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초·중·고 학생 경제이해력 조사 결과
등록일 : 2025.02.20 20:40
미니플레이
임보라 기자>
'합리적 선택', '수요와 공급', '경상수지'... 한국 청소년들은 이런 경제 개념을 얼마나 잘 이해하고 있을까요?
지난해 기재부 조사에 따르면 초등학생은 100점 만점에 60점대, 중·고등학생은 50점대의 경제이해력을 보였습니다.
구체적으로는 초등학교 6학년이 61.5점, 중학교 3학년 51.9점, 고등학교 2학년 51.7점이었는데요.
모두 2022년 조사 때보다 점수가 떨어졌습니다.
문항별로 보면 투자 등 실생활과 관련된 문항은 정답률이 높았지만, 경제 기본개념과 관련된 문항은 정답률이 낮았습니다.
또 교사 대상 조사에선 '경제 수업을 할 때 어려움을 느낀다'는 비율이 60~7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정부는 학생들의 경제교육 기회를 늘리고 교사들의 직무연수 기회도 확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합리적 선택', '수요와 공급', '경상수지'... 한국 청소년들은 이런 경제 개념을 얼마나 잘 이해하고 있을까요?
지난해 기재부 조사에 따르면 초등학생은 100점 만점에 60점대, 중·고등학생은 50점대의 경제이해력을 보였습니다.
구체적으로는 초등학교 6학년이 61.5점, 중학교 3학년 51.9점, 고등학교 2학년 51.7점이었는데요.
모두 2022년 조사 때보다 점수가 떨어졌습니다.
문항별로 보면 투자 등 실생활과 관련된 문항은 정답률이 높았지만, 경제 기본개념과 관련된 문항은 정답률이 낮았습니다.
또 교사 대상 조사에선 '경제 수업을 할 때 어려움을 느낀다'는 비율이 60~7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정부는 학생들의 경제교육 기회를 늘리고 교사들의 직무연수 기회도 확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653회) 클립영상
- 국정협의회 첫 발···반도체법 등 주요 현안 논의 00:25
- "컴퓨팅 인프라 확충···국가 AI모델 개발 속도" 02:42
- 2027년까지 AI 활용률 50%···데이터 개방 확대 02:26
- 트럼프 2기 첫 전략폭격기 전개···한미 연합공중훈련 01:47
- 정부, 싱크탱크와 협력 확대···정보공유 체계 구축 02:05
- 미국 관세조치 가시화···정부 "업종별 추가대책 마련할 것" [뉴스의 맥] 03:56
- 5년간 기차표 29억 원 환불···감사원 "모니터링 강화해야" 02:05
- '공공기관 통합채용제도' 권고···"비효율·불공정 채용 개선" 02:51
- '3곳 중 1곳' AI 교과서 채택···"안착 적극 지원" 02:04
- 군·구 지역 고용률 역대 최고···시 지역은 소폭 하락 02:48
- 잦아진 집중호우···배수시설 설계기준 강화 01:40
- 고령 운수종사자 자격검사 강화···"검사 변별력 높인다" 02:38
- '납세신고 도움정보' 제공···신고 오류 최소화 00:24
- '2025 KTV 국민기자단' 발대식···157명 활동 시작 00:28
- 봄맞이 여행, 숙박할인권으로 준비하세요 00:54
- "친환경 소비가능한 '그린카드' 신청하세요" 00:37
- 2024년 초·중·고 학생 경제이해력 조사 결과 00:55
- 창업도약패키지 참여기업 모집 0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