 한 총리 측 주장을 각각 듣고, 변론을 종결했습니다.
선고 기일은 재판부가 정한 뒤 양측에 알리겠다고 밝혔습니다.
한 총리 국회 탄핵소추 의결 정족수 관련 권한쟁의 심판도 잇따라 진행됐습니다.
한편 헌재는 최근 재판부나 헌법연구관에 대한 원색적 비난에 대해 가짜뉴스 등 증거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면서, 경찰 수사를 의뢰할 지 여부를 논의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영상취재: 김정섭 고광현 / 영상편집: 정성헌)
KTV 최영은입니다.
헌법재판소는 내일, '윤석열 대통령 10차 변론 기일'을 진행합니다.
또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 심판 첫 재판'이 열렸는데요.
헌재는 조만간 '선고 기일'을 고지할 계획입니다.
최영은 기자입니다.
최영은 기자>
헌법재판소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10차 변론기일을 예정대로 열겠다고 밝혔습니다.
윤 대통령 측은 같은 날 법원에서 내란 혐의 첫 공판준비기일이 열린다는 이유로 기일 변경을 요청했는데, 재판부는 윤 대통령의 형사재판은 오전에 열린다며 양해를 구했습니다.
대신 변론 시작 시간은 한 시간 늦춰, 오후 2시에서 3시로 변경했습니다.
재판부는 다음 기일 증인으로 채택된 조지호 경찰청장에 대한 강제 구인을 결정했습니다.
핵심 증인으로 꼽히는 조 청장은 앞서 두 차례 증인 출석 요청에 대해 건강상 이유로 불출석 사유서를 냈습니다.
다만 조 청장이 이번 변론에는 자진 출석할 가능성도 열려있습니다.
헌재는 조 청장의 변호인과 출석 방법, 신문과 증언 방법 등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10차 변론에선 한덕수 국무총리와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의 증인 신문도 진행될 예정입니다.
이런 가운데, 헌재는 한덕수 총리 탄핵심판 첫 정식 변론을 진행했습니다.
재판부는 청구인인 국회 측과 피청구인인 한 총리 측 주장을 각각 듣고, 변론을 종결했습니다.
선고 기일은 재판부가 정한 뒤 양측에 알리겠다고 밝혔습니다.
한 총리 국회 탄핵소추 의결 정족수 관련 권한쟁의 심판도 잇따라 진행됐습니다.
한편 헌재는 최근 재판부나 헌법연구관에 대한 원색적 비난에 대해 가짜뉴스 등 증거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면서, 경찰 수사를 의뢰할 지 여부를 논의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영상취재: 김정섭 고광현 / 영상편집: 정성헌)
KTV 최영은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2부 (1760회) 클립영상
- 헌재, 조지호와 출석 협의 중···총리 탄핵심판은 종결 01:46
- "지역 건설경기 침체 장기화···SOC 사업 신속 집행" 02:09
- 트럼프 "자동차 25% 관세"···반도체·의약품도 예고 01:56
- "상반기 중 퇴직연금 제도 개선안 발표" 02:28
- 산업 중장기전략 마련···녹색금융·이민체계 구축 01:57
- 작년 3분기 임금 일자리 24만6천 개 증가···6년 만에 최저폭 01:55
- "젊은 과학자 아이디어 대한민국 미래···아낌없이 지원" 00:32
- 트럼프, 2월 내 푸틴과 회동 예고 [글로벌 핫이슈] 05:24
- 오늘의 증시 (25. 02. 19. 16시) 00:52
- 나도 혹시 성인 ADHD? 진단부터 극복까지 [건강 365] 28: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