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구 지역 고용률 역대 최고···시 지역은 소폭 하락
등록일 : 2025.02.20 17:38
미니플레이
임보라 앵커>
지난해 하반기 시 지역 고용률은 전년보다 하락했지만 군과 구 지역 고용률은 상승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실업률은 시 지역에서는 늘고 그 밖의 지역에서는 줄었습니다.
보도에 김찬규 기자입니다.
김찬규 기자>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시군구 주요 고용지표'를 보면 9개 도, 시 지역 취업자는 1천406만2천 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만6천 명 늘었습니다.
다만 고용률은 62.4%로 0.1%p 하락했습니다.
같은 기간 군 지역 취업자는 211만5천 명으로 1년 전보다 1만2천 명 늘었고 7개 특광역시 구 지역 취업자도 1천162만9천 명으로 9만3천 명 증가했습니다.
고용률은 군 지역이 69.4%, 구 지역은 59.0%로 각각 0.5%p, 0.3%p 성장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실업자 수와 실업률 상황도 시와 군·구에서 비슷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시 지역 실업자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만5천 명 늘었고 실업률은 2.9%로 0.2%p 상승했습니다.
군과 구 지역 실업자는 각각 2만5천 명, 41만5천 명으로 1년 전과 비교해 2천 명, 1만5천 명 감소했습니다.
실업률은 1.1%, 3.4%로 나타나 각각 0.1%p, 0.2%p 하락했습니다.
시 지역에서는 경기 부천이 5.2%로 실업률이 가장 높았고 경북 구미가 4.8%로 뒤를 이었습니다.
구 지역에서는 부산 영도구 5.2%, 인천 동구 5.1%, 서울 관악구 5.0% 순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통계청은 5% 내외로 실업률이 높게 나타나는 지역의 경우 인구 구성 중 청년층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것을 원인으로 꼽았습니다.
녹취> 송준행 / 통계청 고용통계과장
"그 지역 인구가 청년층이나 30~40대가 많은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이 연령층의 실업률이 높기 때문에 전체 실업률을 높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 제조업 비중이 높은 산단이 있는 지역에서는 구직활동이 활발해지는 경향성이 있어 실업률이 높게 나타난다고 덧붙였습니다.
(영상취재: 박남일 / 영상편집: 조현지 / 영상그래픽: 민혜정)
지역 고용 상황이 어려운 경우에도 실업률이 높아진다며 실업률이 높게 나타난 지역의 경우 이러한 특성이 반영됐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KTV 김찬규입니다.
지난해 하반기 시 지역 고용률은 전년보다 하락했지만 군과 구 지역 고용률은 상승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실업률은 시 지역에서는 늘고 그 밖의 지역에서는 줄었습니다.
보도에 김찬규 기자입니다.
김찬규 기자>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시군구 주요 고용지표'를 보면 9개 도, 시 지역 취업자는 1천406만2천 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만6천 명 늘었습니다.
다만 고용률은 62.4%로 0.1%p 하락했습니다.
같은 기간 군 지역 취업자는 211만5천 명으로 1년 전보다 1만2천 명 늘었고 7개 특광역시 구 지역 취업자도 1천162만9천 명으로 9만3천 명 증가했습니다.
고용률은 군 지역이 69.4%, 구 지역은 59.0%로 각각 0.5%p, 0.3%p 성장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실업자 수와 실업률 상황도 시와 군·구에서 비슷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시 지역 실업자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만5천 명 늘었고 실업률은 2.9%로 0.2%p 상승했습니다.
군과 구 지역 실업자는 각각 2만5천 명, 41만5천 명으로 1년 전과 비교해 2천 명, 1만5천 명 감소했습니다.
실업률은 1.1%, 3.4%로 나타나 각각 0.1%p, 0.2%p 하락했습니다.
시 지역에서는 경기 부천이 5.2%로 실업률이 가장 높았고 경북 구미가 4.8%로 뒤를 이었습니다.
구 지역에서는 부산 영도구 5.2%, 인천 동구 5.1%, 서울 관악구 5.0% 순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통계청은 5% 내외로 실업률이 높게 나타나는 지역의 경우 인구 구성 중 청년층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것을 원인으로 꼽았습니다.
녹취> 송준행 / 통계청 고용통계과장
"그 지역 인구가 청년층이나 30~40대가 많은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이 연령층의 실업률이 높기 때문에 전체 실업률을 높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 제조업 비중이 높은 산단이 있는 지역에서는 구직활동이 활발해지는 경향성이 있어 실업률이 높게 나타난다고 덧붙였습니다.
(영상취재: 박남일 / 영상편집: 조현지 / 영상그래픽: 민혜정)
지역 고용 상황이 어려운 경우에도 실업률이 높아진다며 실업률이 높게 나타난 지역의 경우 이러한 특성이 반영됐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KTV 김찬규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2부 (1761회) 클립영상
- 트럼프 2기 첫 전략폭격기 전개···한미 연합공중훈련 01:46
- 군·구 지역 고용률 역대 최고···시 지역은 소폭 하락 02:47
- 윤 대통령 탄핵심판 10차 변론···집중 심리 01:25
- "컴퓨팅 인프라 확충···국가 AI모델 개발 속도" 02:38
- 2027년까지 AI 활용률 50%···데이터 개방 확대 02:21
- '로맨스스캠' 활용 나이지리아 국제마약조직 총책 검거 00:48
- 학교급식·어린이 기호식품 판매점 집중 점검 00:28
- 미 시민, 트럼프 경제정책 반감 [글로벌 핫이슈] 05:44
- 오늘의 증시 (25. 02. 20. 16시) 00:54
- 맛과 멋을 찾아 떠나자! 동해 따라 맛집 기행 [여행을 떠나요] 27:04
- 발트해 진주 '에스토니아' [세계 속 한국] 06: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