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지역 건설 살리기"···철도 지하화·미분양 매입에 박차
등록일 : 2025.02.20 14:22
미니플레이
김용민 앵커>
정부가 침체된 지방 부동산 시장을 되살리기 위한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부산과 대전·안산에는 철도지하화 사업을 추진하고, 준공 후 미분양된 아파트를 LH가 사들여 실수요자에게 혜택을 주기로 했습니다

김현지 앵커>
이와 함께 기업들을 위한 정책금융도 신속히 집행하고 있습니다.
예년보다 더 많은 자금을 공급해 산업현장에 활력을 더하겠다는 방침입니다.
서울 스튜디오 연결해 자세한 내용 살펴봅니다.
박성욱 앵커.

박성욱 앵커>
네, 대담 이어가겠습니다.
우리 경제의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지자 정부가 침체에 빠진 지역 건설경기를 살리기 위한 대책을 내놨습니다.
정책 금융과 민생 법안까지 경제 살리기에 집중된 정책 현안들을 배종찬 인사이트케이 연구소장과 이야기 나눠봅니다.

(출연: 배종찬 / 인사이트케이 연구소장)

박성욱 앵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주재로 민생경제점검회의를 열어 건설경기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지난 회의에서 물가, 일자리문제를 점검한데 이어 이번에는 건설 부문을 살폈는데요, 지역 건설경기 침체가 장기화 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 것 같습니다.

박성욱 앵커>
정부는 지역 건설경기 회복을 적극 지원하기 위해 철도 지하화 등 지역개발 사업을 확대할 것으로 보입니다.

박성욱 앵커>
지방의 미분양 문제 해소를 위해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를 LH가 직접 사들이는 방안도 추진합니다.
든든 전세주택으로 공급할 예정이라구요?

박성욱 앵커>
최근 공사비가 급등해 건설업계에서는 '지을수록 손해'라는 말이 나오고 있습니다.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업계 지원방안도 마련된다구요?

박성욱 앵커>
내수경기 회복도 속도가 더딘 가운데, 미국발 통상환경 변화는 기업들에게 큰 부담입니다.
지난 달 경제현안 해법회의에서도 정책 금융의 조기 집행 계획을 발표했는데, 규모가 더 확대된 것 같습니다.

박성욱 앵커>
정책금융기관들은 지분 투자 확대를 위한 정책 펀드 결성도 서두르고 있다고 합니다.
혁신성장펀드, 반도체 설비 투자 특별 프로그램등이 조기에 시행 중인데... 이 역시 신속하게 지원될까요?

박성욱 앵커>
주제 바꿔보겠습니다.
이른바 '에너지 3법'이 여야 합의로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를 통과했습니다.
전력 공급에 관한 법안으로 알려져있는데, 이 법안들은 왜 중요한가요?

박성욱 앵커>
가장 관심을 모은 건 '고준위 방폐장 특별법'입니다.
고준위 방폐장법은 2016년 첫 논의 이후로 9년 만에 처리된거죠?

박성욱 앵커>
AI 시대의 전력 수요 폭증에 대응하려면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중요하다는 평가입니다.
전력망법은 첨단산업 육성을 위한 전력망 확충을 위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된 것으로 보면 될까요?

박성욱 앵커>
우리 정부는 일본의 주장이 부당하다고 입장입니다.
일본 시마네현이 매년 2월 22일 개최하는 자칭 '다케시마의 날' 행사를 강행하고 있고, 올해도 차관급 인사가 참석한다고 하는데요.
매년 ‘억지 주장’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박성욱 앵커>
우리 정부는 독도에 대한 일본의 어떠한 부당한 주장에도 단호하고 엄중히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우리 역시 매번 단호한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박성욱 앵커>
지금까지 배종찬 인사이트케이 연구소장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