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정부, 싱크탱크와 협력 확대···정보공유 체계 구축
등록일 : 2025.02.20 20:27
미니플레이
모지안 앵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동차와 반도체 등에 대한 추가 관세를 예고하며, 통상 분야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데요.
정부가 민간 연구기관들과의 협력을 확대해, 한층 두터운 기업 지원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조태영 기자입니다.

조태영 기자>
최근 미국 정부가 철강·알루미늄에 이어 자동차·반도체·의약품 등 주요 산업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를 예고했습니다.
미국의 통상 정책 불확실성이 그 어느 때보다 커진 상황.
전문가들은 개별 기업이 해법을 찾기 어려운 현실에서, 전문 연구 정보를 제공하는 싱크탱크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전화 인터뷰> 양주영 / 산업연구원 경제안보실장
"기업들의 의사결정과 기업들이 필요한 부분을 정부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할 때도 기업과 밀접해서 일하고 있는 전문기관들의 역할이 굉장히 중요해질 것 같습니다."

정부는 민간 싱크탱크와 협력해 대미 통상 전략을 세우고, 기업 지원을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삼성과 현대 등 주요 민간 연구기관장들과 만나 통상 전략을 논의했습니다.

녹취> 정인교 /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정부의 대미 통상대응 현황을 공유하고, 주요 싱크탱크의 제안을 청취해 우리의 대응 전략을 더욱 정교히 가다듬는 매우 의미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정 본부장은 "산업부 장관과 본부장이 직접 미국을 방문해 통상 문제 해결에 나설 계획"이라며 "싱크탱크와 협업해 업계와 소통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같은 날 열린 '제2차 산업정책 민관협의회'에서도 통상 위기를 돌파하기 위한 방안이 논의됐습니다.
회의를 주재한 이승렬 산업정책실장은 "대외 불확실성이 심화될수록 민관이 협력해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119조 원 규모로 책정된 국내 제조업 투자 계획이 차질 없이 이행될 수 있도록 협의회를 통해 지속 점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민경철, 임주완 / 영상편집: 최은석)

KTV 조태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