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보건복지부, 연금개혁 마지막 골든타임
등록일 : 2025.02.25 08:54
미니플레이
김용민 앵커>
우리나라가 예상보다 빠른 초고령사회 진입에 대응해 국민연금 기금이 소진되지 않도록 지난해 정부가 21년 만에 연금개혁안 단일안을 발표했습니다.

김현지 앵커>
그리고 지난 20일, 연금개혁 완수를 위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는 국민연금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을 조정하는 법안 논의에 들어갔는데요.
자세한 내용, 보건복지부 이기일 차관과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차관님, 안녕하세요.

(출연: 이기일 / 보건복지부 제1차관)

김용민 앵커>
지난 2023년 가을 KTV를 통해 8차례에 걸쳐 진행된 국민연금 릴레이 인터뷰 이후, 정부 연금개혁안 발표, 국회 공론화 등 연금개혁을 위한 논의가 있었습니다.
이에 대한 내용 간략히 설명 부탁드립니다.

김현지 앵커>
차관님께서는 최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2025년 OECD 사회관계정책장관회의'에 직접 참석하셨습니다.
프랑스는 여러 차례 연금개혁을 통해 제도의 신뢰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프랑스와 다른 나라 사례의 함의는 무엇인가요?

김용민 앵커>
다시 한국으로 돌아와 최근 연금개혁 논의를 짚어보겠습니다.
보험료율 13% 인상, 소득대체율 조정을 내용으로 하는 모수개혁 관련 사회적 논의는 어떤 상황인지요?

김현지 앵커>
보험료율 13%는 수지균형보험료율 19.7%에 여전히 못미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와 관련해 '자동조정장치'가 필요한 이유와 어떤 방식으로 제도가 운영되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김용민 앵커>
청년세대의 국민연금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지급보장 명문화와 출산·군 크레딧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정부 개혁안의 내용과 국회에서 논의 상황은 어떤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김현지 앵커>
국민·퇴직연금 뿐 만 아니라, 퇴직·개인연금을 포함한 '연금3총사'가 노후생활에 필수라고 하는데요.
다층연금체계 구축을 위한 계획과 현재 논의 상황은 어떠한가요?

김용민 앵커>
보험료·소득대체율, 자동조정장치, 크레딧과 지급보장 명문화가 이번 달 연금개혁 논의의 중심이라고 보이는데요.
앞으로 전망과 연금개혁을 위한 당부 말씀 부탁드립니다.

김용민 앵커>
지금까지 보건복지부 이기일 차관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